최근 우리나라 자동차 메이커에서 나오는 개솔린 엔진의 순정오일의 경우 API SM ILSAC GF-4를 만족한다고 규격이 정해지고 교환주기도 15000KM 가혹주행 7500KM에 교환이라고 지시되어 있더군요. 그럼 베이스 기유의 경우 VHVI라고 봐도 무방한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그룹2 기존 광유의 오일이 섞여서 나오는걸까요?

 

매뉴얼에 API SM등급으로 올라갔다고 하지만 오일캔에는 API 등급 표기도 없고 공급처에 문의해도 베이스 오일 공개를 하지 않더군요.

 

우리나라가 고품질의 VHVI 최대 생산국이라고 하지만 기유를 생산하는건 석유회사이지만 에쓰오일에서 울트라-S급 그룹3도 생산하고 일반 그룹2도 생산하기 때문에 결국은 오일 제조사에서 그룹2에 그룹3의 사용비율을 높여서 API 등급을 SM을 받지 않았을까라는 의심이 들었습니다.

 

매뉴얼에는 API SM 등급을 넣으라고 하지만 타 오일은 보증을 할 수 없다고 하고 있으면서 오일캔에 API 규격이 없는것도 아이러니 합니다. API SM 등급 표시를 한 사제오일은 보증이 안되면서 등급표시가 없는 순정오일은 보증이 된다는것도 이상하죠. 순정오일이 API SM 기준을 통과하고 자동차 메이커에서 충분히 테스트하고 품질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표기가 안되어 있다면 순정오일이 API 인증을 받았다고 할수없는 부분이죠.

 

첨가제 배합에 대한 공개를 하지않는 건 이해가 가지만 베이스 오일 공개를 하지 않는 건 이해가 안됩니다. 제 상식선에서 그룹2 오일과 그룹3가 섞여 있다면 장기적으로 사용했을때 엔진에 도움이 안되기 때문에 순정오일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길들이기 이후에도 순정오일을 사용해보면서 평가를 해봐야 알 수 있을거 같습니다.

 

현재까지 1000KM에 한번 교환하고 3600KM 정도 탔는데 저중속 영역만 사용하고 얼마타지 않아서 오일이 아주 깨끗합니다. 추후에 고속 길들이기 하고 오일이 열화가 되고 점도가 하락하고 오일이 산화되서 슬러지화 되는 부분이 보이면 바로 플러싱 하고 합성유로 넘어갈려구요.

 

테스트해보고 괜찮으면 출퇴근 + 장거리용으로 사용되는 차에 구지 값비싼 PAO 합성유로 갈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혹시 오일에 대해서 잘 아시거나 오일 유통이나 관련업계에서 종사하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그룹2(일반광유)와 섞였다고 한다면 그냥 테스트 안하고 길들이기 이후 바로 PAO 합성유로 가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