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제목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있어 수정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회원님들과 마스터님의 자동차에 대한 지식을 눈팅으로 보며 감탄하고 있는 유령회원입니다.
제가 이 사이트에 가입한 이유는 신차 구매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었는데
장기간의 고민 끝에 지난 2월 BMW 520d 신차를 무리하여 구입했습니다.
서울에서 차를 받아 제가 근무하는 춘천으로 가는 고속도로는 한적하고, 신차를, 그것도 BMW를 운전하는 기분은
그야말로 날아갈 듯 하더군요.
경춘고속도로 춘천 가는 방향으로 금남터널이 있고, 바로 다리로 이어져 북한강을 건너게 됩니다.
그 다리 전체에는 차량 진행방향으로 노면에 금을 파놓아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런데 이 다리에 올라서니 차량이 걷잡을 수 없이 흔들리고 핸들의 움직임에 차량이 따르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고 차량이 똑바로 가지 않는 것은 아닌데 차량은 쉴새없이 좌우로 흔들립니다.
몹시 놀랐지만 다리를 지나니 이 현상은 거짓말처럼 사라지고 마치 꿈을 꾼듯 해서 그냥 잊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다시 서울로 오는 반대방향의 다리에서도 똑 같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이때는 같이 탔던 사람들도 놀라고 불안감을 느꼈으니 저 혼자의 오해가 아닌 건 확실합니다.
DSC를 끄고 켜는 것은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이후 이 다리에서 처럼 노면에 금을 파놓은 곳에 가면(의외로 이런 곳이 많더군요) 두렵고 걱정이 되어
제대로 운전을 할 수 없을 정도인데 조금 흔들리는 것 같다는 느낌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렇게 심한 현상은 없습니다.
딜러와 의논해서 타이어 밸런스도 잡아보았으나 이상이 없다하고, 금남터널 다리에서 이러한 현상이 보고되었는데
아무래도 타이어 형태와 노면 금 사이(금 사이 간격, 깊이 등과 타이어 무늬 사이?)에 문제가 있는 듯 하다고 합니다.
수천대 이상이 팔린 BMW 5 Series인데 이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은 것은 이상합니다만
아마도 제가 서울-춘천을 일주일에 두어번 왕복하는 유일한 구매자 인 것 아닐까 합니다.
다른 분들은 이 길을 오셔도 대개 주말일 것이고, 차량 정체에 밀려 흔들림을 느낄 일이 없었을 겁니다.
아무튼 제가 여쭙는 것은
1. 타이어와 노면 금 모양의 매칭 문제로 이러한 일이 생긴 것일까요? 아니면 별다른 이유가 있는 것일까요?
2. 타이어와 금 모양의 문제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휠과 타이어의 교환 밖에 방법이 없을까요?
3. 실제로 이 다리를 운전할 때는 생명의 위협이 느껴질 정도이고, 늘 노면에 금이 있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운전합니다. 이 문제는 동일 차량을 운전하는 다른 분들에게도 위협이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BMW 측에 문제를 제기하여 앞으로의 차량 판매시 타이어를 교체하도록 해야 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다리에 이러한 형태의 금을 판 도로관리측(이곳은 민자 고속도로입니다)에서 시정을 하도록 해야할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1. 네 맞습니다. 차가 너무 좋아서 그 현상이 운전자에게까지 그대로 전달되는겁니다. 그거 60년대에 NASA에서 어떻게하면 비오는날 비행기 착륙할때 안전하게 할까 고민하다 (airplane 이 hydroplane..하면.. PBY-5a 까탈리나!!!) 만들어내서 미국 고속도로 위험구간에 적용하니 사고가 85% 감소했다는 전설의 공법입니다 ㅋㅋㅋ
2. 쿠데타로 정부를 장악하시고 새로 포장을 하던가 (농담입니다;;하신김에 무력통일 ㄷㄷ) 세로줄무늬가 약한 타이어로 바꾸면 현상이 덜 해집니다. (단 배수성이 떨어지고 고속안정성이랑 소음(정숙성) 타협을 하게 되겠지요. 트레드 무늬가 전부는 아니지만요)
3. 동일 차량뿐만 아니라 보통 승용차에 편평비 낮은 세로줄타이어를 끼워도,, 핸들이 헬스장 운동기계로 변신하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토크스티어랑 합쳐지면 지옥. 출처가 (믿을만함) 기억이 안나는데 그 선을 촘촘하고 (보다)곧게 할수록 비용도 비싸지고, 말씀하신 현상도 줄어든다고 하더군요. 비용때문에 대충 하는게 많죠.
현실적으로 그냥 그 구간 천천히 가시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타이어 바꾸면 나아지는건 확실합니다. 컨티넨탈 DWS같은 세로줄이 존재하지 않는 타이어의 경우 빗길 최강, 마른길 OK, 눈길도 쓸만한 노면타지 않는 타이어인데요, (150넘어가면 좀 시끄러움) 제가 저거 쓸 때는 노면 줄을 모르고 살았는데 이번에 수명 2만킬로짜리 여름용으로 교체하니 빗길 UFO 마른길 UFO가 되었는데......... 순정 차량이 노면을 타더랍니다!!!!
그리고 말씀중에, "핸들의 움직임에 차량이 따르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타이어가 씰룩씰룩거려서 그렇게 느끼실 수도 있겠네요. 핸들 돌리면 선회하는게 아니라 너클이 회전하면 타이어가 지면을 마찰해 차를 돌리는데, 그 지면과의 마찰에서 트레드가 세로줄과 물려서 이리저리 차를 흔든다 원인은 파악하셨으니... 핸들조작이 아니라, 차 라는 쇳덩어리의 무게중심이 길 따라 주행하도록 반응하는,,, 단순 로봇 팔(?????) 이라고 생각하면 다닐만 합니다. 세로줄 없는 도로보다는 피곤하겠지만.. 못 탈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520d를 타본적이 없으니, 그냥 추측입니다)
관련 질문글 링크 첨부합니다
http://www.testdrive.or.kr/boards/1355276
그림설명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p9208&logNo=110086138281
장문을 쓰셨는데 크게 착각을 하고 계십니다.
말씀하신 진행 방향으로의 금은 그루브라 부르며 교각 위, 심하게 굽은 도로,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 등 과속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 그어 놓습니다. 규정 속도를 과도하게 초과하여 진입하면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주어 속도를 줄이게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생명의 위협을 느끼실 정도면 정말 엄청난 속도로 달리신 모양입니다.
120~30 정도로만 통과해도 그냥 그런게 있나보다 할 정도이니 천천히 다니세요ㅡㅡ
차량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그루브의 잘못된시공으로 운전자가 불안감을 느끼는것이지
의도적으로 불안감을 주어 속도를 줄이기위함은 아닙니다.
그루브노면에서 사고를 목격한경험이 수차례있는데
고속도로나 차량전용도로등에 그루브표면전에 속도를 줄이란 안내표시도 없이 의도적 차량을 좌우로 흔들어 불안감을 조성할 의도였다면 그로인한 피해보상소송은 어찌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그루브가공은 겨울철 노면온도가 떨어져 결빙되기쉬운 교각이나 산등의 엄폐물에 둘러싸여 일조량부족으로 노면온도가 오르지않아 상습결빙되는 콘크리트노면의 커브길등에 시공되며 그효과로는 노면결빙예방과 배수효과증대 마찰력증가등이 있지만 시공상의 문제로 마찰력증가효과를 볼수있는구간은 거의없습니다.
고속도로톨게이트 진입전이나 인천공항고속도로 마지막구간등 깊고 넓은 가로나 사선그루브가공으로 차에 진동과소음을 주어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위한 그루브노면도 있기는 하지만 차를 좌우로 흔들어 경각심을주어 사고를 줄인다는것은 노면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의 그루브효과와는 상반되는것이기에 잘못된시공로밖엔 볼수없습니다.
좀더 첨언하자면 국산타이어의경우 주행방향그루브에 큰영향을 받지 않지만 고성능 유럽산타이어들은 대체로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휘청휘청~ 그냥 그러려니 하세요
그거 싫다고 v형 패턴 타이어로 바꾸었더니
평상시 노면소음이 너무 싫더라구요
그냥 속도 줄이시는게 정답입니다!
제가 업무차 강촌을 자주 가는데 제차도 그지점에서 똑같습니다. ㅎㅎ
가끔 차없을때 쏘다가도 그다리에선 감속을 ㅜㅜ

모든 분들께서 거의 정확한 답변들을 해주셨다 봅니다
제아무리 최고의 출력과 완벽에 가까운 셋팅을 보이는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고성능 차량이라해도
해당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의 잠재적 성능과 트레드의 패턴과
이와 마찰하는 다양한 노면 상황에 따른 이상반응은 상시 화두가 되어 오곤 하죠
저는 오랜세월 자동차를 좋아하고 그와 관련한 파츠에 대한 이해와 반응 및 운동역학과 한계에 대해
지금까지도 끈임없는 공부랄까 탐구를 하고 즐기며 살아가고 있는, 이전 타이어마스터 시절이 있었던 회원 이구요
본론을 이야기 하자면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은 다양하지만 아직도 타이어라는 파츠는
자동차에 있어 두마리 토끼를 잡을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졌다 여겨야 할듯 합니다
고속과 선회,제동에 있어서의 그립력을 위해서는 연비와 효율,내구성을 포기해야하는걸 말하는거죠
타이어는 세분화된 용도에 따른 사이프(칼집) 형상이 모두 다르며
트레드의 패턴 또한 주행에 각기다른 영향을 주게되죠
도로 역시 마찬가지로 특정구간에 사이프 시공이 된곳이 있습니다
김동민 회원께서 말씀하신대로 감속이 정답입니다
높고 횡풍이 강한 교각이나 시케인구간, 코너가 완만하지 않은 고속화도로 등등
특히나 콘크리트 재질의 노면에 이러한 노면 사이프를 많이 발견하게 됩니다
이렇듯 진행방향으로의 노면 사이프와 자신의 자동차에 장착된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이
V형이거나 블록형은 이런 구간에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직선 그루브의 다양한 패턴을 가진 타이어들은 규정 이상의 속도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됩니다
직선 그루브의 비대칭 트레드패턴의 타이어도 마찬가지 입니다.
해당 구간을 지날때 속도에 대한 언급이 없으셨는데
운전하신 차량의 문제는 제가 보기에도 없어 보이며
해당 노면에 대한 이해와 운전하신 차량의 타이어 패턴과
운전하신 회원분의 과도한 진입 속도로 인한 해프닝에 가까운
우려를 하고 계신듯 합니다 ^^ 안전을 위해 감속하시기 바랍니다
잠시 사이에 많은 분들께서 답을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용어를 잘 몰라서 대충 설명 드렸는데 이해를 잘 해주시네요.
노면 그루브와 타이어 트레드 사이의 문제임은 잘 알겠습니다.
다면 몇분께서 제가 과도한 속도로 진행한 것이 아닌가에 대한 지적을 주셨는데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제가 조금 과속하여 120~130km/h의 속도나
걱정이 되어 느리게 운행한 60~70km/h 정도의 속도라도
마찬가지로 일어나고, 규정속도에서도 흔들림이 걱정스러울 정도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서울방향 다리는 구간단속 구간에 포함되어 과속이 안됩니다.)
저 자신 운전을 좀 얌전하게 하는 편이다 보니 흔들림에 걱정이 과도했나 생각도 듭니다.
많은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직진안정성을 위해서 그어놓은 금이라는데, 사실 제가 2007~8년도에 EF소나타에 미쉐린 타이어로 만났을때도 쏠렸습니다.
국산 타이어는 좀 덜 흔들리지만, ...
더구나. 노면에 그어놓은 금을 보면 일직선으로 정확하게 그어져 있지도 않습니다.
흔들리는 느낌이 돌지만 스핀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그러려니 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타이어사양 225 40 18 한타 V12EVO
고로 차는 정상인듯. 노면이 굉장히 불규칙하기 때문이라 생각해요. 이런데 간혹 있어요. 경춘저구간은 도로시공사가 좀 오버설계한듯.
정체시 저속에서도 차가 움질거리기도 했거든요

처음엔 솔직히 김훈 님께서 민감하신 줄 알았는데
다른 분들도 그 지점에서의 경험에 공감하시는 걸 보니
다시 원점에서 솔루션을 찾게 되네요.
운행 중 만나는 수많은 요철구간에서는 없는 현상이니
타이어에 포커스를 맞추는 게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제 경우 같은 차종(F10 520d 17" 순정), 혹은 기타 여러 차종으로
서울-춘천 고속도로를 수없이 통행했지만(불과 어제도)
너무 조져서(^^) 전체적으로 불안하면 불안했지,
특정구간에서 유독 심한 적은 없었습니다.
금남리에 현장이 있어 조만간 출장을 갈 듯 한데 유심히 건너보겠습니다.
그리고 공정상의 문제가 의심되시면 해당 시(군)청이나
민자사업단 등의 기관에 민원을 넣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RE050과 윈터타이어만 쓰다가 얼마전 PS3로 바꿨는데.. 정말 심하게 타더군요.. 점 첨에 장착이 잘못됐나 했습니다.ㅎㅎ
지금은 즐깁니다~ㅎ 왔다리 갔다리~ㅎㅎㅎ

본문과 댓글을 읽어보니 이미 차량 문제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고 계셨던 것 같은데 제목은 차량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적어두셨네요. '도로의 특정 구간에서 발생하는 주행 불안감'정도가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 ^^

하지만 멀리보는 안전을 위해서라니 뭐 어쩔수 없죠. 더 부드럽게 더 천천히 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차에는 이상이 없어보이며, 경험하신 현상은 쉽게 타이어가 노면을 타는 현상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UHP타이어일 수록 노면을 읽는 경향이 강해 노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좌우로 요동치는 경험이 많은데, 차를 계속 타시다보면 꼭 그 구간이 아니라도 국내에 그런 상황을 경험하실 거친 노면은 수도없이 많습니다.
조금만 타시면 익숙해지실 부분이라고 봅니다.
타이어의 세로줄이나 그루브의 모양등과 연관성은 노면을 타는 성향과 그리 큰 연관성은 없습니다.
트레드가 단단하고 사이드 월이 강한 타이어일 수록 노면을 타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이지 트레드의 모양에 의한 것은 연관 짓기 매우 어려운 부분입니다.
그래서 국산 컴포트 타이어와 같은 부드러운 타이어를 장착하면 노면을 타는 현상을 많이 줄일 수 있지만 차의 기본 설계와 다른 너무 소프트 한 타이어는 차의 성능과 매칭이 안되어 별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순정 타이어보다 그립이 낮거나 등급이 낮은 타이어는 독일차에는 지양하는 것이 원래 설계된 설계치내에서 안전하게 운행하는 것을 보장합니다.
70넘으신 우리 어머니도 노면 아무리 타도 이제 아무 말씀 안하십니다. 독일차뿐 아니라 고성능 차량일 수록 좋지 않은 노면에 노면을 타는 것은 즐기시길 권합니다.
변변치 않은 질문에 마스터님께서 댓글을 달아주시니 영광입니다.
신차를 받아 처음 운전해서 가는 길에서 요동치는 느낌에 놀랐고 차의 이상이 아닌지 많이 상심한 것도 사실입니다.
테드에 와서 많은 분들의 조언을 듣고 마스터님까지 대답을 주시니 이제 좀 안심이 됩니다.
다만 저같이 차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는 사람은 문제의 원인과 현상의 정도를 파악하기 전에는
아무래도 불안한 심정을 떨쳐버리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겠지요.
아마도 신차의 새 타이어와 그루브의 특정 형태가 어울려 나타난 현상인 듯 한데
앞으론 노면 타는 것을즐기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루브 원더링 groove wandering' 현상입니다.
위키에서도 잘 설명이 되어있는데요.
http://en.m.wikipedia.org/wiki/Groove_wander
그루브 라 함은 원래 명칭은 rain groove 로써, 원래는
배수를 원활히 하여 수막현상 을 방지하여 노면안정성을
더 높이기 위한 도로 시공법입니다.
하지만 시공 시 그루브 간격을 정밀하게 시공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타이어에서 흔들림을 주게 되며 이는 잘못된 시공사례이지
불안감을 조성해서 속도를 낮추는 효과라는 건 말도 안됩니다.
그렇다면 그루브 시공 구간에만 낮은 속도제한 표지판이 있어야
상식적으로 이치에 맞는데 전 그런 걸 본 기억은 없군요.
도로공사에서도 불만이 많은 구간에는 재시공을 하고 있지만
비용이 천문학적이라 빨리 보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uhp 급 타이어일 수록 세로 홈이 깊은 편이라 좀 더 잘 느껴지는 편이고
윈터타이어에서도 굉장히 심하더군요.
일반급 성능 4계절은 약하거나 잘 안느껴지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동일한 증상을 느끼시는 것 같네요.
배수가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저런 시공으로 인해 오히려 멀쩡한 길에서 운행중 불안감을 느낀다면 잘못된 것이라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도로 관리를 보면 저런 시공부터 가로줄을 만들어서 차의 진동을 유발하는 것, 코너링 경사를 잘못 만들어서 제한속도와 맞지 않는 것등 너무 엉망입니다.
마스터님이 얘기하신게 제가 생각하기에는 정답이라 보이네요.
저도 차 2대의 타이어를 서머와 윈터 타이어 교환해서 달려보면 다른 문제보다 타이어에 의한 차이가 가장 크고, 특히 독일차들과 같이 서스가 단단하고 타이어 월이 단단할 수록 노면을 그대로 읽다보니 운전자의 핸들이 흔들리고 불안감이 오는거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과속하던 차들은 속도를 줄일 수 밖에 없구요.
그래서 런플랫 타이어가 주는 장점을 포기하고 교환 하시는 분들이 많은듯 합니다.
상태 좋은 중고 타이어가 많이 있는것으로 보면 일반적이거나 한국적인 정서 (?) 운전 스타일에서는 런플랫이 조금 안맞는듯 해요..
문제의원인은 1번입니다. 세로그루브와 타이어 트레드면 간섭으로 인한 현상입니다.
타이어와 세로그루브(노면의 세로홈) 의 간섭이니 휠은 상관없고 타이어 교체하시면 어느정도줄어들긴합니다.
저도 예전에 순정타이어 일때 순정이든 스포츠타이어이던 트레드면에 세로홈이있는 타이어면 여지없이 같은현상이발생하고
그나마 V형 패턴의 타이어를 사용하니 거의 없다시피합니다..(단,노면소음,트레드웨어 기타등등 단점이있지요)
아무튼 크게 걱정하실문제는아닙니다..(도로상의 문제이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