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흔히 주행을 하다보면...
상대편의 차량으로 인해서 위협을 받은적이 있겠죠..?
어제같은 경우 제가 상대차량으로 인해서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정면충돌을 당할뻔 했습니다...
XG 검정 차량인데..
바로앞에서 깜빡이 없이 급차선 변경에.. 추월도 못할꺼면서 차선이 막혀버리니 급 브레이킹...
아찔한 순간에... 본능적으로 핸들을 꺽는다는게..1차선 주행에서 중앙선쪽으로 -_-;;;;
2차선에는 차량이 주행중이였고.. 맞은편에는 한대도 없었습니다...
너무나 당황하고..열을받은 나머지..
쫌 따지고 싶더군요..
그래서 냅다 달려갔죠...
나름 쫌 치고나가던데..(XG 15인치 순정)
금새 잡혀서..코너에서는 나가지도 못할꺼면서 왜 그렇게 운전을 하는지..
회 썰듯이... 그거보다 더한 나이프질을 하더군요...
한번의 깜빡이 없이...
그래서 따라가서 옆차선 붙어서 창문열고 갓길 주차하라고 손짓을 했더니..
창문은 커녕 걍 생(?) 하더군요..
그러던 찰나.... 우측으로 살짝 꺽이는 커브아닌 커브...
당시 속도는 140~160.....
XG는 4차선..
저는 3차선인데..
4차선은 차선이 비어있더군요...
3차선의 진로차선은 정속주행하는 차량이 있었구요... 그 앞에는 바로 신호등이 ;;;;
그래서 커브아닌 커브를 들어가면서..
브레이킹을 했더니..
뒤가 날리면서 ㅠ.ㅠ.............
아찔한 경험을 했따는...
다행이 미끄럼 방지 턱(?) 이 있어서 모면했지만..
그 미끄럼 방지 턱으로 인해서 살짝 바운딩 치면서 브레이크가 잠겨버리네요 ㅡㅡ;;;;;;;
순간적으로... 오른쪽 커브아닌 커브에서 핸들은 우측으로 살짝 꺽여진상태에서..
리어는 살짝씩 날리고.. 브레이크는 거의 풀 브레이킹에...
바운딩 치면서 브레이크가 잠겨버리고..ABS 가 걸려버리더군요 ㅡㅡ................
그래서 이러다간 박겠다 싶어서..
순간적으로 브레이킹을 나누어 밣기를 시도한 끝에..
중심을 잡고... 정상적으로 제동을 할수가 있었습니다..
주행중인 차량으로 인해서 카운터 치기에 는 불안했었고.. 솔직히 자신보다는.. 긴박감부터 몰려오다보니..
평소 생각대로 따라주지는 않게되네요...
서킷이나.. 공도주행시 회원여러분은 이러한 순간이나..
코너시... 브레이킹을 하는데.. 리어가 날린다면... 어떻게 컨트롤 하시는지..?
오토미션이다보니..할수 있는게... 후.............
미리미리 몸으로 습득을 해놔야... 긴급상황에.. 조금이라도 모면할수가 있을듯 합니다 ㅠ.ㅠ
상대편의 차량으로 인해서 위협을 받은적이 있겠죠..?
어제같은 경우 제가 상대차량으로 인해서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정면충돌을 당할뻔 했습니다...
XG 검정 차량인데..
바로앞에서 깜빡이 없이 급차선 변경에.. 추월도 못할꺼면서 차선이 막혀버리니 급 브레이킹...
아찔한 순간에... 본능적으로 핸들을 꺽는다는게..1차선 주행에서 중앙선쪽으로 -_-;;;;
2차선에는 차량이 주행중이였고.. 맞은편에는 한대도 없었습니다...
너무나 당황하고..열을받은 나머지..
쫌 따지고 싶더군요..
그래서 냅다 달려갔죠...
나름 쫌 치고나가던데..(XG 15인치 순정)
금새 잡혀서..코너에서는 나가지도 못할꺼면서 왜 그렇게 운전을 하는지..
회 썰듯이... 그거보다 더한 나이프질을 하더군요...
한번의 깜빡이 없이...
그래서 따라가서 옆차선 붙어서 창문열고 갓길 주차하라고 손짓을 했더니..
창문은 커녕 걍 생(?) 하더군요..
그러던 찰나.... 우측으로 살짝 꺽이는 커브아닌 커브...
당시 속도는 140~160.....
XG는 4차선..
저는 3차선인데..
4차선은 차선이 비어있더군요...
3차선의 진로차선은 정속주행하는 차량이 있었구요... 그 앞에는 바로 신호등이 ;;;;
그래서 커브아닌 커브를 들어가면서..
브레이킹을 했더니..
뒤가 날리면서 ㅠ.ㅠ.............
아찔한 경험을 했따는...
다행이 미끄럼 방지 턱(?) 이 있어서 모면했지만..
그 미끄럼 방지 턱으로 인해서 살짝 바운딩 치면서 브레이크가 잠겨버리네요 ㅡㅡ;;;;;;;
순간적으로... 오른쪽 커브아닌 커브에서 핸들은 우측으로 살짝 꺽여진상태에서..
리어는 살짝씩 날리고.. 브레이크는 거의 풀 브레이킹에...
바운딩 치면서 브레이크가 잠겨버리고..ABS 가 걸려버리더군요 ㅡㅡ................
그래서 이러다간 박겠다 싶어서..
순간적으로 브레이킹을 나누어 밣기를 시도한 끝에..
중심을 잡고... 정상적으로 제동을 할수가 있었습니다..
주행중인 차량으로 인해서 카운터 치기에 는 불안했었고.. 솔직히 자신보다는.. 긴박감부터 몰려오다보니..
평소 생각대로 따라주지는 않게되네요...
서킷이나.. 공도주행시 회원여러분은 이러한 순간이나..
코너시... 브레이킹을 하는데.. 리어가 날린다면... 어떻게 컨트롤 하시는지..?
오토미션이다보니..할수 있는게... 후.............
미리미리 몸으로 습득을 해놔야... 긴급상황에.. 조금이라도 모면할수가 있을듯 합니다 ㅠ.ㅠ
2007.10.12 21:28:51 (*.44.160.94)

그렇군요... 공도에서 그렇게 달린다는게 잘못된건 사실이지만...
이번 경우를 떠나서.. 행여나 순간적인 본능에 달리다가 코너를 만나게 될시.. 언더가 나는것돠 비슷한 경우가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순간적으로 살짝 언더가 났을때 브레이킹을 하게되면 말씀하신대로 뒷따르는 차량과 마주보며 인사를 하게되는건데 -_-..
오토차량으로 카운터 치기가 참 애매모호합니다..
저같은 경우 기어단수를 강제로 다운해서 동시에 브레이킹을 나누어 빠르게 밣아 대처합니다..
이땐 노면이 좋을때 얘기지만..본문에서 살짝 튀어버리면 ABS와 함께 브레이크가 잠겨버리는 그런 상황이 되다보니..ㅠ.ㅠ..
일단 말씀하신게 어떤건지 확실하게 염두해야할 필요가 있는듯 합니다...(_ _)
이번 경우를 떠나서.. 행여나 순간적인 본능에 달리다가 코너를 만나게 될시.. 언더가 나는것돠 비슷한 경우가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순간적으로 살짝 언더가 났을때 브레이킹을 하게되면 말씀하신대로 뒷따르는 차량과 마주보며 인사를 하게되는건데 -_-..
오토차량으로 카운터 치기가 참 애매모호합니다..
저같은 경우 기어단수를 강제로 다운해서 동시에 브레이킹을 나누어 빠르게 밣아 대처합니다..
이땐 노면이 좋을때 얘기지만..본문에서 살짝 튀어버리면 ABS와 함께 브레이크가 잠겨버리는 그런 상황이 되다보니..ㅠ.ㅠ..
일단 말씀하신게 어떤건지 확실하게 염두해야할 필요가 있는듯 합니다...(_ _)
2007.10.13 02:02:46 (*.229.109.2)

ABS 차량의 브레이크가 잠기는건 ABS 작동이 시작된겁니다. 다시풀어 주는것 보다, 그대로 밟고있는게 제동거리를 더 단축하게 된답니다. 뒤가 슬라이드 되는건 언더가 아니라, 오버스티어지요. 전륜구동의 경우, 가벼운 오버스티어땐 카운터스티어가 아니라 살짝 손에 힘을 풀어주는 정도로 탈출해야 합니다. 의식적인 카운터 스티어링 시, 리버스 스티어가 발생하죠.
그러나, 뒤가 45도 이상 돌아가는 심한 스핀시(속도에 따라 다르지만)에는 풀브레이킹을 해서 완스핀 시켜 정차하는게 더 안전합니다. - 주변 상황에 따라 물론, 대처법이 달라져야 할겁니다.
그러나, 뒤가 45도 이상 돌아가는 심한 스핀시(속도에 따라 다르지만)에는 풀브레이킹을 해서 완스핀 시켜 정차하는게 더 안전합니다. - 주변 상황에 따라 물론, 대처법이 달라져야 할겁니다.
2007.10.13 06:34:31 (*.4.16.186)
저같은 경우 산 타다가 뒤가 날려 죽을뻔 한적이 두번 있었는데,
무의식중에 저도 모르게 카운터를 주게 되더군요...
역시 깜독님 말씀대로 리버스 스티어가 발생해서 반대편으로 스핀할뻔 했는데,
FF차량은 이게 젤 무서운거 같습니다.
어느 포인트에서 카운터를 다시 풀어줘야 리버스 스티어 발생이 최소한으로 줄어들지...
무의식중에 저도 모르게 카운터를 주게 되더군요...
역시 깜독님 말씀대로 리버스 스티어가 발생해서 반대편으로 스핀할뻔 했는데,
FF차량은 이게 젤 무서운거 같습니다.
어느 포인트에서 카운터를 다시 풀어줘야 리버스 스티어 발생이 최소한으로 줄어들지...
2007.10.13 09:49:04 (*.34.230.72)

아시다시피 FF로 코너를 돌때 너무 빠르다 했을때 브레이크를 잡으면 뒤가 흐르는 오버스티어가 납니다. 그렇게되면 아지 살짝 카운터를 잡으면서 엑셀을 밟아주세요. 저는 핸들보다는 엑셀워크로 오버에서 언더로 언더에서 오버로 전환을 합니다. 요점은 큰 언더스티어가 날정도의 코너진입속도를 빠르게 잡아서는 안되구요, 그렇다고 해서 언더중에 큰오버스티어가 날정도의 브레이킹도 위험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언더가 나면 그냥 엑셀떼시면 왠만한 코너는 다 돌아나옵니다. 안전운전하세용~^^
2007.10.13 14:16:39 (*.110.99.25)

카운터 스티어의 경우 저는 스티어링휠을 자연스럽게 놓아서 돌아갈만큼 돌아가게 하면서 액셀링을 합니다. 다들 말씀하셨다 싶이 리버스 스티어의 압박이 가장 무섭습니다 ㅎ. 약간의 운전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카운터스티어까지는 제대로 들어갑니다만 역시나 스티어링을 풀어주는 시점을 놓쳐서 사고가 나는것 같습니다.
"휴 오버스티어가 다 잡혔구나~"하면서 풀면 십중팔구 리버스스티어로 연결되지만 "오. 오 이제 뒤가 좀 잡히기 시작하는데~"하면서 스티어링을 풀어나가야 적당한것 같습니다 ㅎ
브레이킹은 위에 이익렬님의 설명과 같이 ABS가 있는 차에서의 펌핑브레이크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아는 분의 차를 와인딩에서 동승할 경우 락이 걸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습관적으로 펌핑브레이크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습니다. abs가 있다면 드르륵 할때 락을 푼다고 브레이크를 놓아봤자 멍충한 반응속도로 인해 한참이나 계속 떨고 있기 때문에 페달을 꾸준히 밟고 있는게 이득인것 같습니다. 아직 좋은 차를 빠르게 몰아본 경험이 없는데 고성능 abs의 경우 개입 시기도 늦고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바로 작동을 멈춘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휴 오버스티어가 다 잡혔구나~"하면서 풀면 십중팔구 리버스스티어로 연결되지만 "오. 오 이제 뒤가 좀 잡히기 시작하는데~"하면서 스티어링을 풀어나가야 적당한것 같습니다 ㅎ
브레이킹은 위에 이익렬님의 설명과 같이 ABS가 있는 차에서의 펌핑브레이크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아는 분의 차를 와인딩에서 동승할 경우 락이 걸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습관적으로 펌핑브레이크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습니다. abs가 있다면 드르륵 할때 락을 푼다고 브레이크를 놓아봤자 멍충한 반응속도로 인해 한참이나 계속 떨고 있기 때문에 페달을 꾸준히 밟고 있는게 이득인것 같습니다. 아직 좋은 차를 빠르게 몰아본 경험이 없는데 고성능 abs의 경우 개입 시기도 늦고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바로 작동을 멈춘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2007.10.13 20:56:02 (*.127.196.140)
ABS는 사실 정확한 기계는 아닙니다 맹점이 있습니다
4바퀴에 모두 제동력이 전달되기때문에 차체의 속도를 알수가 없기 때문이죠...
이때 줄어드는 차체의 속도는 데이터에 의존한 예상일 뿐입니다 (ABS는 이런경향으로 줄어든다는 데이터에 의존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반대로 TCS는 구동륜이 전륜이나 후륜일경우에 나머지는 차체가 움직이는데 따라서 움직이기 때문에 구동륜에 스핀이 발생하는지 안하는지를 알수가 있습니다
이것도 4륜구동일땐 힘들어지죠...
ABS는 직선으로 제동하는데는 괜찮은데...
하중이동량이나 슬립앵글 기타등등을 고려해야만 하는 코너링시 제동에 관련된 프로그램으로서는 좀... 그렇습니다 (적당한 표현을 찾기가 어렵네요...)
눈이나 얼음판에서의 제동과 마찬가지로 ABS는 코너링에서 브레이킹 포스를 상당히 약하게 작동시키고 개입시기가 빠릅니다
(사실 코너링중 브레이킹이라면 숙련된 레이서가 ABS보다는 낮다고 생각합니다)
코너링시 급제동으로 ABS가 작동되면 얼음판처럼 줄줄줄 미끄러지면서 언더도 오버도 아닌상태로 옆으로 날라갈것입니다
적극적으로 이런 상황을 차가 알아서 타개해 주길 바란다면 ESP가 장착되어있어야 합니다만... 사실 ESP도 경험상 그리 믿을만한 물건은 못됩니다 (상당히 강력한 동적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제일 좋은것은 드라이빙스쿨이나 이런교육을 줄수있는곳에서 배워두는것 뿐입니다
평소에 연습이 안되있으면 급박한 상황시에 절대 대처할수 없습니다
4바퀴에 모두 제동력이 전달되기때문에 차체의 속도를 알수가 없기 때문이죠...
이때 줄어드는 차체의 속도는 데이터에 의존한 예상일 뿐입니다 (ABS는 이런경향으로 줄어든다는 데이터에 의존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반대로 TCS는 구동륜이 전륜이나 후륜일경우에 나머지는 차체가 움직이는데 따라서 움직이기 때문에 구동륜에 스핀이 발생하는지 안하는지를 알수가 있습니다
이것도 4륜구동일땐 힘들어지죠...
ABS는 직선으로 제동하는데는 괜찮은데...
하중이동량이나 슬립앵글 기타등등을 고려해야만 하는 코너링시 제동에 관련된 프로그램으로서는 좀... 그렇습니다 (적당한 표현을 찾기가 어렵네요...)
눈이나 얼음판에서의 제동과 마찬가지로 ABS는 코너링에서 브레이킹 포스를 상당히 약하게 작동시키고 개입시기가 빠릅니다
(사실 코너링중 브레이킹이라면 숙련된 레이서가 ABS보다는 낮다고 생각합니다)
코너링시 급제동으로 ABS가 작동되면 얼음판처럼 줄줄줄 미끄러지면서 언더도 오버도 아닌상태로 옆으로 날라갈것입니다
적극적으로 이런 상황을 차가 알아서 타개해 주길 바란다면 ESP가 장착되어있어야 합니다만... 사실 ESP도 경험상 그리 믿을만한 물건은 못됩니다 (상당히 강력한 동적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제일 좋은것은 드라이빙스쿨이나 이런교육을 줄수있는곳에서 배워두는것 뿐입니다
평소에 연습이 안되있으면 급박한 상황시에 절대 대처할수 없습니다
2007.10.14 01:29:00 (*.230.158.237)

FF에서 뒤가 날아갈때 대부분 카운터스티어까지는 들어가주지만 그 이후에 카운터스티어링과 함께 스로틀도 어느정도 열어주면서 뒤쪽의 접지력을 살려줘야 하는 첫번째 어려움이 있고, 거기까지 성공했다해도 카운터를 다시 풀어주는 시점을 놓쳐서 리버스스티어에 걸리는 두번째 어려움이 있지요. 그렇게 리버스스티어를 좌우로 몇번씩 반복하다가 스핀하는 경우도 있구요. 결국 그런 상황을 몇번씩 겪으면서 반복학습이 되어야 하는데 일반도로에서 체득하기엔 좀 위험하죠. 스핀을 모면할 수 있는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카운터와 함꼐 스로틀도 어느정도 열어주어야 하고 그리고 카운터에서 다시 제자리로 복원하는 시점은 생각보다 빨리 잡아주셔야 합니다. 그게 아니면 그냥 카운터상태로 브레이만 꾸욱 밟고
있으면 스핀은 하겠지만 역스핀에 걸려서 더 큰 사고가 날 확률은 적어지겠죠. 특별히 운전에 좀 자신이 있으신 분이 아니라면 후자를 추천합니다.
있으면 스핀은 하겠지만 역스핀에 걸려서 더 큰 사고가 날 확률은 적어지겠죠. 특별히 운전에 좀 자신이 있으신 분이 아니라면 후자를 추천합니다.
2007.10.14 09:30:46 (*.64.116.129)
오버 스피드로 진입시 제가 쓰는 방법 (맞는지는 모릅니다)
마진도 없는 아주 위험한 도로 - 브레이크 꾹 밟고 기도...
폭이 약간 좁을 때 - 브레이크로 미세하게 컨트롤: 밟으면 오버 떼면 언더, 적절하게 조절
폭이 넓을 때 - 엑셀로 컨트롤: 밟으면 무조건 언더: 스핀은 절대 안함...
물론 모든 상황은 실제 스핀이 나기 시작하기전에 해야합니다.
핸들은 중립상황에서 15도 정도이상은 카운터를 주지 않습니다...
이미 스핀이 일어나 그 이상의 카운터스티어까지 필요한 상황이라면 일반도로에선 브레키만 밟습니다.
마진도 없는 아주 위험한 도로 - 브레이크 꾹 밟고 기도...
폭이 약간 좁을 때 - 브레이크로 미세하게 컨트롤: 밟으면 오버 떼면 언더, 적절하게 조절
폭이 넓을 때 - 엑셀로 컨트롤: 밟으면 무조건 언더: 스핀은 절대 안함...
물론 모든 상황은 실제 스핀이 나기 시작하기전에 해야합니다.
핸들은 중립상황에서 15도 정도이상은 카운터를 주지 않습니다...
이미 스핀이 일어나 그 이상의 카운터스티어까지 필요한 상황이라면 일반도로에선 브레키만 밟습니다.
2007.10.14 14:10:18 (*.224.196.213)

입질이 슬슬 올라옵니다....
이론상으로 계속 해서 반복 읽기를 하니... 상상으로 하는 방법이라도 찾는중입니다..
이론상으로 계속 해서 반복 읽기를 하니... 상상으로 하는 방법이라도 찾는중입니다..
2007.10.14 16:33:28 (*.224.196.213)

앞 215-45-17
뒤 215-50-17
스펙은 이렇습니다...
앞의 타이어가 다되어서 이번에 EVO V12 로 가려고 합니다... 사이즈는 215-50-17 순정사이즈로 갑니다..^^:
뒤 215-50-17
스펙은 이렇습니다...
앞의 타이어가 다되어서 이번에 EVO V12 로 가려고 합니다... 사이즈는 215-50-17 순정사이즈로 갑니다..^^:
2007.10.14 21:31:44 (*.124.78.179)

타이어 스펙으로 뭔가를 커버하시려고 하지 마시고, 드라이빙 스쿨 참가해보세요.
앞뒤가 편평비가 다르니 롤 강성도 달라지겠고,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클릭 드라이빙 스쿨은 내년 초에나 시작하겠지만, 이번달 말에 베르나 구입고객 스쿨이 있더군요. 렌트가 가능하다면 차를 빌려서 오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화성 자동차 성능시험연구소에서 실시하는 교육이 그래도 가장 시설이 좋습니다.
앞의 상황에 대해서는 다들 잘 말씀해 주셔서 별로 길게 쓰고 싶지는 않구요. ABS 작동이 되면 계속 브레이크를 밟아야하는 건 중요한 개선방향입니다.
추가로, 미끄럼 방지턱은 절대 접지력에 도움이 안됩니다. 그게 보인다면 오버하시는게 매우 위험하다는 거죠.
어쨌든, 빨리 써킷으로 오세요. 잘 가르쳐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다음주 클릭경기에서 뵙는것도 좋겠습니다. 체험주행때 꼭 동승하세요.
앞뒤가 편평비가 다르니 롤 강성도 달라지겠고,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클릭 드라이빙 스쿨은 내년 초에나 시작하겠지만, 이번달 말에 베르나 구입고객 스쿨이 있더군요. 렌트가 가능하다면 차를 빌려서 오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화성 자동차 성능시험연구소에서 실시하는 교육이 그래도 가장 시설이 좋습니다.
앞의 상황에 대해서는 다들 잘 말씀해 주셔서 별로 길게 쓰고 싶지는 않구요. ABS 작동이 되면 계속 브레이크를 밟아야하는 건 중요한 개선방향입니다.
추가로, 미끄럼 방지턱은 절대 접지력에 도움이 안됩니다. 그게 보인다면 오버하시는게 매우 위험하다는 거죠.
어쨌든, 빨리 써킷으로 오세요. 잘 가르쳐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다음주 클릭경기에서 뵙는것도 좋겠습니다. 체험주행때 꼭 동승하세요.
일단 가장 일차적인 방법으로는, 공공도로에서는 마진을 크게 주고 운전하는 겁니다. 램프에서 브레이크를 밟는다고 뒤가 흐를정도면 상당히 빠른 속도에서 브레이크를 조작하신것같네요.
뒤가 흐를 경우 브레이크에서는 발을 떼야합니다. 급하게 떼면 스핀하므로, 슬며시 떼는 감각이 중요합니다. 리어 슬라이드의 경험이 거의 없는 일반 운전자라면 본능적으로 브레이크로 발이 가는데, 이러면 뒤에서 오는 차랑 마주보며 인사하게 되죠^^;;;;
엑셀을 반쯤 밟으며 카운터를 들어가는데, 카운터를 너무 크게 주면 안됩니다. 리어가 날라갈때 가장 무서운것이, 일차적으로 뒤가 흐르는게 아니고, 뒤가 흐른게 잡히면서 역방향으로 날라가는 '리버스스티어'죠... 리버스되면 작은 손상으로 끝날껄 크게 다칠수가 있습니다.
되도록 180도 이내에서 카운터를 주며 엑셀레이터를 밟아서 앞바퀴의 트랙션으로 뒤를 끌고가는게 중요합니다.
되도록이면, 앞에서도 말씀드렸듯 공공도로에서는 마진을 크게 주는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