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지금 면허학원에서 도로주행 대기중인 학생입니다!
수동기어를 써본적이없어서 궁금한점이 많은데요ㅠㅠ
일반도로 주행중 정차할때와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방법좀 알고싶어서요ㅠㅠ
예를들어 60km로 주행중 신호등이 적색으로 바뀐것을 보고 정차할때 폿브레이크로 한 30~40km까지
속도를 다운시키고 30~40km 사이에 풋브레이크를 유지한 상태에서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빼서 완전히 정차후 기어중립상태에서 클러치만 떼주는게 방법이 맞는건가요?
그리고 고속도로 주행시 100km이상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법을 써야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내리막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쓸 때 기어를 다운해주려면 클러치를 밟아야 할텐데 3단에서 2단으로 변속시 그냥 평소 변속하던데로 기어만 다운해주고 풋브레이크만 사용하면 되는건가요?~
아 그리고 수동차량 변속하는 동영상을 보다보면 변속하자마자 바로 클러치 떼시는 분들도 계시던데 어떻게 시동이 안꺼지는거죠?ㅠㅠㅠ
자세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ㅠㅠ 수동엔 완전 초짜라 장내에서 할때는 이해가 완벽하게 갔는데 시내주행에선 조금 다른거같아서 찾아보는데 봐도 잘 이해가 안가서요ㅠㅠ 부탁드립니다!_!
뭐라고 댓글을 달까? 고민을 하면서 글을 읽었는데 윗분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꼭 수동차량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너무 재밋어요.~~~~~~

면허학원 다시니는 중이라 하시니 혹.시.나. 해서 조금 자세히 부연설명 드리겠습니다.
2. 보통의 경우 자동차의 엔진이 바퀴를 굴려서 차가 움직이지만 내리막길에선 반대로 바퀴가 엔진을 회전시키게 됩니다. 엔진은 회전이 빨라지려면(RPM이 올라가려면) 더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내리막길에서 엑셀을 밟지 않고 달리면 엔진회전수가 올라가다 일정수준에 이르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게 됩니다. 내려가려는 힘이 더 이상 엔진회전을 빠르게 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죠. 엔진회전수가 일정하면 자연히 속도도 일정해지겠죠? 이런식으로 풋브레이크를 밟지 않고도 엔진회전에 따른 저항을 이용하는 것이 엔진브레이크입니다.
야트막한 내리막길에서 엑셀을 밟다가 떼면 차에 저항이 걸린듯한 느낌이 들면서 점차 속도가 줄어드는데 이게 엔진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입니다.
3. 엔진과 변속기(미션) 사이에서 그 둘을 연결해주는 것이 클러치판 흔히 말하는 디스크 삼발이 입니다. 클러치페달을 밟으면 맞닿아있는 두개의 클러치판이 떨어지고 떼면 서로 붙어 엔진회전을 변속기에 전해주게 됩니다. 시동이 걸린 이상 엔진은 항상 돌고있고, 기어가 중립이 아닐경우 바퀴와 변속기는 연결되어 있습니다. 만약 정지상태에서 클러치를
떼게되면 클러치판 하나는 돌고있고 하나는 멈춰있는 상태라 충격이 오겠죠? 초보들이 출발할때 시동 꺼먹거나 앞으로 갑자기
출렁거리면서 튀어나가거나 하는 이유가 이것 때문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하느냐? 반클러치를 사용하면 됩니다. 클러치판이 서로 닿는 속도를 느리게 해서
회전속도를 맞춰나가는 것이죠. 하지만 이 경우 완전히 맞물릴때까지 클러치판이 갈려나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운전에 익숙해지면
반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반클러치를 사용하더라도 짧은 시간만 사용합니다. 운전 잘하시는 분들은 회전차를 최소화해 반클러치 쓰지
않는것처럼 보일때도 있습니다. 그 만큼 속도도 빠르죠.
기어변속시에 울컥거리는 것은 경험만이 해결해줄 문제니 어쩔수 없네요. 지금속도에선 RPM을 얼마로 맞추어야 내가 변속하려는 단수와 회전이 맞는가를 기억하셔야 하는데 이건 차종마다 다르고, 오르막길이냐 내리막길이냐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그렇다고 반클러치는 쓰시면 안되는게 군대있을때 단 40km주행만으로 클러치판 완전마모를 달성한 선임을 목격한 적이 있다고하면 이해하시리라 믿습니다(아무리 초보였다지만 배치된지 6개월 된 새차로 그게 가능할 줄은 몰랐습니다)
전문가분들도 많이 계신데 괜히 잘 알지도 못하는 제가 너무 아는척 한 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항상 안전운전 하시길 빌겠습니다.

레브매칭 혹은 더블클러치로 검색해서 읽어보세요
연비절약때문에 수동차를 구입하신분도 있으시겠지만
더블클러치하는맛에 수동차만 고집하는 저같은 사람도 있습니다
힐앤토는 포기했습니다 ㅜ.ㅜ
1. 정지 할땐 뭐 될수 있는데로 최대한 기어가 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해주시다가 마지막에 클러치를 밟아주는 것이 좋겠고요
시속100키로에서 정지하던 30키로에서 정지하던 마찬가지고요
2. 엔진브레이크는 rpm이 1800rpm정도(차마다 다름) 이상에서 악셀페달을 안밟으면 걸립니다. 더 강력한 엔진브레이크는
말씀하신대로 저단으로 변속하여 고rpm을 만들어주는 것이고요 풋브레이크하고는 아무 상관없습니다.
3. 차가 움직이는 상태에서는 시동이 꺼지지 안습니다. 변속후에 클러치를 바로 떼어 버리는 것이 클러치 수명에도 도움이 되겠죠
단 rpm이 적절하지 못한 변속후 그대로 클러치만 떼어 버리면 차가 울컥거리게 됩니다. 따라서 속도와 기어단수와 적절한 rpm이
잘 맞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빨리 떼어 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