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 여섯번의 겨울을 보내고 일곱번째 봄을 기다리는 골프.
골프의 많은 장기중에서 안쪽에 숨어있는 특징중 가장 큰 모습은
일관성을 유지한다는 점이다.
기계적인 견고성에 기초한 내용적인 일관성은
도로위에서 운전자에게 예측과 설정의 가능성을 셈치기 편하게 해준다.
이는 곧 충직한 골프의 한 단면이다.
- 독일차의 본 맛은 아주 기본적인 모델에서 그 가치가 오히려 극대화된다.
현재 국내에 수입되는 골프의 사양도 어느정도는 너무 푸짐하다.
기본 對 기본 차량끼리의 차이가 극대화되는 부분이 오히려 골프 혹은 독일차라고 생각된다.
오랜기간동안 독일차와 호흡하고 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갈수록 극명하게 느껴진다.
종종 과정을 건너뛰고 우연히 만난 고기능 고사양 모델에 대해서 독일차에 대한 칭송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결론도 큰 의미가 없는 내용일뿐더러 그 과정속에 있는 수 많은 모델 혹은 차종에 대한 맛을 건너뛰는
자동차를 즐기지 못하는 아쉬움이 더 커보인다.
고치고 수리하면서 정이 들고
그만큼 그 차에 대해서 지식도 넓혀가고 (이는 곧 자동차 전체 장르에 대한 자신감으로 축적가능하다)
재미와 즐거움이 더해지고 생겨날 때 비로소 공고한 맛이 된다고 생각된다.
옵션외우고 가격표 외우고, 어설프게 끼워맞춘 마케팅, 디자인 감성 타령보다는
혼자만의 조용한 즐거움과 앎의 더함이 자동차를 재미있게 대하고 즐거움으로 흡수되는 선순환의 모습을 갖는다.
여러타입의 생활상이 존재하고 하나를 선택해 강요할순 없지만
조용히 즐기고 고치고 만족하는 자동차 즐기기에 비해서 현재는 너무 화려함만이 창궐해 아쉽기도 하다.
열심히 돌아가는 3세대 골프 엔진과 살짝 단내도 나면서 푹식거리는 엘란트라를 즐기는 이의 재미가 아마 더 은근할 것이다.



말씀하신 부분에 공감하고 그걸 느끼기에 딱인 차가 아닐까 합니다. 독일차가 화려한 럭셔리의 대명사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독일차의 매력은 외적으로 수수한 가운데 내적으로 품고 있는 화려함(기계적 완성도?)이 아닐까 합니다.

5세대 수동 R32는 금전 여유가 있으면 당장 데려오고 싶어하는 녀석이구요~
느껴보고 싶습니다. 독일차의 감성이라는 것을..

우선 같은 골프종(種)을 타는 오너입장에서 쏙쏙 와닿는 내용이네요~ ^^
하지만, 골프만을 놓고 독일차를 일반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쌍용에서 나오는 엑티언을 중동에 사는 모하메드가 타면서 전반적인 '한국차'에 대해 논하는 것과 비슷하겠죠. ^^
저도 골프(2세대 GTI, 3세대 GTI, 4세대 R32, 5세대 R32)타면서 AUDI(B6 A4, B7 RS4), BENZ(W220 S55 AMG), BMW(E46 330CI, E46 M3)랑 동시에 교차운영하면서 비교해 보면 그 '감성'이란게 완전~ 다름을 느낍니다. PORSCHE는 가져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구요. 아무튼 어느 한 차종을 놓고 절대 독일차를 논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독일차를 몰면서 갖게되는 개개인마다의 그 느낌이 '감성'이라면 국산, 일제, 미제 모두 '감성'이란게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잘돌고 잘서고 잘간다' 이따위 이니셜D에 나오는 신의발이 했던 헛소리같은 것으로 감성을 포장하는 글은 이제 지양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ㅋㅋㅋ 그냥 자신만의 좋고 싫은 것을 보편적 감성의 우월성으로 착각하는 건 아닌가 경계해야한다고 보구요. 덧붙여 말씀드리면, 한 번 독일차를 소유해 보면서 "별 이유도 없이" 다른 차에는 눈을 안 돌리려고 하고 다른 차종을 볼 때 색안경을 쓰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제법 많기 때문에 이는 심각하게 반성해 봐야하는게 독일차를 모는 오너가 가져야하는 덕목이라 생각합니다. ^^ 수 많은 테드회원들이 예전에 그것 때문에 꼴보기 싫다고 테드를 떠났습니다. ㅠㅠ
사업을 하면서 가지고 있던 차를 하나씩 처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왜 R32 안팔고 RS4 파는지, S55 파는지 이해를 못하는 모습을 접했었습니다. 가장 큰 이유를 대라고 한다면, 저에겐 4세대 R32가 제일 좋은차이기 때문입니다. 남들이 생각하는 좋은차 타고 여자 꼬실일도 없고. 어디가서 으시댈 일도 없습니다. 다 R32와의 경쟁에서 져서 나가떨어졌을 뿐입니다. 스펙과 가격표만 줄줄외우는 이론도사들은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일이죠. 아무튼 여기까지 읽으시면서 '쟤 무슨 소리하려고 하는거야?' 하시겠지만, 결론은 골프가 최고다 입니다. ㅎㅎㅎ
이영우님의 좋은 글과 사진을 보고 생각이 많아져서 댓글이 길어졌네요. ^^;

말씀하신 차종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하고 있습니다.
충분히 주지하고 계신바와 같이 엑티언과 골프의 차대차 및 포지션 대 포지션의 차이는 매우 현격하기 때문에 재미있는 수사로 이해하며 말씀에 공감합니다. ^^
저는 업무상 여러차종에 대한 체험을 비교적 오래 해오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도 많은 독일차를 관리해왔습니다.
권역별 국가별로 브랜드별로 여러가지 자동차를 접하고 관찰하는 면에 있어서 '충직한 모델'이라는 카테고리에 대해서 '골프'가 있을 뿐이고 그 카테고리에는 다른 자동차도 몇몇 담아두고 있습니다. ^^
그리고 말씀중에서 주요하게 큰 공감은 독일차 만능에 대한 일방적 선언에 대한 부분입니다.
차를 좋아하시는 분들이 그런 부분에 대한 어떤 설정을 표방하시는건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근래 매체에서 다루는 내용을 보면 참 막연해 보일때도 있습니다.
1리터부터 6.2리터까지, 다양한 브랜드를 경험해본 뒤에 정의와 그렇치 않은 막연한 결론의 차이는 매우 격차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음식만큼이나 자동차부문역시 편식의 위험성은 있습니다.
저는 독일차도 좋아하지만 일본차와 포드차를 참 좋아합니다.
자동차 역사를 살펴볼 때 각각의 자동차의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부분에 있어서의 이해기반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굽이진 곳을 지나는 골프의 모습을 담은 썸네일이 좋습니다. ^^
감사합니다.

저도 수입첫차로 항상 골프를 입양하리라 맘먹었었죠(시승때 느낀 그감동이란...) 하지만 애들도 있고 골프보단 좀 더 큰 트렁크가 필요했기에 저의 드림카 목록에 있었던 e39 530is를 얼마전 입양했습니다..독일차는 첨이지만 만8년이 넘어가는 차이
지만 약간의 정비만으로 한치도 흐트럼없는 핸들링과 엔진음에 넘 감탄하며 지내고 있어요..남들은 왜 구형을 사냐고 묻지만
제게는 단지 구형이 아니라 꿈을 이루어간다고 생각합니다..얼마전에 본 문구가 생각나네요..
" drive your dream"
제가 9 만 가까이 타는동안 언제나 꾸준한 친구같은 느낌이였고
특히 기계적인 단단함 긴장감은 그간 한치의 늘어짐도 없이 묵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