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E46 320i 서스펜션 작업 했습니다.
작업기라기보다는 부품 소개및 정보 공유와 간단한 리뷰 정도 되겠습니다. ^^
미국까지 200km를 내려가서 작업을 하게된 이번 동기는 사실 기존 서스펜션의 상태가 불만족스러워서는 아니었고
좋은 품질의 새 파트를 마침 싸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믿고 맡길 수 있는 분을 찾을 수 있었고요.
예전에 pss10 같은 코일오버와 bmw performance 서스 킷과의 사이에서 질문 글을 올렸었는데요,
가격대비 만족도와, 현재 가족의 데일리카로 써야한다는 점 등 때문에 퍼포먼스 킷을 선택했답니다.
"BMW 퍼포먼스" 파트 라인업은 "M 스포츠"나 "M 테크닉"이라는 이름의 팩토리 옵션파츠와는 달리
자신의 BMW를 본격적으로 튜닝하기 원하는 오너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BMW의 해답이라고 할 수 있지요.
E46/E60 시절부터 시작된 걸로 보이며, 기본 흡배기에서부터 캠, 서스펜션,, 요즘 1er 들에 나오는 카본 파트, 스티어링휠 등..
요런 분위기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순정" 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확 튀는 성능 향상보단
밸런스와 편의성을 잃지않는 적당한 선의 튜닝을 제공하지요..
사실 E46 때의 BMW 퍼포먼스 튜닝 부품은 많은 부분 330i ZHP 퍼포먼스 패키지 차량에 장착되어나오는 부품을 파는 거라서
"330 따라하기" 라는 기분도 있습니다만..;
그러고보면 5년 전, 제 인테그라 GSR에 뮤겐 인테그라 type R 조절식 코일오버와 type R 컨트롤암 작업을 했던 것과
상당히 비슷한 성격의 작업이 되었습니다.
파트 구성은,
앞/뒤 댐퍼와 bump stop (사진의 노란색 부품)
M프론트 컨트롤암 (all 메탈 볼 조인트)
프론트 스테빌라이저 바 (23.5mm)
이고, 나머지 샥 마운트와 개스킷, 부싱, 댐퍼 부츠 등등을 전부 새것으로 바꾸어주었습니다.
사실 스테빌 사이즈는 일반 M 스포츠 팩의 것과 같은 사이즈이고 스프링의 차이도 없다시피하지만
M 스포츠팩에 비해서 댐퍼의 스펙이 가장 큰 차이를 낳는다고 생각됩니다.
spec::: 바운스 (앞/뒤) +50% / +20%, 리바운스 +35% / -8%
(아래)컨트롤암의 M 레터링은 보너스.. 드디어 제 차에도 M 글자가 달린 부품이 달렸군요.. 안보이지만..^^;;;;
젊은 미국 친구 혼자서 작업을 다 했는데, 어려움없이 일이 잘 끝났습니다.
테.드 회원분의 배려로 작업을 가까이서 보면서 작업자와 정보도 공유하면서 간접적인 "참여"도 할 수 있었고요.
보통 정비소에 차를 맡기면 마치 분만실 밖에서 기다리면서 애써 다른 일에 집중해야하는 기분이지만
저 날 만큼은 직접 의사 옆에서 산모 손을 잡고 지켜보는 기분이 들더군요.
그 엄청난 차이는 자녀가 없는 분들도 테.드 회원분이라면 이해하실듯...
->스테빌라이저 엔드링크 조립중인 Tyler 라는 친구입니다. Mk.1 래빗 오너예요.
테.드 회원 두 분께서 이른아침부터 해질녘까지 함께해주시고, 심심하지 않게 해주셔서 매우 즐거운 하루였습니다.
특히 부품을 따로 네 번에 걸쳐서 주문보내놓고 부품간 호완 문제 때문에 여러번 귀찮게 해드렸으나
작업이 성공할 수 있게 처음부터 끝까지 신경써주신 그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
->쓰레기통으로 들어가게된 기존 부품들.. 특히 댐퍼는 양손으로 잡고 압축해보면 사람 힘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정도로 "늙은" 상태였습니다.
리뷰///
코너링성능만 본다면 코일오버나 종발이형 애프터마켓에는 뒤질 수밖에 없을겁니다.
하지만 모든 면을 고려했을 때 "정말 내가 찾던 셋업이다" 하게하는.. 제에게있어선 완벽에 가까운 작업결과 였습니다.
,, 탑기어의 제레미 클락슨보다 직설적이고 뉘르의 사빈 슈미츠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테스트드라이버인 와이프에게
운전대를 맡겨봤습니다.
"정지한 상태에서 출발할 때 뒤가 가볍게 느껴져. 출발할 때 반응도 더 빠르고."
"하이웨이 램프에서 전엔 차 돌리면서 몸도 같이 쏠려서 돌았는데 그게 없어."
두 번째 말은 당연한 결과지만, 출발이 빠르다... ? 반대로 말하면 기존엔 출발시 뒤가 무겁고 한템포 느렸다는 얘기인데, 원래 달려있던 샥의 상태를 감안하면 이해가 됩니다.
뒷바퀴의 파워가 실제로 차를 노면에서 앞으로 밀어내기 전에 하중이동으로 차 앞을 들고 뒤를 주저앉히는 과정을 필요이상으로 거치면서 운전자가 느끼기에는 상대적으로 반응이 더뎠던 걸로 느껴지는 것이겠지요.
무엇보다도 "어? 이거 왜이렇게 낮아? 딱딱해? 불편해!" 라는 말이 안나왔다는 것이 가장 큰 성공입니다. 그것이 바로 순정 서스펜션 라인업을 선택한 이유였으니까요.
그러면서도 돌아오는 길에 제가 스티어링을 잡았을 때 205 55 16 스노우타이어로도 차선을 따는 움직임..예전에 비하면 살벌하네요. 중저속 코너에서 시각적으로 차이가 보일 정도로 롤이 없어진 것도 인상적입니다.
단지 스티어링 초기 반응이 아주 살짝 더뎌진 느낌을 받았는데요, 생각해보니 작업 후 얼라인먼트에서 프론트 캠버가 설정 한계치의 positive 한계치로 되어있다는 것이 원인일걸로 생각됩니다. 스프링이 안착되는데도 시간이 더 필요할테고요.
내년 봄에 휠타이어 하면서 프론트 캠버를 유럽형 330 ZHP 설정에 가깝게 해볼까 생각합니다. (유럽형은 북미형 M스포츠팩 또는 북미형 ZHP보다 0.5도 마이너스입니다. 그렇게되면 지금보다 최소 0.5도에서 최대1.3도 마이너스일듯..)
더 오래탈 결심을 하고 진행한 작업이었는데 결과가 만족스러워 다행입니다. 내년엔 당장 앞 브레이크 작업.. 그리구 냉각시스템 교체, 연료 필터와 펌프 등등의 작업이 줄 서 있네요~
일단 이 겨울을 무사히 보내게되었으면 좋겠군요~~ 길고 재미없는 글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들 즐겁고 안전한 카라이프 되세요~ ^^*


축하드립니다 차량 색상이 너무 이쁘네요 이름이 뭔가요?
저도 오늘 일찍부터 도서관 갈일이 생겨서 아침을 햄버거로 먹엇는데
드라이브쓰루에서 한손엔 뜨거운 커피를 들고 한손으론 운전을 하며
컵홀더도 없는 이 차를 이렇게 사랑하는 제자신이 한편으론 웃기더군요
그래도 정말 너무 사랑스럽습니다 ㅋㅋ
그나저나 출력에 갈증은 없으신지요?
e46 화이팅입니다 ㅋㅋ

현재님, 색상은 Silber Grau Metallic 입니다. 다크 실버(그레이) 같으면서도 blue 끼가 살짝 도는... 개인적으로 2차대전 때의 그사람들 유니폼 색깔하고 비슷한듯...^^:
저도 컵홀더 때문에 낭패인 때가 많아요.. 북미형은 그나마 센터 콘솔에 홀더 두 개가 있지만, 그나마도 암레스트를 내리면 하나는 못쓰죠..
출력의 갈증보다는 "실용성과 편의성"이 가장 큰 단점이라 느끼고있습니다.
시내 운전에서 60km/h 정도에서 추월할려고 킥다운을 하면 2단 3500rpm 언저리에서 가속이 시작되는데,, 그 때 저rpm 토크 부족으로
더디게 느껴지는 때 제외하고는 출발 가속이나 하이웨이에선 만족입니다. ^^*
bmw에서 2.2 리터 M54엔진으로 320의 성능을 "받아들일 정도"로 내기 위해서 파워 밴드를 325등에 비해 더 뒤로 옮겼고 기어비를 가깝게 뒀다고 알고있습니다. (오토의 경우는 드라이브트레인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실제 토크 곡선이 후반에 늦게 떨어지고 그만큼 최대 마력이 레드라인 바로 밑에 위치하고있어요.
저도 E46 화이링입니다^^~

좋은 서스펜션 교체 ㅊㅋ드립니다 ^^
제 생각에도 공도주행과 적당한 즐기기 드라이빙에는
팩토리 튠 사양이 가장 좋은것 같습니다.
어떤 차종이던지 스포츠 패키지 같은 옵션혹은 차종을 몰아보면
대개 밸런스가 좋고, 너무 불편하지는 않으면서, 재미도 나는 딱 좋은 절충선에 있는듯 합니다.
아무리 좋다는 서스펜션도 공도에서 쿵쾅대는거 타고 다니기엔 제가 매우 일반인 취향인듯....^^

너무 딱딱하지 않으니 다행이군요
캐나다에는 320i가 세일 라인업에 있군요, 지금 e9x모델들고 320i가 팔리고 있나요?

재현님, 북미에서 E36 이후에 4기통 bmw는 들여오지 않는것 같습니다.
E9x 의 경우 캐나다는 323i 가 entry model 이며 직렬 6기통입니다.
그런데 미국에는 320이 없다보니 튜닝파트 구하기가 쉽지않죠.. 실제론 거의 호완되지만 자료에는 없어서요..
저 퍼포먼스 서스 킷도.. 미국 딜러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샵에서 산건데.. vin 넘버를 줬더니 미국버전 3시리즈 자료에선 부품이 맞는다는 자료를 찾을 수 없다고.. 퇴짜맞았다가 제가 우기다시피해서 "겨우" 샀어요..쿨럭..;

보고 있는 제가 다 흐뭇해집니다. ^^ 돈을 쓰고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면 정말 속상한거죠. 하지만, 충분한 조사를 하고 조언들을 참고한다면, 왠만해서 그 결과가 잘못되는 경우는 적은 것 같습니다. 양우람님의 열정과 성의에 힘입어 좋은 결과가 나왔다는 생각이 들어요~ ㅎㅎㅎ
알삼이가 사진속에 숨은 그림처럼 저만치에 보이는군요~
그나저나,
",, 탑기어의 제레미 클락슨보다 직설적이고 뉘르의 사빈 슈미츠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테스트드라이버인 와이프에게
운전대를 맡겨봤습니다."
라는 표현을 보고 제수씨가 어떤 분인지 막 만나보고 싶어졌다는... ㅋㅋㅋ

영인님 오셨군요. ^^ 영인님 없었으면 못했을 작업입니다. 휠/타이어 선택 때도 잘 부탁드려요~
R32의 460마력 사양에 17" 235 휠타야를 하신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성능은 뭐 말할것도 없었고요.. (하이웨이에서 치고나갈 때 2단으로 내리셨는줄알았는데 알고보니 4단이었다는...ㅡㅠㅡ)
와이프는.. 뭐 구체적인 드라이빙 테크닉은 없지만 운전을 좋아하고 수동 운전도 가능한고로,, 힘닿는데까지 훌륭한 드라이버로 키워볼 생각입니다..+_+; 경험이 적고 편견이 없고 배경지식이 없기에 오히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해요~
PR 나오면 미국도 종종 내려갈 생각입니다.~ 함께 뵐 기회가 있을거예요.^^*
얼마전 door pocket에 장착하는 컵홀더 때문에 알아보니.. 북미형과 국내에 들어온 차량과 다른 부품들도 꽤 있더군요.
door pocket용 컵홀더는 북미 전용 모델이라... 무리 해서 주문했습니다.^^ Q&A에 올린것처럼.. 결과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제 E46 330i는 M팩키지로 알고 있는데... 낮아서 생각보다 꽤 자주 바닥을 긁고 다닙니다.
performance 서스팬션은 어느 정도 차고를 유지하는지 궁금합니다.
언제봐도 E46은.. 가장 BMW 다운 디자인 중에 하나인거 같습니다.

저도 도어포켓용 컵홀더 필요합니다.. 혹시 받으시거든 리뷰 부탁드려봅니다~
bmw 스프링에 있어서 이번에 알아보면서 많은 것을 알게되었는데요,
일단 ZHP 스프링은 인터넷상의 공식 정보로는 일반 M스포츠에 비해 15mm 내려간다고 되어있습니다.
스프링레이트는 앞은 6%, 뒤는 8% 증가이고요.
하지만 외국 포럼에서는 "북미형의 경우 ZHP의 캠버값이나 스프링 부품은 M스포츠의 것과 동일하게 쓴다"라고 결론내리는 추세더군요.
제가 쓴 중고스프링도 북미 부품일테니 진승님의 330 M스포츠 스프링과 같다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다르다고 해도 큰 차이 없는 스프링이지요.
제것이 M스포츠 스프링과 같더라도 320과의 중량 배분과 총 중량 차이(40kg)가 있기 때문에 제 차는 진승님 차보다 덜 내려갈것이고요.
스프링이 자리 잡으면 작업 전/후 비교사진 올릴 생각입니다. 아직은 차고가 별로 내려가지 않았어요~ ;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서 새차 얻은 기분이시겠어요.^^
저도 520d의 서스 때문에 어케 할까 고민중입니다. 스테빌라이져 + 다운스프링 아이박(H&R) 알아 봤는데 지상고 때문에 고민중입니다. 가끔 비포장 길을 달려야 하는 숙명 때문에.... 순정으로 M 퍼포먼스 킷들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네- 정말 새 차 얻은 기분입니다. 더군다나 중고로 구입한 차이기 때문에 진정한 bmw 하체를 이제야 제대로 맛보는 기분이군요^^
저역시 서스 고르는 과정에서 H&R 스포트라인이나 아이박 프로킷도 많이 알아봤었죠.
제 경우는 순정 샥이 12만킬로나 되었었기 때문에 스프링만 하는 것은 비추였고,, 지상고가 최소 1.25인치씩 낮아지는 것조차 부담이어서 이렇게 왔습니다. 특히 디젤이시면 같은 스프링이라도 차는 더 낮아지실것이고요.
사실 bmw 에서는 차의 엔진 뿐아니라 미션 선택이나 기타 주요한 옵션에 따라서 다른 스프링이 달려서 나옵니다..
스프링레이트가 최적화되어있는것이지요..
따라서 해당 차종(520 디젤)을 위한 순정 퍼포먼스나 M 서스로 가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사제품은 2도어건 4도어건 중량 차이가 몇십kg이 나건 간에 다 똑같은 제품을 적용시켜버립니다..

퍼포먼스킷으로 가셨군요 축하드립니다 ^^ 역시 1er의 그것과는 구성품이 조금 다르군요
자리잡고난후의 e46의 멋진자태도 기대하겠습니다.

신뢰성의 측면에서는 가장 훌륭한 튜닝이 아닌가 싶습니다 ㅎ
여담입니다만 e46의 컴비네이션 램프들 중 저 토마토 사이에 치즈 들어가 있는 모양이 전 제일 예뻐보이더라구요 ㅎ
만족하신다니 축하드립니다~
저도 언제 STi 달아보나.....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