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홍콩에 갔다가 오늘 아침에 왔습니다.
아이팟 충전기를 찾으려고 제 비행기 탑승구 바로 앞 전자제품 면세점코너를 갔다가 조그만 RC자동차가
여러대 진열된 것을 보았습니다.
별거 아닌가 보다 하고 지나치려다 잘 보니 Drift package라고 써있더군요. 아래와 같은 박스가 차종별로
여러개 진열되어 있었습니다. 이니셜D의 포장에 더 호기심 증폭.

호기심이 발동하여 뒷면을 보니 뜻밖에 재미있는 물건이 될 것 같은 예감!
리프트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이 있었는데 차로 마땅히 즐길 곳도 없고 GTI는 전륜이다 보니 적당하지
않은 것도 같던차에 사고위험도 없는 장난감이니 호기심이 갔지만 딱히 결심이 서지 않더군요.

뒷면을 보니 생각보다 재미있겠다는 느낌이 팍 들어군요. 그림의 도넛 만들기 같은 것들은 평소에 참
해보고 싶었던 것들입니다.

그렇게 갈등 속에 게이트로 돌아왔다가 그래도 안사면 후회할 것 같아서 기장님께 '잠깐 전자제품 악세사리
하나만 얼른 사오겠습니다' 하고 후다닥 계산하고 왔습니다.
원래는 GT-R34를 사오려고 했는데 그것보다 만원여를 더 주면 속도가 빠른 이 놈을 살 수 있다하여
이 놈으로 결정했습니다. 모터가 더 빠른 놈이라네요.
환율적용해보니 가격은 약 5만원 좀 안되네요.

박스안의 구성품입니다. 가운데 조립설명서와 양쪽에 두장의 자사 제품 팜플릿입니다.
밑에는 구동용 모터, 조향용 모터가 하나씩에 하체류 등의 부품들입니다.

조립을 시작합니다.
구동용, 조향용 모터를 끼고, 후륜을 조립하고 프로펠러 샤프트가 들어가네요. 2륜인지 알았는데 4륜입니다.
원래 RX-7이 사륜인가요.

구동용 모터입니다. D튠이라는데 무슨 소린지. 더 빠르다는 건지. 혹시 이런류의 장난감에 해박하신 분이
계시면 D튠이 뭔지 좀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전륜의 조립 모습입니다. 드라이브 샤프트랑 비슷해 보이네요. 점점 제가 진짜 자동차를 조립한다는 착각에
빠지기 시작합니다.

제가 일어를 전혀 못하지만 설명서의 그림으로 유추해보니 나름대로 전륜 얼라인먼트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네요.
생각보다 성의껏 만들어진 장난감이라는 생각에 뿌듯합니다.

drilled 브레이크 로터가 그럴싸 합니다. 비록 저렴한 장난감이지만 작은 디테일에도 신경을 쓴 것 같네요.
바퀴는 드리프트를 위해 프라스틱으로 되어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드리프트를 포함한 모든 주행에서 중요한 얼라인먼트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바퀴의
모양이 비대칭입니다. 즉, 바퀴가 옆이 아닌 앞(또는 뒤에서 보면) 미세하게 사다리꼴의 모양을 하고 있어
어떻게 끼우는지에 따라 +캠버, -캠버가 가능하게 되어있습니다.

바퀴를 다 끼우고 만땅으로 주유했습니다. 무려 AAA를 3개나 먹네요. 일부러 무게를 늘려 관성드리프트를
의도한 것 같습니다.
완전 무공해 전기차입니다. ^^; 아직 완전방전까지 써보지 않았지만 점원말로는 한시간 정도 간다니
생각보다 오래 가는 것 같습니다.

차체를 조립하고 거의 다 완성 된 모습니다. 연습주행중에 충격으로 인해 사이드미러가 없어질 것을 대비한
추가 사이드미러가 2쌍 더 있습니다. 정말 세심한 배려이지요?

마지막으로 스티커 튠을 했더니 심심한 느낌이 사라지고 이제 좀 자세를 갖추었습니다. 국민학교 이후
조립식을 처음 만드는지라 만드는데 한시간이 넘게 걸렸습니다.

머플러와 특히 부러운 디퓨저. GTI도 미니나 위의 모델처럼 저런 공격적인 디퓨저가 있으면 좋겠어요.
골프는 너무 밋밋해요. (그런 깔끔함이 매력인지 모르겠지만요)

제 차에 직접 못하는 스티커튠을 마음놓고 실컷 해봤습니다.
완성 후 달려보니 생각보다 스피드가 대단하네요. 아쉬운 것은 Light 버젼이라 그런지 조향이 아나로그식으로
스티어링각도를 미세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디지탈 식입니다. 즉 키보드로 왼쪽 full steer, 오른쪽
Full steer 만 되네요. 그래서 운전이 더 어렵고 재미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처음엔 나무 바닥에서 하니 엄청 잘 돌아갑니다. 뭐 줄곧 스핀이더군요. 직진도 잘 안되고. 해서 앞바퀴 밑에
있는 얼라이를 봤더니 어느 정도 직진이 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스핀만 나더군요.
생각해보니 바퀴가 비대칭이라는 것이 생각나 앞바퀴 두짝의 inside를 outside로 바꿔 끼니 직진성능도 좀
더 나아지고 스핀이 좀 잡힙니다. 뒷바퀴까지 안팎을 바꾸면 드리프트가 더 수월해 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스킬을 위해 일단 앞바퀴만 바꾼 상태에서 연습해보기로 했습니다.
생각보다 아주 재미있습니다. 사오길 정말 잘 한 것 같네요. 면세점에 차 외부만 여러 차종을 팔던데 나중에
홍콩에 다시 가면 다른 차종도 사올 생각입니다.
뜻밖의 득템에 기분이 좋아집니다.
아이팟 충전기를 찾으려고 제 비행기 탑승구 바로 앞 전자제품 면세점코너를 갔다가 조그만 RC자동차가
여러대 진열된 것을 보았습니다.
별거 아닌가 보다 하고 지나치려다 잘 보니 Drift package라고 써있더군요. 아래와 같은 박스가 차종별로
여러개 진열되어 있었습니다. 이니셜D의 포장에 더 호기심 증폭.
호기심이 발동하여 뒷면을 보니 뜻밖에 재미있는 물건이 될 것 같은 예감!
리프트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이 있었는데 차로 마땅히 즐길 곳도 없고 GTI는 전륜이다 보니 적당하지
않은 것도 같던차에 사고위험도 없는 장난감이니 호기심이 갔지만 딱히 결심이 서지 않더군요.
뒷면을 보니 생각보다 재미있겠다는 느낌이 팍 들어군요. 그림의 도넛 만들기 같은 것들은 평소에 참
해보고 싶었던 것들입니다.
그렇게 갈등 속에 게이트로 돌아왔다가 그래도 안사면 후회할 것 같아서 기장님께 '잠깐 전자제품 악세사리
하나만 얼른 사오겠습니다' 하고 후다닥 계산하고 왔습니다.
원래는 GT-R34를 사오려고 했는데 그것보다 만원여를 더 주면 속도가 빠른 이 놈을 살 수 있다하여
이 놈으로 결정했습니다. 모터가 더 빠른 놈이라네요.
환율적용해보니 가격은 약 5만원 좀 안되네요.
박스안의 구성품입니다. 가운데 조립설명서와 양쪽에 두장의 자사 제품 팜플릿입니다.
밑에는 구동용 모터, 조향용 모터가 하나씩에 하체류 등의 부품들입니다.
조립을 시작합니다.
구동용, 조향용 모터를 끼고, 후륜을 조립하고 프로펠러 샤프트가 들어가네요. 2륜인지 알았는데 4륜입니다.
원래 RX-7이 사륜인가요.
구동용 모터입니다. D튠이라는데 무슨 소린지. 더 빠르다는 건지. 혹시 이런류의 장난감에 해박하신 분이
계시면 D튠이 뭔지 좀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전륜의 조립 모습입니다. 드라이브 샤프트랑 비슷해 보이네요. 점점 제가 진짜 자동차를 조립한다는 착각에
빠지기 시작합니다.
제가 일어를 전혀 못하지만 설명서의 그림으로 유추해보니 나름대로 전륜 얼라인먼트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네요.
생각보다 성의껏 만들어진 장난감이라는 생각에 뿌듯합니다.
drilled 브레이크 로터가 그럴싸 합니다. 비록 저렴한 장난감이지만 작은 디테일에도 신경을 쓴 것 같네요.
바퀴는 드리프트를 위해 프라스틱으로 되어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드리프트를 포함한 모든 주행에서 중요한 얼라인먼트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바퀴의
모양이 비대칭입니다. 즉, 바퀴가 옆이 아닌 앞(또는 뒤에서 보면) 미세하게 사다리꼴의 모양을 하고 있어
어떻게 끼우는지에 따라 +캠버, -캠버가 가능하게 되어있습니다.
바퀴를 다 끼우고 만땅으로 주유했습니다. 무려 AAA를 3개나 먹네요. 일부러 무게를 늘려 관성드리프트를
의도한 것 같습니다.
완전 무공해 전기차입니다. ^^; 아직 완전방전까지 써보지 않았지만 점원말로는 한시간 정도 간다니
생각보다 오래 가는 것 같습니다.
차체를 조립하고 거의 다 완성 된 모습니다. 연습주행중에 충격으로 인해 사이드미러가 없어질 것을 대비한
추가 사이드미러가 2쌍 더 있습니다. 정말 세심한 배려이지요?
마지막으로 스티커 튠을 했더니 심심한 느낌이 사라지고 이제 좀 자세를 갖추었습니다. 국민학교 이후
조립식을 처음 만드는지라 만드는데 한시간이 넘게 걸렸습니다.
머플러와 특히 부러운 디퓨저. GTI도 미니나 위의 모델처럼 저런 공격적인 디퓨저가 있으면 좋겠어요.
골프는 너무 밋밋해요. (그런 깔끔함이 매력인지 모르겠지만요)
제 차에 직접 못하는 스티커튠을 마음놓고 실컷 해봤습니다.
완성 후 달려보니 생각보다 스피드가 대단하네요. 아쉬운 것은 Light 버젼이라 그런지 조향이 아나로그식으로
스티어링각도를 미세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디지탈 식입니다. 즉 키보드로 왼쪽 full steer, 오른쪽
Full steer 만 되네요. 그래서 운전이 더 어렵고 재미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처음엔 나무 바닥에서 하니 엄청 잘 돌아갑니다. 뭐 줄곧 스핀이더군요. 직진도 잘 안되고. 해서 앞바퀴 밑에
있는 얼라이를 봤더니 어느 정도 직진이 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스핀만 나더군요.
생각해보니 바퀴가 비대칭이라는 것이 생각나 앞바퀴 두짝의 inside를 outside로 바꿔 끼니 직진성능도 좀
더 나아지고 스핀이 좀 잡힙니다. 뒷바퀴까지 안팎을 바꾸면 드리프트가 더 수월해 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스킬을 위해 일단 앞바퀴만 바꾼 상태에서 연습해보기로 했습니다.
생각보다 아주 재미있습니다. 사오길 정말 잘 한 것 같네요. 면세점에 차 외부만 여러 차종을 팔던데 나중에
홍콩에 다시 가면 다른 차종도 사올 생각입니다.
뜻밖의 득템에 기분이 좋아집니다.
- IMG_2098.JPG (49.5KB)(3)
- IMG_2100.JPG (51.5KB)(2)
- IMG_2103.JPG (57.6KB)(1)
- IMG_2106.JPG (62.0KB)(1)
- IMG_2107.JPG (59.8KB)(1)
- IMG_2108.JPG (50.9KB)(1)
- IMG_2109.JPG (49.8KB)(1)
- IMG_2110.JPG (49.8KB)(1)
- IMG_2111.JPG (42.2KB)(2)
- IMG_2112.JPG (61.0KB)(1)
- IMG_2113.JPG (46.5KB)(1)
- IMG_2114.JPG (52.1KB)(1)
- IMG_2115.JPG (37.6KB)(1)
- IMG_2117.JPG (47.0KB)(1)
2009.06.04 21:22:27 (*.34.101.136)
드리프트 RC는 전부 4륜입니다. 2륜으로 드리프트 할수있는 사람 거의 없을껍니다; 휠베이스가 짧아서 한번 돌면 카운터로 잡기가 너무도 힘들거든요.
2009.06.04 21:23:22 (*.130.111.50)

RC드리프트 차량들... 거의다 2륜이 아니라 4륜입니다. ^^ 2륜 RC는 드리프트 제어가 상당히 힘들지요. (2륜 RC들은 직진성을 위해서 셋팅할 때 토, 캠버 값을 상당히 많이 주게됩니다.)
D튠은 그냥 이름입니다. 저 13급모터는 미니4륜카에 많이 들어가는데, 별의별 이름을 가진 모터들이 많습니다. 대쉬모터, 하이퍼대쉬모터, 울트라모터, 드래곤모터, 등등... 중딩시절 미니4륜 대회 나갈때 참 열심히 햇는데 -_-;;; AA건전지 3개로 저 모터 2개 돌리면 좀 부족합니다. 원래라면 4개 꼽아야 제성능을 내겠지요. 그나저나... 모터 2개로 4륜이라니... 무섭군요 ;;
D튠은 그냥 이름입니다. 저 13급모터는 미니4륜카에 많이 들어가는데, 별의별 이름을 가진 모터들이 많습니다. 대쉬모터, 하이퍼대쉬모터, 울트라모터, 드래곤모터, 등등... 중딩시절 미니4륜 대회 나갈때 참 열심히 햇는데 -_-;;; AA건전지 3개로 저 모터 2개 돌리면 좀 부족합니다. 원래라면 4개 꼽아야 제성능을 내겠지요. 그나저나... 모터 2개로 4륜이라니... 무섭군요 ;;
2009.06.04 21:48:10 (*.55.87.46)
몇년전 교쇼사의 미니지를 가지고 동호회(모형동호회입니다.)회원들과 레이싱 하던 생각이 나는군요^^
방바닦에서 가지고 놀기도 상당히 재미있을겁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시면 동영상도 올려주세요~!
방바닦에서 가지고 놀기도 상당히 재미있을겁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시면 동영상도 올려주세요~!
2009.06.04 22:13:00 (*.104.184.58)

타카라와 토미가 합병하기 전에 토미이던 시절에 에어로 R/C라는 저렴한 제품으로 나오던 시리즈에 드리프트를 위한 새로운 섀시를 넣은 제품이죠. 기획과 개발 당시에 제가 관련업을 하던 때라 수입을 진지하게 검토하기도 했던 제품입니다. 결국 저도 사업을 접었고, 제품도 개발 당시보다 좀 더 비싸게 나왔죠.
아무튼 모터는 정체불명입니다만, FA-13급 모터라면 타미야의 미니4륜용 블랙모터 등이 그나마 알아주는 성능을 냅니다.
아무튼 모터는 정체불명입니다만, FA-13급 모터라면 타미야의 미니4륜용 블랙모터 등이 그나마 알아주는 성능을 냅니다.
2009.06.04 22:17:28 (*.212.97.239)
^^ RC 드리프트 차량은 아니지만 1만7천원짜리 대만제 박스에 들어서 손바닥만한 RC카가 있는데요... 이녀석도 드리프트 전용차는 아니지만, 드리프트는 잘 된답니다.. 도넛도 만들어 지고....
그런데 이녀석은 후륜구동입니다....ㅎㅎㅎ
참... 저도 워낙에 십수년전 이야기라.. 모터는 그냥 메이커에서 붙힌 이름같은데요.. 나중에 저 모터만 업그레이드 시켜줘도 더 빠른 녀석으로 바뀔것 같습니다... 한때.. 모터는 블랙모터야.. 라는 말을 했었는데, 메이커도 기억이 안나네요... 한참 타미아에서 조그마한 자동차 유행할때 몇개 만들었었는데....ㅜㅜ
그런데 이녀석은 후륜구동입니다....ㅎㅎㅎ
참... 저도 워낙에 십수년전 이야기라.. 모터는 그냥 메이커에서 붙힌 이름같은데요.. 나중에 저 모터만 업그레이드 시켜줘도 더 빠른 녀석으로 바뀔것 같습니다... 한때.. 모터는 블랙모터야.. 라는 말을 했었는데, 메이커도 기억이 안나네요... 한참 타미아에서 조그마한 자동차 유행할때 몇개 만들었었는데....ㅜㅜ
2009.06.04 22:21:06 (*.104.15.95)

fa-13급 모터... 20년도 더 넘게전부터 저 디자인으로 쓰였던것인데 아직도 쓰이는군요 반갑네요 ㅎㅎ 14모터부터는 둥근 디자인이죠. 재미있을것같긴 한데, 쓰인 부품들에 비해 가격은 그리 저렴하지는 않은듯한데요~
2009.06.04 22:30:37 (*.33.56.35)

자매품으로 나와있는 Yokomo 제품이 궁금하네요. ^^ 예전에 YZ-10이랑 헉.. 이름 까먹었네요.. 온로드용 R/C 값이 후덜덜했었는데요.. 섀시가 전부 카본으로 번쩍번쩍했던 차들.. 득템축하드립니다. ^^
2009.06.04 23:33:11 (*.46.47.28)

와우, 득템 맞네요 ^^
저도 예전에 갑자기 RC카가 가지고 싶어져서 비틀 모양의 플라스틱관(?)에 들어있는걸 산적이 있는데..
그냥 굴러만 가는 수준이었다는.. ㅠㅠ;;
이렇게 저렴(?)하면서도 드리프트로 가지고 놀수있다니, 탐나는걸요~
저도 예전에 갑자기 RC카가 가지고 싶어져서 비틀 모양의 플라스틱관(?)에 들어있는걸 산적이 있는데..
그냥 굴러만 가는 수준이었다는.. ㅠㅠ;;
이렇게 저렴(?)하면서도 드리프트로 가지고 놀수있다니, 탐나는걸요~
2009.06.05 00:11:51 (*.184.41.180)

댓쉬, 하이퍼댓쉬, 르망 ㅋㅋㅋㅋㅋㅋㅋ
그냥 좋은건 블랙모터로 총칭하던 추억도 있네요.
전 그냥 모터 만들어 썼는데 말입니다 0_0 선 풀어서 고이 잘 감으면 더 좋거든요~~~ 더 많이 감고 그랬는데 ㅋㅋㅋ
그냥 좋은건 블랙모터로 총칭하던 추억도 있네요.
전 그냥 모터 만들어 썼는데 말입니다 0_0 선 풀어서 고이 잘 감으면 더 좋거든요~~~ 더 많이 감고 그랬는데 ㅋㅋㅋ
2009.06.05 00:36:16 (*.237.132.195)

우와 아메미야 바디의 FD!! 넘 이뻐요 +_+ 디테일도 상당히 괜찮네요. 한대 사고싶은;;
Rx-7은 전자장비란 ABS밖에 없는 후륜차랍니다ㅎㅎ
Rx-7은 전자장비란 ABS밖에 없는 후륜차랍니다ㅎㅎ
2009.06.05 08:43:24 (*.94.49.122)

저는 요코코의 RC 보다 "조립식"이라는 단어가 참 정감가고 그립고 옛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어렸을때는 프라모델, RC라는 명칭을 모르니 조립식 사줘~~~뭐 이딴식으로 표현했습죠...
나와 내 주변만 조립식이라는 말을 쓰는 줄 알았는데..전국 공통이네요..
어렸을때는 프라모델, RC라는 명칭을 모르니 조립식 사줘~~~뭐 이딴식으로 표현했습죠...
나와 내 주변만 조립식이라는 말을 쓰는 줄 알았는데..전국 공통이네요..
2009.06.05 09:26:04 (*.219.0.125)

득템 맞으시군요.
그나저나 저 모터는 정말 눈에 익네요. 자동차뿐 아니라 탱크 및 잠수함에 미주리 전함까지 쓰이지 않았었나요?
아... 이게 언제적 이야기인지.. ㅎ
그나저나 저 모터는 정말 눈에 익네요. 자동차뿐 아니라 탱크 및 잠수함에 미주리 전함까지 쓰이지 않았었나요?
아... 이게 언제적 이야기인지.. ㅎ
2009.06.05 09:26:49 (*.161.237.250)

540급 EP 1대, 엑스레이 1/18 1대 갖고 있습니다.
540급은 주차장에서 가끔 갖고 놀고, 1/18 EP는 주로 마루에 캔 2개 세워두고
도넛그리기 하고 놉니다. 실차에 비하자면야 박력은 덜할지라도 마음먹은대로
콘트롤 될때의 짜릿함은 정말 장난아니죠 ^^
540급은 주차장에서 가끔 갖고 놀고, 1/18 EP는 주로 마루에 캔 2개 세워두고
도넛그리기 하고 놉니다. 실차에 비하자면야 박력은 덜할지라도 마음먹은대로
콘트롤 될때의 짜릿함은 정말 장난아니죠 ^^
2009.06.05 09:56:36 (*.22.241.129)

헉~~~~ 저 뒤에 보이는 이스턴 Z-bubble 샤프트가 보이네요. 썸네일 사진이랑... 포스팅에 내용을 보니 대충 생각나는 팀이 있네요.^^ 전 아이스,인라인 다 한답니다.
2009.06.05 10:43:55 (*.46.122.32)

한국에서도 구매대행 사이트 뒤져보심 아직 리스트에 있긴 있습니다. 실제 구입이 가능할지는;;
근데 김경수님, 제가 얼마전에 저 RC제품 광고 동영상을 봤는데 광고 끝부분에 "타카라 토미~" 라고 말하던데요.. 타카라토미 합병후에도 나온거 아닌가요??
근데 김경수님, 제가 얼마전에 저 RC제품 광고 동영상을 봤는데 광고 끝부분에 "타카라 토미~" 라고 말하던데요.. 타카라토미 합병후에도 나온거 아닌가요??
2009.06.05 11:02:04 (*.247.80.53)
전기모터식이고 크기도 작은데 정말 리얼하게 잘만들어진 장난감이네요 ^^ 5만원짜리인데도 얼라이먼트 조절에 감동 +.+:(5만원이면 애들 장난감용으로 나온거랑 같은 가격이더라고요)
2009.06.05 11:27:52 (*.172.180.55)

드리프트 시리즈가 아닌 RX-7을 가지고 있는데 구성은 크게 달라보이진 않군요. 조립하다가 발견한 것인데 전륜 서스펜션이 더블 위시본이더군요. 아래쪽 부분이 스프링 역할을 하는 구조로..손으로 들었다 바닥에 내려놓으면 살짝 내려앉는 효과도..ㅋㅋ
다만 슬릭 타이어다 보니 카페트에선 열심히 번아웃만 하더군요..ㅋㅋ
다만 슬릭 타이어다 보니 카페트에선 열심히 번아웃만 하더군요..ㅋㅋ
2009.06.05 14:41:13 (*.112.41.236)
747-400 부기장님!!! 부러움에 한마디 적습니다.
The Queen of the Sky...얼마전 마지막 744F가 출고되었다던데
가장 좋아하는 기종이 이제는 슬슬 물러나니 아쉬울 따름입니다..ㅠ
2009.06.05 18:35:48 (*.177.230.217)

http://www.dokiwaku.co.kr/front/php/product.php?product_no=511&main_cate_no=119&display_group=2
여기에 팔고있습니다만 현제는 전부 품절이네요 ^^
여기에 팔고있습니다만 현제는 전부 품절이네요 ^^
5미터도 직진하기 힘들었습니다.
정말 딱 좋은 사이즈에 만들기도 간편하고, 게다가 여분의 사이드미러까지 있는 세심한 배려에..지름신 다가옵니다.
한국에는 안팔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