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이제 두 차를 어느 정도 타보고 글을 쓰게 됩니다. 각 부분에 대한 평가는 제 개인적인 의견임을 미리 밝힙니다. 역시 긴 글이 귀찮으신 분들은 굵은 글씨만 보셔도 됩니다.
Porsche : Cayman S PDK (2009) + PCCB + PASM + LSD + 스포츠 버켓 시트 -> 144,000,000원
가장 가벼운 포르쉐차에서 순수 스포츠카를 원했고 거기에 서킷을 타기 위한 옵션만 추가하였음.
Nissan : GTR (2010) 노옵션 -> 147,000,000원
서킷에서 빠른 차를 원했고 옵션 선택이 아예 불가능하였음(나름 풀옵션)
Cayman S 평소 운전
실 생활 편리성에서 아주 안 좋음. 내리고 타기 너무 힘들다(이건 스포츠 버켓 시트가 한 몫 함). 내장 장비가 별로 좋지 않고 불편하다. 오토 라이트는 당연히 없는데 심지어 배터리 세이버도 없어서 실수로 라이트 켜놓고 내리면 낭패. 다행히 GT-R과는 달리 최저 지상고에 대한 불편은 크지 않음. 새 차일 때부터 온갖 잡소리 엄청나게 남. 특히 센터콘솔 쪽 내장재 부비는 소리와 뒤 해치백 소리는 현대차라면 하자차 받았다고 할 정도로 심함. 서스펜션은 평소에 시내에도 타고 다닐만 하지만 문제는 너무나도 무거운 조작감. 특히 스티어링이 무거워서 주차장 등에서 아주 피곤함. 문 열고 닫는 것도 짜증남. 문도 한번에 잘 안 닫힘.
PDK는 변속이 빠르고 정확하며 여러번 변속을 할 때 변속 Queing이 가능함. 한가지 신기한 점은 변속을 여러번 하면 계기의 현재기어 표시 단수가 바뀌고나서 실제 변속을 하게 됨. (화면 표시는 기어 바꾸라는 명령이 접수됨과 동시에 바뀜) 어쨋든 PDK 저속이든 고속이든 말도 잘 듣고 크게 불편한 점도 없음.
엔진은 평소에 아이들이 불규칙해서 뭔가 고장난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함. 특정 rpm 넘어가면 배기음이 커지는데 이 부분은 매우 기분 좋음.
브레이크는 말이 PCCB지, 뭐 크게 좋은 것 없음. 그나마 PCCB 없는 시승차를 탔을 때 너무 안 좋아서 어쩔 수 없이 PCCB 선택 한 것인데, 역시 별로 만족스럽지 않음. 게다가 페달도 너무 무거움.
어쨋든 시내에서는 차의 조작감이 무거워서 짜증나지만, 그나마 타고 국도를 다니면 아주 좋은 스포츠카로써 변신을 하게 됨.
GT-R 평소 운전
실 생활 편리성 면에서 이상한 조합을 보여줌. 내리고 타기도 너무나도 쉽고 전동시트를 포함한 풀옵션 덕분에 가끔은 인피니티 럭셔리카를 타고 있다는 생각도 아주 잠시 듬. 블루투스도 아주 잘되고 스마트키도 동작이 아주 잘 됨. 바디나 내장재에서는 잡소리가 전혀 나지 않으며 엄청난 바디 강성이 아주 잘 느껴짐. 바디에서는 잡소리가 전혀 안 나는데 저속에서 온갖 이상한 소리가 다 들림. 디퍼렌셜 소리, 변속기 소리 등, 쇠 갈리는 소리를 비롯한 각종 부셔지는 소리가 엄청나게 많이 남. 이런 이상한 소리들이 뭔가 불안하게 만듬. 가장 심각한 문제는 평소에 타지 말라는 건지 하여간 차고가 너무 낮아서 아무데도 못 다님. 과속 방지턱을 1km/h 로 넘어도 긁게 됨. ㅠ.ㅠ
변속기는 PDK 보다 업시프트가 훨씬 빠름. 근데 다운시프트는 훨씬 느림. 저속에서 클러치 잘못 붙어서 덜덜 거리기도 하고 변속 충격이 엄청남. 여러번 조작하는 queing 은 그냥 무시해버림. PDK와 달리 실제 변속되는 순간 계기의 현재 기어 단수 표시가 바뀜. (화면 표시는 접수된 명령 수행 완료 후에 바뀜) 다운 시프팅도 브레이킹 중이냐, 중립 스로틀이냐에 따라 다르게 변속 됨. 어쨋든 평소에 타면 완전 개거지 같음. 다만 빨리 달릴 때는 너무나도 빨라서 너무 좋음. 결국 천천히 다닐 때는 PDK 가 좋고 빨리 가면 GTR 변속기가 좋음.
엔진은 역시 매우 믿음직스럽고 느낌 좋음. 회전 느낌도 좋음. 다만 감성적인 자극은 적은데 난 특색 있는 것 보다 이렇게 딱 내야 할 소리만 내는 엔진이 좋음.
브레이크는 아주 좋은데 수명이 너무 짧음. 교환비용도 비쌈.
결론은 시내에서는 타지 말라는 소리. 차고 문제도 있고, 하체에서 온갖 이상한 소리가 올라오며 변속기가 너무 병신짓을 많이 함. 이럴꺼면 그냥 옵션도 넣지 말고 서킷 머신으로 만들지 뭐하러 오디오 우퍼까지 쑤쎠넣었나 생각이 듬.
Cayman S 서킷 운전
차가 생각보다 둔함. 그나마 경량 스포츠카라는 컨셉과 달리 아주 둔한 움직임을 보여줌. 풀 브레이킹시 불안함. 순정 LSD는 있으나마나 급. M3, 370Z, S2000 등과 비교해도 훨씬 둔함.
드리프트도 길게 안되고, 자유롭게 yaw를 가지고 놀지 못함. 이 부분이 PSM off가 완전히 안된다는 것도 한 몫 함. 아예 끌 수 없으니 완전히 짜증남.
서킷에서 내구성 문제는 크게 없으나 사실 게이지가 없어서 안 보여서 모르는 것일 수도 있음. 근데 여름에 짐카나 놀이 15분 정도하면 수온 올라감 -_-; 서킷에서 타이어 마모가 꽤 큼(타이어 의존률).
어쨋든 결론은 차가 실제보다 크고 무겁게 느껴져서 서킷 주행이 아주 재밌지 않음.
GT-R 서킷 운전
반대로 차가 생각보다 날렵함. 실제 무게보다 아주 민첩하고 턴인이 빠르고 조작에 민첩하게 반응함. 풀 브레이킹시 아주 안정적이며 LSD도 아주 좋음.
길게 드리프트도 가능하며 자유롭게 yaw 변화를 주어서 놀이가 가능함. VDC를 완전히 끄면 워런티가 취소되는데 VDC R-mode 에서 포르쉐의 PSM Off 보다 훨씬 자유롭게 놀 수 있으니 이 쪽이 훨씬 좋음.
한 여름에 타면 내구성 문제가 조금 있음. 15분 정도 full 페이스로 랩 어택을 하면서 타면 미션 온도가 140도까지 올라가서 쿨다운을 해야 함. 날씨가 조금 선선 할 때 타보니 별 문제 없음. 타이어 마모는 생각보다 훨씬 적은데 브레이크가 너무 빨리 소모 됨. 역시 무게가 있어서 그런 것 같음. 렉카로 실어날라야 한다는 것은 분명 짜증나는 요소임.
서킷에서 정말 재미있게 탈 수 있는 차임. 쉽게 원하는 조작이 가능하고 정말 빠르게 달리는 것도 어렵지 않음. 서킷에서 너무 빨라서 오히려 무서운 부분들이 있음. 코너 탈출 재가속이 환상적임.
요약 및 결론
Cayman S
- 평소에 그냥저냥 탈만함.
- 조작감 너무 무거움.
- 서킷에서 둔하게 느껴짐.
태백 LAP : 1.05.51 (Michelin PS2 100% 순정)
GT-R
- 평소에 절대 못 탐.
- 뭐하러 우퍼까지 집어넣었나.
- 서킷에서 환상적임.
태백 LAP : 1.02.00 (Bridgestone RE070 100% 순정)
외관은 GT-R 엄청나게 크고, 엄청나게 전투적인 것 같고 Cayman S는 매우 아름다운거 같지만 뭐 어차피 외관은 주관적인 것이니 넘어감.
랩타임은 운전자의 위대함/허접함 을 알아서 감안하시고 봐야 함.
결론은 서로 다른 차임. 급과 용도가 다름. 맞비교가 사실상 불가능 함. 조금만 과장하자면 쏘나타 vs 포터 임. 각자 역할이 다르게 때문에 승자를 가리기가 힘듬. 다만 승자는 어느 놈이 내년에도 남아있느냐가 될 것 같음. 현재는 잘 모르겠음.


재미있으면서도 너무 웃기게(??) 봤습니다. 보면서 막 낄낄 거리면서 봤어요.
급은 다르지만 비슷한 부류일거라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부류였군요. ^^


Cayman S가 이렇게 혹독한 평을 들을줄이야 몰랐네요. 그래도 글 끝부분에는 '그래도 포르쉐다' 라는 식의 반전이 있지 않을까 했는데 ㅎㅎ

역시 포르쉐에도 뽑기는 존재하는구나... 라는 점이 공존한다는것과
조작감의 무거움 진짜 동감합니다. ㅎㅎㅎ 평상시 팔운동하는 느낌..
전 PCCB못구해서 안달인데 안좋다하시면 ㅠㅠ 분양이라도 좀 ~ 어떻게~ 라고 생각해봅니다. ^^
상대적으로 PDK가 아닌 메뉴얼이라 PDK의 장.단점을 못느끼고 있네요 ㅠㅠ


네 저는 다행히도.. 잡소리가 전혀 -_-;; 아직은 없습니다.
저와 동일날짜에 출고하신 카이맨S의 오너분은 잡소리 이야기를 하시더니 와이퍼의
드르륵;;; 소리가 난다고 하셔서 와이퍼 작동해봤는데 너무나도 +_+ 잘닦여서
감사하고 있습니다.
GTR에 비하셔서 별로라고 하신거지 저속에서 핸들이 둔하긴 하지만 재미난건 사실이죠 ^^
GTR은 정말 사기급 머신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ㅎ 부럽네요 두대의 소유자분..
PCCB가 별로다는 의견은 저도 의아~ 하네요 워... GTR의 뷁~ 상상초월이군요..

두 차의 오너가 느끼는 현실적인 단점들을 써주셔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
PDK나 GT-R 변속기의 차이점 같은건 어디서도 듣기 힘든 내용인거 같네요.
GT-R과 카이맨 두대가 갖구계신다니 정말 부럽습니당.. ^^
좋은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저는 2008년 1월식 cayman S 6MT 25000km 운행중입니다.
잡소리
-> 젠쿱 친구가 잡소리 난다고 타보라고 그래서 타봤더니 너무 조용하더랍니다.
제 차도 잡소리가 좀 나는 편이고, 특히 겨울에는 아주 심합니다.
요즘 같은 날씨에 노면 괜찮은 곳에서는 딱히 잡소리 나는거 같지는 않습니다.
둔한 움직임??
-> 제 친한놈의 e92M3,젠쿱과 자주 번갈아 타보는데
카이맨의 움직임이 훨썩 가볍고 경쾌한 느낌입니다..~~
아마도 그만큼 GT-R 이 대단하다고 받아들이시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당.. ^^
엔진 아이들 불안
-> 저의 경우 시동후 냉간시에만 잠깐 그러고 그 이후에는 아이들 불안한 느낌을 받아본적은 없습니다.
라이트 방전
-> 헤드라이트를 실수로 켜 놨다고 하더라도 그 상태에서 키를 뽑으면 DP 창에 light on 이라는 경고등이 뜨던데여..~~
방전을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당..
타이어 내구성
-> RE050A 순정타이어 25,000 KM 주행후 트레드 50% 가량 남았습니다.
써킷이나 산길을 안타서 '사실 실력이 안되서 못타서(ㅜㅜ)'
그냥 저처럼 얌전히(?) 타는 사람에게는 그냥 조금 시끄럽고, 겨울엔 미끄러운 타이어 정도인거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하루하루 포르쉐를 타면서 너무 만족하고 타고 있습니다.
GT-R을 타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ㅜㅜ
현재로서는 M 이나 AMG 보다는 폴쉐의 느낌이 너무 좋고
GT-R 을 타보지 못한다는 가정하에 다음 차량도 계속 포르쉐를 선택하게 될거 같습니다.(경제적으로 여유만 있다면 ㅜㅜ)

엔진이 달라서 아이들에 대한 얘기는 서로 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라이트 방전의 경우 계기에 light on 이라고 써 있기는 하나, 그거 놓치면 방전된다는 소리입니다. 2000년도 이후에 생산된 차가 켜놓고 가더라도 꺼주는 배터리 세이버가 없는 경우는 처음입니다.
타이어 의존률이라고 하는 것은 서킷에서 타이어에 얼만큼 차가 기대느냐(?)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그 어느 스포츠카와 비교해도 턴인이 둔한 것 못 느끼셨는지요? 370Z , 350Z, s2000, RX-8 등과 비교 했을 시 얼마나 무겁게 느껴지던지... M과 비교하셨다고 하셨는데, 제 경우 M3가 세대를 막론하고 더 민첩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윤정준님 기준을 대략 아니 더욱 명쾌하게 느껴지는 글입니다.
지난주 포르테쿱전 내구레이스 3위입상 축하드리고요, 정준님 신체구조(?)를 볼때 팔힘을 약간 길러줘야할거 같습니다.ㅋㅋ 박스터나 카이맨은 등쪽의 진동이나 소음이 정말 시끄럽더군요. GTR 은 기회될때 꼭 동승함 시켜주시길~

카이맨S만 옆자리에 잠깐 타봤는데 그게 둔하게 느껴질 정도면 GT-R은 도대체 어느정도인지
상상이 안가네요..굵은글씨 얇은글씨 할 것 없이 너무 재미있게 잘읽었습니다..^^)b

가감없는 사용기 잘봤습니다. 카이맨을 살짝 갈구시는 듯한 인상이..
ps> GT-R은 남산에서 동승시켜주셨으니 나중에 카이맨S도 부탁드려요. ^.^/

잘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GT-R은 동승해보니 너무너무 빠른데도 왠지 별 감흥이 없는,
그냥 우주에서 온 로봇 같았습니다.
카이맨s는 생각보다 안 빠르다는 느낌이 강했구요.
암튼 이런 구체적인 단점이 잘 드러나는 시승기는 아주 기분이 좋습니다.
드림카에 대한 환상을 다 깨고 현실에 충실하게 살아가게 해 주니까요 ㅎㅎ

정준님 특유의 유머가 느껴집니다. ^^
어차피 평생 소유하지도 못할 차들인데, 이렇게 시원스레 찔러주시니(?) 통쾌하기도 하지만
결국 부러움이 앞서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정준님 글 잘 읽었습니다.^^
확실히 카이만이 생각보다 날카로운 움직임은 아니였습니다.
전 그것을 발란스가 좋다고 표현한다고 했습니다만
정준님은 칼같이 그지같다, 장점이 없다
로 표현하셨습니다.ㅋㅋㅋㅋㅋㅋ
가감없는 시승기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포르쉐에서 카이만 만큼은 코너링머쉰으로 만든줄 알았는데... 다들 911에 비하면 환상적이라던 코너링이...
둔하다는건... 혼란스럽군요...
생각보다 GTR의 타이어소모가 적다는게 인상적입니다

그래도 전 두 대 중에 한 대 고르라면 Cayman 으로 고르렵니다.
왜??
여자들이 좀 더 좋아할 것 같음(그러나 실제 안 태워봐서 잘 모릅니다-_-)

위대하신 게르만 Doktor Ingenieur honoris causa Ferdinand Porsche Aktiengesellschaft가 만든 명차를 욕보이시다니 무례하고 오만하기 짝이 없군요
흠.

GTR에 우퍼가 있는줄은 몰랐는걸요? 리어에 무게 맞출려고 넣었나.. 낄낄 전 둘중에 하나 고르라면 백돼지 고르겠습니다~

감칠맛 나는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
아직 MR 경험이 거의 없는 저로서는 까이만의 둔한 핸들링의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혹시 앞의 하중이 적어서 생기는 것이 아닐까 유추해봅니다만...둔한 느낌은 어떤 것인지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카이맨S가 피드백이 그다지 빠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저는 카이맨보다 박스터가 훨씬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박스터가 또 카이맨보다 무진장 빠르다는 말은 절대 아닙니다)
뭐라고 딱 집어서 말하긴 어렵지만 굳이 표현을 하자면 언제나 반 박자 쉬고 반응이 옵니다. 아주 갈구고, 다그치나, 시내에서 슬슬 타나 마찬가지 입니다. 짐카나 해보면 정말 확연하게 느껴지더군요.

카이만S를 잠깐 시승해 봤을 때의 느낌은, 방향을 바꾸기 싫어한다고나 할까요? 무겁다는 느낌이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그렇다고 언더스티어가 난다거나 하지는 않는데, "나 귀찮으니까 그냥 직진할래" 같은 느낌. 일부러 그렇게 셋팅한 것 같은데, 셋팅의 의도를 잘 모르겠어요.

S2000을 1년반정도 탄 후에 카이맨S(MT)를 들이고 난후의 첫 느낌은.. 뭐야~ S2000보다 별로 재미없잖아~ 였습니다만..(그래서 S2000을 팔지 않고 반년정도 같이 가지고 있었나요? 적당한 주인이 나타나지 않기도 했습니다만..) 첫 와인딩시 눈깜빡할 사이에 돌아버린 경험도 한몫했습니다만(다행히 도로폭이 넓어서 충돌없이 스핀으로 그치긴 했습니다..) MR에 익숙하지 않아서 일거란 생각으로 조심조심 접근하는 게기가 되었습니다. 정준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와인딩이나 서킷에서 날카롭게 찔러 들어가는 느낌은 S2000에 비하여 떨어지기는 하지만, 브레이킹시 앞바퀴에만 체중이 실리지않고 전체적으로 가라앉으면서 묵직하게 코너에 들어가는 느낌은 또다른 안정감을 줍니다. 탈출 가속에서 사륜인 GT-R에 비할바는 아니겠지만 MR의 잇점을 살려 가속을 하면 엔진의 힘을 손실없이 땅에 전달해주느것 같구요. 카이맨이 참 마음에 들었던 점은 서킷이나 와인딩이나 고속국도나 고속도로나 가리지 않고 팔방미인격으로 쓸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이전 S2000은 고속주행은 자제하는 편이었죠..) 심지어 시내에서조차도 비교적(?) 가벼운 클러치 덕에 운행에 애로는 없었습니다. 카본버킷이 아닌 스포츠패키지 시트임에도 서킷에서 잘잡아주고 평상시 타고 내리기도 편했구요. PASM옵션이 있는차량이라 PASM+시에는 공도 주행이 무척 피곤하긴 합니다만.. 서킷이 아닌이상 ON할 일이 없었습니다. PSM을 끄고 서킷 주행시 PSM램프가 깜빡이긴 했어도 브레이크가 개입하는 느낌은 없었고 그냥 미끄러진다~ 정도만 알려주는듯했기에 완전히 꺼지지 않는다는말씀은 잘 이해가 안되네요. 이전 PSM을 켜고 공도주행시 도움을 받았을때는 개입하는 느낌이 확실이 왔었거든요.(4개의 바퀴중 어느 한두개만 브레이크가 들어오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정준님 답글 감사합니다.^^ 제 차는 06년식으로 초창기 모델입니다만.. PSM버전이 다를수도 있겠군요..(어서 알아볼데도 없고..^^;).
이전에 타던 S2000(AP1)은 ABS제외하고는 전자장치의 도움이 없어서 개입이 없다는 느낌은 잘 알고 있습니다만.. 카이맨에서도 어떻게 개입한다는 위화감은 없었거든요. 앞으로 계속 서킷에서 뵐테니 한번 기회가 되시면 제 차를 타보시고 최소개입이 어떤 느낌인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그게 어떤 느낌인지 궁금해지네요. ^^ 재미를 본다는 의미가 드리프트를 말씀하시는거 같기도 한데.. 어설픈 실력이지만 태백 1번과 둘리에서 드리프트를 시도했을때 곡선에서는 비교적 드리프트가 깔끔하게 잘되었었고 곡선후 직선에서 계속밀어주지 못해서 LSD의 부재로 생각했었거든요.(언젠가는 LSD를 박고 말테다~라고 다짐..) 이때도 개입한다는 위화감은 잘 못느꼈구요. 그나저나.. 순정 LSD가 별로라고 하시니, 순정보다는 콰이페사의 LSD를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그리고 위에 몇분이 말씀해주셨지만, 저도 초기에는 카이맨에 수퍼차져나 터보를 올리고 이것저것 더해서 GT3RS를 능가하는 차를 만들어 보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GT3에 동승(시승이 아닙니다.)해보고 생각을 깨끗하게 접었습니다. 차원이 틀린차더라구요.. 카이맨에 이것저것을 더해서 올라갈수 있는게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정준님도 다음 차는 그걸로 비교해보심 어떨지요? 그리고 카이맨에 네오바만 끼셔도 느낌이 많이 틀려지더군요. PS2끼고 처음 태백에 들어갔을때는 정말 타이어 뭉개지고 난리도 아니었습니다만.. 네오바낀 후 3번의 서킷데이를 견디고 한번 더 가도 될 정도의 타이어 소모율을 보이네요. 위의 1분 5초대가 순정 PS2의 기록이라면 정준님 정말 운전 잘하시는겁니다. ^^b
오랫만에 용진님 글을 보네요...
PDK 박스터S 에 들어간 LSD에 대한 자료 입니다.
정확히 같은 제품인지 확인못했지만
아마도 Cayman S 에 장착된 것과 같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GT3 가 얼마나 다른지 확인하셨으면
전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은 Posche의 Set Up 능력을 믿고
포르쉐가 올린 LSD 의 효용에 대해 더 느껴 보는것은 어떨까요^^
Christophorus 337 에 실린
Michael 의 글에서 보면
" 새로운 모델에는 리어엑슬에
언더 파워에서는 22% 오버런에서는 27%에 달하는
차동제한 장치가 18인치와 19인치 휠과 연결되어 탑재되었다.
이로써 트랙션과 안정성이 확연히 개선되었으며, 커브가 심한 구간에서 더욱 강력해진 성능을 내보이며 멋진 드라이브의 재미도 맛 볼 수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