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이글은 동아블로그에 올린 글의 원문을 그대로 옮겨온 것입니다.
---------------------------------------------------------------
K5를 보기위해 KTX를 타고 부산까지가서 모터쇼장에 입장해 가장 먼저 기아부스로 달려갔다.
K7에 대해서도 워낙 높이 평가했기 때문에 K7과 일맥상통하는 K5의 디자인에 깊이 매료되었으며, 인테리어 역시 흠잡을 데 없는 깔끔하고 높은 수준의 짜임새를 느낄 수 있었다.
YF소나타보다 약간 낮은 가격대에 포지션된다고 하니 구입하고 싶은 맘도 점점 증폭되어가는 중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구매에 대한 충동이 뒷좌석에 앉아보는 순간 급속도로 냉각되어 버렸으며, 뒷좌석에서 내리는 순간 이차를 구입할 수 없다고 결론을 짓고 말았다.

이유는 뒷좌석 가운데 좌석의 안전벨트때문이었다.
필자는 3자녀를 둔 다자녀 가정의 가장이다. 세아이 모두 뒷좌석에서 베이비시트를 설치해 이동하며, 5살짜리 딸아이는 늘 가운데 자리에 3~7세용 차일드 시트에 3점식 벨트를 하고 앉아 잠이 들더라도 몸이 확실히 지지되는데다가 차일드시트는 딸아이의 목도 잘 지지해준다.
우리가족이 이동할 때 안전벨트를 매지 않는 것은 앞좌석이건 뒷좌석이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딸아이 유치원을 고를 때 직접 유치원버스에서 안전벨트를 매는지도 눈으로 확인하고 입학을 시켰을 정도다.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차를 탈 때 벨트를 안맨적이 없는 딸아이는 당연스럽게 차에 타면 벨트를 매야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K5의 중앙좌석 즉 우리 딸아이를 앉혀야하는 자리의 안전벨트는 3점식이 아닌 2점식이었다.
그것도 벨트의 반도를 수동으로 직접 조정해 타이트함을 조절하는 아주 구닥다리 방식이라 차일드시트를 장착한 후 제대로 착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다.
요즘은 고속버스를 타도 이런 거지같은 2점식 벨트가 아닌 스프링 롤타입을 사용한다.
옆에 전시된 K7을 확인했다. 역시 마찬가지이다.
현대는 좀 다른가 싶어 제네시스를 살펴보았지만 역시 똑같은 형태의 벨트였다.

한마디로 어이가 없었다.
아무리 많은 에어백과 주행안정장치를 지녔다해도 가운데 앉은 탑승자는 추돌시 2점식 벨트에 복부를 의지하기 때문에 장파열이 될 가능성이 높고 추돌시 상체가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머리를 센터콘솔에 부딪칠 가능성이 극도로 높다.
가운데 앉은 사람은 그야말로 차에 장착된 그 어떤 안전장비의 보호도 받지 못하는 무방비 상태인 것이다.
모터쇼 직원에게 물었다.
현대,기아 차종중에서 가운데 3점식 벨트가 있는 차종이 있는지? 대답은 가운데 좌석에는 3점식 벨트가 필요없으며, 기존 자동차 안전법에 가운데 좌석에 의무적으로 3점식 벨트를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했다.

그렇다면 모든 국산차는 다 가운데 좌석에 이런 말도안되는 2점식 벨트뿐이란 말인가?
그래서 쌍용전시장에 가서 최고급 모델인 체어맨W를 보았더니 허접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기대도 하지 않고 르노삼성차를 살펴보니 SM5와 SM7에는 가운데 좌석에도 3점식 안전벨트가 장착되어 있었다.
항상 현대기아는 수출형차와 국내 내수용차량의 안전도가 같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새빨간 거짓말이다.
위의 스크린샷은 현대의 미국사이트를 발췌한 것이다.
YF소나타의 안전장비제원을 확인해보니 붉은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모든 사양에 전좌석 3점식 안전벨트가 기본적용되어 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YF역시 K5, K7, 제네시스등과 마찬가지로 고속버스보다 못한 가운데 좌석 안전벨트를 장착하고 있는데, 어떻게 두차종이 같은 안전도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는가?
필자는 2000년 이후로 유학때 타던 차를 이사짐으로 들여와타고 있으며, 집안에 역시 중고차로 구입한 독일차를 패밀리카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패밀리카로 사용하는 우리 집안 웨건형 승용차와 부모님이 타시는 승용차 모두 가운데 좌석이 3점식이며, 내가 알기로는 독일차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한 축에 속하는 폭스바겐은 98년부터 생산된 4세대 골프때부터 가운데 좌석에 3점식을 기본장착했다.
나라에서 강제를 하던 하지않던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에 대해 눈꼽만큼의 열정이 있었다면 모든차종에 3점식 안전벨트를 적용하는 것이 옳다.
사실 국내에서 뒷좌석에서 안전벨트를 하는 경우가 드무니 이를 문제 삼거나 필자처럼 차를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 단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번에 부산모터쇼에서 발견한 가운데 좌석 3점식 벨트에 대한 자체조사(?)에서 큰 충격을 받았고, 다음달 제주도에 식구들과 놀라갈 때 소나타 대신 SM5를 빌리기로 맘을 굳혔다.
부모는 자식을 태우고 안전운전을 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이는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3자녀에게 모두 동등한 조건의 안전장비를 적용시켜야하는 의무 역시 크다. 하지만 현대,기아차종으론 어린 남동생들 때문에 가운데 앉아야하는 딸아이에게 부모로서의 의무를 다할 수 없다.
사고는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른다.
내가 잘하건 못하건 예고없이 찾아오는 교통사고에서 내가 부모로서 자식에게 동일한 안전장비를 착용시키지 못한 것으로 인해 딸아이가 더 큰 부상을 입기라도 한다면 아마 난 평생 나자신을 용서하지 못할 것이다.
현대,기아의 철학이 쉽게 바뀔 것을 기대하진 않지만 패밀리세단에 가운데 좌석에 3점식 안전벨트가 적용되는 시점에 정말 진지하게 구매를 고려하고 싶다.
하지만 지금은 아무리 멋지고 성능이 좋은 차가 출시된다해도 내맘을 흔들진 못할 것 같다.
- CIMG0630.jpg (83.6KB)(9)
- CIMG2191.jpg (163.1KB)(7)
- CIMG2194.jpg (86.2KB)(7)
- CIMG2195.jpg (98.9KB)(6)
- CIMG2196.jpg (140.8KB)(6)
- CIMG2211.jpg (133.4KB)(6)
- CIMG2212.jpg (116.8KB)(6)
- CIMG2213.jpg (138.9KB)(6)
- CIMG2223.jpg (130.7KB)(6)
- CIMG2224.jpg (99.6KB)(6)
- CIMG2227.jpg (134.5KB)(6)
- CIMG2228.jpg (104.3KB)(7)
- CIMG2231.jpg (137.1KB)(6)
- CIMG2233.jpg (108.8KB)(6)
- CIMG2234.jpg (88.7KB)(6)
- CIMG2235.jpg (151.8KB)(7)
- 그림1.jpg (63.5KB)(6)

아이가 둘이라서 이런 것은 별로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심각한 문제군요. 정부에서도 아이낳기를 권유하는 마당에 이건 좀 아닌것 같습니다.
우리가 어쩌면 가장 중요시한다기보다 당연시해야 할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 너무 무방비 상태였던 것 같고, 소비자나 메이커 쌍방이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하면 앞으로도 현기차의 진정한 자동차 브랜드로써의 거듭나기와 내실 기하기는 시간이 더 필요할 듯 싶군요. 국산차를 모두 싸잡아 하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차 본연의 달리기라는 기본성능과 안전성이라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지 못하고, 럭셔리 룩, 전자장비, 디자인 등 눈에 보이는 부분만으로 소비자를 현혹해왔던 사실도(요즘 그 기대치만큼이나 확인되지 못한 부분이 많지만) 분명히 되돌아 보고 짚고 넘어갈 의무가 있겠지요. 아쉬운 정보를 알게되어 무척 실망스럽습니다...

차 뜯는게 직업인 제 입장에서도 국산차와 소위 말하는 수입차들의 차이점은 내장재질과 디자인의 우위에 있는것이 아니라 저런 사소하지만 정말 중요한 편의성의 차이에 있었습니다. -.-

저 역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다보니 국산차는 리스트에서 자연스레 제외되더군요. -_-: 그나마 말씀처럼 르노삼성이 안전 장비는 현대/기아보다 좀더 나은 거 같습니다. ISOFIX 도 꽤 오래 전부터 채택됐었으니까요. 적어도 제가 알기로 국내용 NF 소나타에는 ISOFIX 도 없던 걸로 압니다.
최근 VDC 와 에어백 기본 장착되는 걸 시사기획 - 쌈의 효과로 봐야 할런지~~~
이런 걸 보고도 어떤 사람들은 법규문제때문이라고 주장하더군요..
메이커는 장사꾼일뿐이니 법규안에서만 만들면 된다는 식으로..
물론 법규도 잘못입니다만..메이커 마인드 하고는..
옛날 쥐포티지 사진보면 뻔하지 않습니까..안전성 시험 안하는 부위들을 어떻게 만드는지..
이러고도 세계적인 자동차기업이라고 자랑을 자랑을..

음 이건.. 권영주님(세아이)이 아니면 발견하기 힘든 사실이네요.
지난번 시사프로그램에서도 못찾아 낸건데..
현대/기아.. 혼 함 또 나야겠습니다.
이야.. 이거 생각도 못했던 황당함이네요...
저는 예전에 차를 사려 하는데 LATCH system이 적용된 국산 SUV 차량이 없는 것을 보고 황당했던 기억이 있습니다만..
이건 한 술 더 뜨네요...

이건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전체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뒷좌석에는 벨트를 안메도 된다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고, 메이커 입장에서는 뒷좌석벨트 특히나 가운데 좌석의 벨트는 돌돌 말아서 시트 밑으로 숨겨버리는(걸리적거리니까요) 문화에서 원가절감의 기회가 된것이겠죠. 인도에서 원가 절감중 하나로 나온것이 사이드미러 제거 였다고 하는데, 이 역시도 그 나라 운전문화가 그러하니 나온 말이 아니겠습니까. 어떻게 되었던 빨리 3점식으로, 그리고 iso fix도 꼭 같이 넣어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뒷좌석 가운데 3점식은 저 역시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가운데 사람이 어쩌다 한번을 타더라도 당연하게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예전에 소유했던 98년 독일차도 3점식이었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제 차(구형SM520)는 3점식이 아닌데... SM525V는 3점식이었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언젠가 뒷좌석 가운데 앉아서 갈 일이 생겨서 2점식 벨트를 매봤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건 뭐 거의 무용지물 같더군요. 몸이 확실히 고정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급정거시 벨트가 되감기는 것도 아니고...
상체는 상체 대로 아무런 의지처가 없는 앞으로 쏠리고... 본문에 나와있는 대로 고속버스의 그것보다도 더 못한 것 같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뒷좌석 가운데 자리의 벨트를 3점식으로 바꾸면 굳이 시트 밑으로 벨트를 우겨넣을 일도 없을 것 같습니다.
등받이에 딱 붙어있는 시트벨트는 적어도 걸리적거리지는 않을테니까요. 그리고... 사용하기가 편리해지면 그만큼 사용빈도도
늘어나지 않을까 합니다.
국내판매 차량에 전좌석 3점식 시트벨트 장착 역시 다른것처럼 꼭 법으로 강제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을런지... 씁쓸하네요.

마스터님 멋진 기사 잘 읽었습니다. 읽어보니까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로군요.
우리나라 현기차도 뒷자리 중앙좌석 2점식에서 3점식으로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아주 사소한 부분인데..당연히 있었고, 당연히 있겠지라고 해서 눈여겨 보지 않았는데..
기계적 충돌 안전이라기보다는 애초에 만드는 사람의 안전에 대한 철학의 부족이라 믿음은 확 떨어지네요.
3점식이 있다고해서 등에 배기거나 하지도 않는데..
곧 현기차에서 광고 하겠네요." 안전성 강화 3점식 밸트채용!!" ㅋ

잘 보았습니다.
사견으로 sm5에 가운데가 3점식인건 긍정적으로는 안전을 생각해서이고,
부정적으로는 원형 모델에 있던거라 그냥 간단히 삭제안하고, 적용한걸로 느껴집니다.
걘적으로 후자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데...이유는 그들도 뒷좌석이 트림레벨에 따라
독립식 헤드레스트인것과 그렇지 않은것으로 나뉘어 있었으니까요...=.=

동생 가족들이랑 차 한대로 - NF - 장거리 운행하면 성인 1명이 가운데 자리에 앉아야만 해서 항상 안전벨트 착용을 강제(?)했는데 마스터님 글을 읽고 허탈함과 상실감이 크네요. 주변 지인들은 거의 안하는 뒷자석 안전벨트 착용을 실천한다는 생각은 결국 저 혼자만의 만족이었던 셈입니다.
현기차의 분발을 응원하기도 하지만 안전에 대한 철학의 부재때문에라도 결과적으로는 부정적인 시선을 가질 수 밖에 없게 되는 것 같습니다.
e34 타면서 생긴 몇 가지 안 되는 불만중에 하나가, 뒷좌석 가운데 안전벨트입니다. 천하의 BMW도 근 20여년 전에 개발된 차종에는 2점식 안전벨트가 적용되어 있더군요. 이게 e34의 모든 모델에 일괄적으로 적용된 것인지, 한국향 모델에만 2점식이 적용된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리 찾아봐도 원가절감이라는 개념을 찾아볼 수 없는 설계를 했으면서 왜 유독 뒷좌석 가운데 안전벨트를 2점식으로 만들었는지 참으로 미스테리입니다.
현기차의 뒷좌석 가운데 2점식 안전벨트 적용이 e34에 대한 오마쥬가 아니라는 전제하에.. ^^ , 대놓고 해외모델 대비 국내모델의 안전관련 옵션질을 일삼으면서 생명을 담보로 원가절감만을 고심하는 현기차의 마인드(경영진 + 노동조합)는 정말이지 정내미가 떨어집니다.

현대기아차 탄지 오래되서 그런지 뒷자리 중앙이 2점식이라는데 약간 충격을 받았습니다. isofix는 적용 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지인이 isofix 기능이 있는 베이비시트를 사고 싶어서 애기용품점에서 추천하는거 대신 isofix 있는걸 찾아달라고 하니 '그런거 쓰는 사람도 잘 없고 안써도 문제 없어요~'하면서 짜증내더라는 얘기가 기억이 납니다. 메이커를 가장 탓하고 싶지만 메이커 뿐만 아니라 정부와 소비자도 안전에 관해서는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유난을 떨어도 될거 같습니다.

뒷자리 2개 시트에 3점식 밸트가 달려있어도 별 볼일 있을까 합니다.
전부는 아니지만 국산차의 경우 뒷자리에서 밸트를 매어보면 아랫끈이 골반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가 있죠.
대략 골반 위의 배의 가운데를 가로질러서 매어지게 되어있죠.
밸트를 맨다 한들 장파열을 피할수 있나 궁금합니다.
제가 신차를 구입하려다 포기한 것이 20년 전에 나온 각그랜저나 신형차나 별반 차이도 없어보이고, 대략 값만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P/S= 뒷좌석 가운데는 헤드레스트도 별로 없죠. 목부러져 죽으나 장파열로 죽으나 그게 그거일 듯.
그렇다고 외제차를 덜컥 보통국민이 구입하는건 어려운 이야기고 그냥 참고 살아야죠.
"그래도 살 놈은 다 산다"라고 생각하는 판매자가 많을까봐 겁나네요.
TF용 Seat belt를 개발했었던 담당으로,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어쨌든.. 저렇게 함으로써, 현기차에서는 대당 약 5~6000원 정도의 벨트 Set 구성 단가를 낮추어 잡을수 있으니까요..... 사실 Vender 입장에서는 전체 3점식으로 가는 편이, 개발비용면에서도 유리하긴 하지만.... 현기차의 입장에서는, 국내 기준에 아주 적당(?)한 만큼의 시방만 요구하네요.
사실 대부분 국내 Vender들은, ISO Fix용 Child anchor 금형비도 OEM으로부터 회수가 않되서, 싸우고 있는 형편이니까요(그거 차한대 값도 안되는 가격인데.....)
위에 어느분의 지적처럼, 뒷자석 벨트를 매지 않는 탑승자의 자세도 분명바뀌어야 할 부분입니다.. 그걸 아는 완성차에서는... 뒷자석 벨트 품질(성능/내구/감성)에대해서, 앞좌석에 비해 터무니 없게 대충 넘어가는 걸 몇번 경험 했습니다.
TG/YF/TF의 Seat belt 개발에 참여했던 저로써는, NSM5 선택이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바랄 것을 바래야지...
글과 사진을 보면서 든 생각입니다. iso fix 문제나 스마트 에어백 논란에서부터...
지칠 때도 된 것이겠죠.

로체 수출형(북미 옵티마)의 경우엔 가운데 헤드레스트, 안전벨트 역시 적용되어 있습니다.(EX2.4,EX2.7,LX2.4)내수용은 들여다 볼수록 참...-_-;

항상 느끼는건데, 또 한번 욱 하고 다가오네요,,,
항상 겉만 뻔지르르 한 현기차...
요즘 나오는 신차를 외산차량과 비교를 하면서 광고를 하던데,,,
대체 어떤 부분을 비교하라는건지 원,,,,,;;

북미에서 싼타페와 엘란트라 투어링(i30CW) 운행중입니다.
두 차종 모두 모든 뒷좌석이 3점식 벨트이며... 모든 위치에 앵커 역할을 하는 LATCH 가 있습니다.
국내 차량 생각하면 한심하죠...
참...한심하긴한데.
그만큼 국내에 카시트를 사용하는 사람이 없다는 반증이 아닌가도 싶습니다.
조수석에 어른만 안전벨트를 한 상태에서 아이 안고 가는 사람 보기가 그리 어렵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글쎄요... 항상 가운데 2점식 벨트가 위험하다는 생각은 했지만 3점식이 있다는 사실이 더 놀랍습니다;
3점식 벨트, 가운데 좌석 헤드레스트 등 기본적인 안전장비를 솔선하여 설치하지 않는 국산차 메이커들의 태도도 문제겠지만, 역시 다른 분들이 지적하신 것처럼 그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법규, 그리고 여전히 뒷좌석 벨트착용에 신경쓰지 않는 국내소비자의 태도가 더 큰 문제라고 봅니다. 당장 친구들만 해도 차에 탈 때 벨트 매는 것을 굉장히 어색해하고요.
에어백, VDC같은 안전장비들의 미장착이 문제로 지적되고 신차들에서 수정될 수 있었던 것은 소비자들이 그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판할 수 있는 의식이 생겼기 때문 아닐까요? 벨트 또한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일부가 이 문제를 지적하더라도 다수 소비자가 왜 3점식 벨트가 중요한지 인지하지 못한다면 개선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차가 2006년형 sm7인데, 구매 당시 가장 맘에든 부분이 전모델 6개의 스마트 에어백과 VDC 그리고, ISOFIX였습니다.. 당시에 TG에는 지금처럼 전모델에 6개의 에어백이 없던 시절인지라......
다만, 안타까운 사실은 현재 sm7도 기본 모델은 사이드&커튼 에어백을 옵션으로 빼놓았고, ISOFIX도 삭제시켰더군요...
르노삼성이라고 해서 승객의 안전에 대한 투철한 배려가 있다기보단 위에분들처럼 그냥 있으니 달아놨다고 생각이 되네요...
저도 3살된 아이가 있어 올해 초 가족이 탈 차를 고를 때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차를 골랐습니다.
자동차 브로셔에는 모두 뒷자석 3점실 벨트에 대한 언급은 없고 프리텐셔너에대한 언급만 있더군요.
많은 차종을 발품을 팔아 두루 보면서 선택한 결과가 SM7 이였습니다.
헌데...! 새차를 받아 카시트를 장착하려는 순간 이럴수가 ISOFIX가 없는겁니다.
추가 옵션으로 뒷자리 파워시트를 선택했는데 ISOFIX가 제거되어 나오더군요. (상식적으로 돈을 더 얹어서 구입하는데 기존 기능이 제거되다니요..!!!)
영업사원도 모르는 사실이였고 할수없이 3점식으로 카시트를 체결해서 다닙니다..
제조사의 의식이 안전에 대해 최우선으로 적용되는 날을 기다려봅니다...
막상 직접 이렇게 보니 할말은 없네요. 필요최소한이라는 것은 충족되었기에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것은 자신의 판단뿐이겠지만, 아쉽긴합니다.
애가 둘뿐이란걸로 위안을 삼아야 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