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이번에 수동차를 한대 소유할 기회가 있어서, 2003년 EVO 8을 소유 중 입니다.
반클러치가 되는 위치가 조절이 가능 한지요??
클러치 접점을 줄이고 싶습니다.
접점이 높아서 왼발 뒷꿈치를 바닥에 붙일수가 없고, 클러치 컨트롤 하기가 힘듭니다.
언덕 출발도 힘들구요.
클러치 페달위의 조절 나사를 이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유격을 줄이는 조절 같은데,
접점도 조절이 되는지요??
원래 고출력 차량은 클러치 접점이 높습니까??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이번에 수동차를 한대 소유할 기회가 있어서, 2003년 EVO 8을 소유 중 입니다.
반클러치가 되는 위치가 조절이 가능 한지요??
클러치 접점을 줄이고 싶습니다.
접점이 높아서 왼발 뒷꿈치를 바닥에 붙일수가 없고, 클러치 컨트롤 하기가 힘듭니다.
언덕 출발도 힘들구요.
클러치 페달위의 조절 나사를 이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유격을 줄이는 조절 같은데,
접점도 조절이 되는지요??
원래 고출력 차량은 클러치 접점이 높습니까??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2007.12.09 17:53:03 (*.180.44.177)
제가 아는게 맞는지 모르겠는데 작년쯤인가 정비소 가니깐 기사분 맘대로 "아주그냥 젊으신 분들은 차가 그냥 튀어나가는걸 좋아해. 낄낄낄(웃음소리)" 이러시면서 클러치 페달 뒷쪽을 막 만지는거 같더니 좀 감이 변했었던 기억이 있네여. 확실 하진 않습니다. ㅠㅠ
2007.12.09 22:15:02 (*.214.108.133)

클러치 유격 조절은 현재의 유압방식이 아닌 옛날의 케이블 방식일때의 예기 아닌가요?? 저는 그렇게 알고있습니다만.....아니면 다른 고수분들께 패스합니다.... ㅡ,.ㅡ;
2007.12.09 22:37:24 (*.2.57.130)

클러치미트시기를 당기실려고 하는것 같은데..
유압식이면서 페달에서(푸쉬로드?) 넛트로 조절하는 방식도 있고.. 케이블에서 조절하는 방식도 있고... 케이블식이면서 자동조절(조절못함)방식도 있더군요..
유압식이면서 페달에서(푸쉬로드?) 넛트로 조절하는 방식도 있고.. 케이블에서 조절하는 방식도 있고... 케이블식이면서 자동조절(조절못함)방식도 있더군요..
2007.12.10 10:04:57 (*.192.187.141)

뭐..뒷꿈치를 대고 클러치를 쓰는건 개인취향및 습관의 차이겠지만... 고출력 차량들의 클러치 미트시점을 너무 당겨 놓으면 클러치들이 얼마 버티질 못하고 금방 달아없어지지 않나요? 생각과는 달리 반클러치도 더 많이 쓰게되고...
너무 당겨놓았을시 클러치를 끝까지 밟아도 실제로 동력차단이 다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페달 구조라면 클러치 페달 윗쪽에 로드에 달린 너트들을 조절하면서 유격 조정이 가능합니다.. 직접 해도 상관없지만 ..란에보 클러치 작업을 해본 샾에서 간단하게 부탁하면 될듯합니다. ^^
너무 당겨놓았을시 클러치를 끝까지 밟아도 실제로 동력차단이 다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페달 구조라면 클러치 페달 윗쪽에 로드에 달린 너트들을 조절하면서 유격 조정이 가능합니다.. 직접 해도 상관없지만 ..란에보 클러치 작업을 해본 샾에서 간단하게 부탁하면 될듯합니다. ^^
2007.12.11 20:59:50 (*.112.237.15)
저도 처음 제 차 타보고는 '클러치 접점이 뭐 이리 높아?' 생각했는데.. 지금은 딱 동력 끊을 만큼만 밟고 떼고 있습니다. 조금만 움직여도 되니 좋습니다. ㅎㅎ
처음에 상당히 고생했어요. 접점 낮출수 있나 알아보고 그랬는데...
그런데 어느순간... 접점이 더이상 높지 않은것 같더라구요..
제가 클러치를 다 갈아먹은걸까요 ㅠㅠ;
딴소리해서 죄송합니다;
제가 알아본 봐로는.. 클러치 접점은 조절이 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근데 조금 익숙해지면 또 나름 탈만해지는것 같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