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테스트드라이브는 늘 읽기만 하다가
글은 처음 써보는것 같습니다.
다들 비슷하게 궁금해하시는 영역인거 같기도 하고
저의 예민함으로 기인한.. 다른 분들은 '응? 이게 왜? 어디가 문제라는거야? 정상 아냐?'
라고 하실 수도 있는 그런 부분의 질문입니다.
현재 3천키로 주행한 4시리즈 디젤 운행하고 있습니다.
F36 코드네임이구요. 다들 아시는 서보트로닉.이라는 이름의 EPS 전자식파워스티어링입니다.
일단. 직진 아주 잘 됩니다.
고속도로에서 핸들 놓고 가도 꽤 긴 거리를 차선을 벗어나지 않고 일자로 갑니다.
(제가 보유했던 차들은 거의 대부분 오른쪽으로 조금씩 쏠렸었습니다;;)
유격?은 없는거 같습니다. 핸들을 아주 쪼금 움찔움찍 움직여보면 휠도 그 작은 움직임에 움찔움찔 하는거 봐서는..
핸들 조작량(스티어링 컬럼센서의 이동량)만큼 휠타야에 전달은 잘 하는거 같습니다.
코너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돌덩이 입니다.
별도의 보정이나 추가 액션 필요 없이 안정적으로 감아 나갈수 있으며
더 감거나 더 풀때 적당한 반발감이 유지됩니다.
자. 이제 본론인 평상시의 직진입니다.
왼손은 핸들의 9시에 걸치듯 자연스럽게 파지되어있고...
오른손은 기어봉 위에 있습니다.
차량은 직진을 하는게 맞는데 꼭 유격?이 있는거 같은 느낌입니다.
핸들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 몇미리(2~3미리?)는 핸들의 반발력이 약한건지 없는건지 좀 아리까리한 느낌입니다.
물론.. 그 2~3미리 움직이면 차는 그 미세한 각도만큼 그쪽으로 움직입니다.
핸들량을 먹거나 그러진 않습니다.
좀더 풀어서 이야기 해보면
유압식 파워스티어링인 E시리즈의 경우 핸들 센터에 좌우로 두툼한 고무줄을 달아놔서
왼쪽으로 감던 오른쪽으로 감던.. 그 고무줄을 당기는 반발력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센터에서 조금 움직이던 많이 움직이던 말이죠.
근데 지금 이차는 핸들을 좀 적당히 감기 시작하면 그 고무줄같은 반발력이 잘 느껴지는데
센터를 기점으로 아주 미세한량을 이동할때는.. 이 고무줄이 없는듯한 느낌이 납니다.
소위 센터가 논다? 라고 표현해야하나요?
이게 많은 분들이 표현하는 데드존? 인건지..
근데 다른 F시리즈 320d라던가 118d 라던가를 타보면(AS등으로 대차시 1~2주 타봄)
같은 EPS인데도 센터 중립감이 확실합니다. 센터에서 미세하게 움직여도 반발력이 있더군요.
정식 센터에서는 좌우로 조향해서 정상적으로 조향이 되니
오너마다 다르게 느끼는 조향감각?에 대해서는 나몰라라 분위기더군요.
이상태에서 EPS모듈이 불량이 아니냐? 라고 우기기엔 무리가 있는 상태입니다.
실제로 조향을 쥐꼬리만큼만 살짝했을때 차가 그 쥐꼬리 만큼 반응을 하고 있다는걸 저도 느끼긴 하니까요.
그래서 이 센터구간에서의 반발력이 없어서 생기는 불편함? 묘함은..
일반적인 시내길을 지나갈때.. 통상적인 차량의 흔들림.. 뭐 단차라던가. 노면 재포장이라던가
뭐 기타등등.. 도로는 대리석처럼 매끈하지 않음으로 기인한.. 높낮이 차이등
차량의 흔들림이 살짝 있어서 핸들을 잡고 있는 제 팔도 관성과 중력에 인해서
아주 살짝 움직이게 되서 제 팔의 하중이 핸들을 쥐고 있는 손에도 째꼼 전달이 되겠죠.
그럼 그 하중으로 핸들이 살짝 흔들. 하게 되는데
이때 반발력이 있는 자연스러운 피드백이 아닌.. EPS고 고무줄이고 뭐고
아무것도 제어가 없는 상태로 무게감 없이 몇미리가 흔들리는 느낌이 나니
차는 실상 똑바로는 가고 있지만.. 손에 전해지는 느낌은 '이게 지금 똑바로 가는게 맞아?'라는
괴리가 생기게 됩니다. 아 요거 묘하더라구요.
일단 제차의 현상은 이렇구요.
남산이나 북악스카이웨이 와인딩을 가볍게 돌아보면
핸들이 계속 감기며 차량의 하중이 실리는 주행에서의 핸들링 감각은 아주 준수해서
EPS 관련 부품이 어디가 하자라고 보기엔.. 제 생각에도 정상작동의 범위에는 들어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테드 글들을 찾아보니
얼라이의 토인. 이라던가 캐스터 등등.. 직진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있고
혹여 이 직진성이 떨어지게 되는 얼라이 세팅을 되어있으면
핸들 복원력이 약해지거나 중립을 유지하려는 반발력이 약해져서
센터에서 핸들이 노는 느낌이 들수 있다. 라는 내용들을 다수 발견을 하였습니다.
통상 BMW도 신차 얼라이가 잘 맞아있는 편은 아니라고 들어서..
얼라이를 다시 봐보면 이 센터의 반발력이 없는듯한 묘한 느낌이 없어질런지..
얼라이 수치는 제조사의 정상 범위내에 다 있다. 라고 하면
수치값을 좀 벗어나더라도 가령 토인을 조금 더 준다던가.. 캐스터값을 좀 더 준다거나해서
중립에서 벗어나려고 할때 핸들의 반발력이 좀더 강하게 느껴지도록 세팅해 달라고 해서 타야하는지...
이런 생각들을 하고 있습니다.
이게 참 와인딩도 고속도로에서의 적당한 고속주행도 좋아하는지라..
핸들조작량이 많거나.. 속도가 좀 붙어서 핸들이 더 무거워졌을때는 별 생각이 없는데요.
시내에서 저중속으로 주욱.. 직진을 할때 센터가 아주 미묘하게 노는 느낌이 나니.. 정말 묘합니다.
직진도 잘돼.. 조작한 만큼 움직여... 유턴같은거 하고 핸들 놨을때 후르를 잘 돌아와
우회전 좌회전 하고 핸들 놨을때 잘 풀려.. -> 유압식 핸들만큼 센 반발력으로 휘리리.. 돌아오지는 않구요.
90%정도 자알 돌아온 다음에 나머지 5~10%정도는.. 좀 먹어버리는 느낌이 나긴 합니다...
요거이 잡아야 하는 부분인지.
아 질문글이 너무 길었죠? ;;;;; 죄송합니다.
사소한거에 목숨거는 스타일이라.. 테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너무 궁금해서.. 장문의 질문을 적어보았습니다.
무슨 말이라도 좋으니.. 제게 단초가 될만한 말들을 툭툭 던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
그럼 오늘도 모두 행복하세요 ^^
유압식 파워스티어링이었던 e90 320d를 3년정도 주행했었어서 아무래도 위화감이 있길 할텐데요.
동사의 f시리즈 320d와 118d 그리고 렌트로 2주정도씩 타보았던 신형 a6와 B클래스 등등도
모두 eps 였는데 센터필링이 그리 나쁘지는 않았어서 이런 글을 써보았습니다.
제차의 조향각센서나 랙 구동모터의 하자를 의심해봐야하는건지...
기본적인 조향기능에는 큰 문제가 없다면 얼라이를 의심해봐야하는지.. 해서요 ^^
잘 봐준다는 얼라이집 몇군데를 찾아놓긴했는데 바빠서 가보질 못하고 있네요.
제가 예민한 편에 속한다는건.. ^^; 저도 알아서.. 감안은 하고 있습니다.
다른분이 제차 타면 솔직히 뭐? 뭐? 그럴꺼같긴합니다. ㅋ

^ ^ 아시다시피 모터 드리븐 타입도 여러 타입이 있고, 같은 타입이라도 스티어링 감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구조가 같더라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인 설정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니까요.
내 차가 이상한가?? 는 딜러 전시장에서 시승을 통해서 같은 차종과 비교해보시면 됩니다.
벤츠, BMW, 재규어, 랜드로버, 볼보, 현대. 모터 드리븐 스티어링 필이 다 다릅니다.
( 개인적으로 유압식이 짱인 것 같아요.. ! ㅎ)
유수의 메이커들이 자사의 세련된 유압식 스티어링을 포기하고 모터 드리븐으로 변경하는 이유는 무게 감소와 연비( 결국 배출가스) 때문이라는... 슬픈 현실에 직면하게 됩니다.
물론 전에 타던 차량이 bmw는 아니고 아반떼쿠페였습니다만 그 센터에서의 흐리멍텅함과 직진에서 끝없이 요구하는 보타 때문에, 차량의 다른 모든 것에는 만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작 일년을 못 넘기고 튜닝비용 전부 손해보고 판매한 일인입니다ㅠㅠ
저도 사소한거에 목숨을 결코 걸고싶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걸게 되는 성격이라 답이 없더라고요 기변하심을 추천드립니다.
아니면 저도 알아만 보다 실행에는 못 옮긴 야매 캐스터 조절을 추천 드립니다. 혹 지금 타시는 bmw 차종이 캐스터 조절이 가능하다면 최우선적으로 그것 부터 시도해 보세요. 그리고 나서도 안 된다면 글 쓰신분이나 저같은 성격은 기변말고는 답이 없을겁니다. 급 공감해서 반가운 마음에 별 영양가 없는 댓글 남겨봅니다.
스티어링 시스템이 유압식에서 모터 드리븐 타입으로 변경되면서 발생한 스티어링 피드백의 위화감 같습니다.
예민하신 분 같네요.
몇 년 전에 정보라서 지금은 달라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모터 드리븐 타입의 복원력은 인위적인 설정으로 알고 있으며, 종류도 여러가지자만 유압식과 같은 기계적인 복원력은 없어서 유압식과 비스무레한 필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더군요.
스티어링 피드백이 없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불만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