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제가 란에보나 RX-8, MR-S, S2000, 알테자 같은 옛날 일본 스포츠카들 좋아하는데요
이런 차들 유지하는데 유지비용이 엄청나게 들어가나요???
이런거 한번 사서 타고 싶은게 제 로망인데.....주위에선 독일차보다 유지비용 더 나온다는둥......반응이 영 ㅠㅠ
너무 현실성 없는 걸까요...?

그차들이라고 유별나게 유지비가 많은건 아닌것 같고... 그 차들을 소유했던 히스토리가 좋지 않은 경우겠죠. 독일차들의 경우 정식 센터도 좀 다니고 관리를 잘 받은 차들이 많은 반면, 구형 일본차량들은 싼맛에 덥석 물었다가 고장날때되면 팔아버리고... 다음차주가 조금 고치다가 또 팔아버리고.. 소유주 많이 바뀐차들은 국산이나 일산이나 독일산이나 뭐 다 그렇죠... 반면에 관리 잘된 차량들(제돈주고 FM대로 유지관리된 차량들)이라면 딱히 고장날것도 별로 없죠.. 독일차들에 비해 구조도 간단하고 전자장비도 많이 없고..
S2000의 경우는 유독 브레이크 패드와 타이어 비용이 꽤 들더라구요 ㅎ
런치스타트나 드리프트 같은 건 일절 하지 않았고, 와인딩+고rpm 주행만 즐겼는데도
앞타이어 10,000km 리어타이어는 5~6,000km면 수명을 다 하더라구요^^;;

제가 타본 최고의 JDM은 FD3S(RX-7)입니다.
디자인이야 개인의 호불호가 있으니 그렇다쳐도 코너링과 로터리 필링, 콕핏이 정말 끝내줍니다.
운전재미로 유명한 유노스(미아타)의 마즈다에서 작심하고 만든 차량이니 뭐 더 말할것도 없죠.
대신 차량을 선택함에 있어 조건이 몇가지 있습니다.
1. 최소 96년이상일것(4기형 이후)
2. 순정 트윈터보 사양일것(대부분이 싱글 꽝터빈 개조를 많이 하죠..순정 터빈이 비싸서..)
3. 무사고일것(차대가 많이 약합니다 ㅠ)
저 유명한 베스트모터링과 핫버전에서도 '순정트윈터보 부스트업 사양'의 RX-7은 가히 최강이었습니다.
란에보건 임프레쟈건 S2000이건..

타보지도 않고 말하기 좋아하는 호사가들이 너무 많죠...;;
나도는 이야기 정도의 로터리 내구성이라면 애당초 양산차로 출시되지도 못했을 것이고, 마츠다는 보증수리 해주다 예전에 망했을 겁니다.
엄연히 양산차로 출시된 자동차입니다.
최소한의 내구성은 검증이 된 자동차이고,
보통 일반 레시프로 엔진의 오버홀 주기를 20-30만키로 정도로 생각하는데,
로터리는 보통 15만키로 전후 정도로 봅니다.
대신 오버홀 비용이 일반 레시프로 엔진에 비해 쉽고 저렴한 편입니다.
한국에서는 제대로 오버홀 하지도 않고 오버홀 했다고 판 차들이 많아서 덕분에 더 내구성이 꽝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던거 같습니다.
혼다 2세대 레전드 국내판매명 대우 아카디아 10년 가까이 타다가 몇개월전에 처분했습니다. 작년까지는 미국 락오토사이트나 아마존, 이베이에서 각종 부품을 공수해서 교환수리했는데 올해 보니 몇몇 부품이 품절이 되더군요. 더는 유지하면 안되겠다싶어서 폐차했습니다. 10~15년전만해도 JDM들이 어마어마한 고사양과 즐거움으로 남달랐지만 요즘은 워낙 좋은 차들이 많이 나와서 보유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요. 저는 최신 엔지니어링이 좋더라구요.

그때마다 해주는 대답은 동일 차종 신형이나 단종됐다면 변경된 신형 새차를 구매해서 유지할 능력이 되면 크게 어려움은 없을거라고 말해줍니다.
오래된 수입차의 유지는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썩차라고 비꼬는 천만원대 과거 독일 기함들이 부품값까지 떨어진건 아니거든요.
JDM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예전 란에보 8.9기 탔었는데 소모품 빼고는 크게
돈들어간게 었었거든요. 물온 순정이었구요
한번 질러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합니다
로터리 엔진은 이래저래 말이 많긴한대요. RX-8에 실린 최후기형 르네시스엔진은 전기에 비해 내구성이 월등히 좋아진건 맞습니다. 그럼에도 일반적인 양산엔진에 비해서의 수명이나 관리방법은 지켜야합니다.
7에 올라간 rew 엔진이 사람들이 오래 못쓰고 까탈스럽다는 엔진입니다. 트윈터보까지 달려있고 르네시스의 수명에 비해 절반정도의 수명밖에 못가집니다. 그래서 거래시에 꼭 압축을 재보고 사라는 말이 나오지요.
고장도 잘 안나지만 구조가 단순해서 노후 소모품 정도는
자가정비로 해결하고있습니다. 최근 알터네이터 브러쉬 자가교체 했는데 부품값 2만원 들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