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볼보 S60R (2005년식, 5단 자동)을 타고 있습니다. 요즈음 수동모드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수동 운전을 배워보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동차를 한번도 안 몰아봐서 아직 별 감각이 없네요. 특히 Youtube 등에서 수동차 모는 방법은 많이 나와도, "자동 변속기차의 수동모드 모는법"에 대해서는 찾기가 쉽지 않아 여기에 여쭤봅니다.
1. 다운시프트 후 급가속: 즉시 악셀 밟아도 되나요?
수동차들과 달리 자동 변속기 차들은 기어변속이 시간이 좀 걸린다고 알고 있는데요, 수동모드로 변속하면, 화면 상에는 즉각 변속된 기어의 숫자가 뜹니다. 그 즉시 가속페달을 밟아도 될까요, 아니면 약 1~2초 기다렸다가 밟아야 할까요? 물론 이 다운시프트-->급가속은 순간적인 가속을 위한 것입니다.
2. 연비: 수동모드 VS 자동모드
수동차들이 연비 좋은 것이야 알지만요, 이 자동 변속기 차도 수동모드로 몰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까요? 그런데 제가 사는 지역이 거의 완전히 평지라, 지형 때문에 변속할 일은 별로 없습니다.
3. 연비를 위해 시내 주행시 최고단 기어 사용?
볼보 설명서에는 고단 기어로 갈수록 연비가 좋아진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시내주행 때도 가급적 5단 기어(최고단)까지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전에 수동차들은 시내주행 때는 최고단기어는 쓰지 않는다고 들었는데요, 어떻게 하는 것이 맞나 싶습니다.
4. 정지 후 급가속시 기어 바꾸는 법
제가 드래그 레이스를 하지는 않지만요, 그래도 신호대기 후 다시 출발할 때 옆의 차들은 휙휙 출발하는데 저는 천천히 1단-->2단-->3단-->4단--->5단으로 올리면서 (보통 2krpm 근처만 되도 다음 기어로 올리고 있습니다) 가는 것이 뒷차에게 미안하기도 해서요, 가속을 좀더 빨리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1단에서 급가속하는 것은 아닌 것 같고, 2단이나 3단으로 바꾼 후 가속을 하면 될까요?
5 드래그 레이스 0~100km: 수동모드 VS 자동모드
0~100km의 드래그 레이스의 경우, 수동모드로 하는 것이 더 빠를까요, 아니면 그냥 자동모드로 하는 것이 더 빠를까요?
6. 엔진브레이크의 지나치게(?) 잦은 사용 및 1단 기어 사용
수동모드를 쓰게 되면서 풋브레이크의 사용량이 현저히 줄었습니다. 멀리 앞에 빨간불이 보이면 일단 저단기어로 시프트하고, 빨간불에 더 가까이 가면 다시 그 아랫 기어로 가고... 이래서 1단기어까지 내려보내면 차가 거의 기어갑니다. 그제서야 풋브레이크를 밟거나, 아니면 그 때는 이미 신호가 초록색으로 바뀌어 있지요. 이래서 비싼 브렘보 브레이크 패드 가격을 벌고 있다는 생각도 들고해서 기분이 좋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거의 풋브레이크를 대체하면서 엔진브레이크를 남용(?) 하는 것이 괜찮은가 싶습니다. 특히 어느 정도 속도가 있는 상태에서 1단기어까지 내려가면 변속 충격이 사뭇 느껴질 정도인데요... 그래서 요즘엔 1단까지는 잘 안 내려가고 2단까지 내려간 후 풋브레이크 씁니다. 아무튼 이렇게 하는 것이 변속기 수명을 위해서도 괜찮은 습관인지 궁금합니다. (참, 뒷 차를 위해 변속하면서 풋브레이크를 아주 미세히 밟습니다. 브레이크등은 켜지게 말이죠.)
너무 많은 질문 죄송합니다...;;; 그래도 테드에서 너무 많이 배우고 있어서 테드분들께 감사하고도 죄송한 마음입니다.

오토에서의 수동기능은 터보차에 유리한 기능이 있습니다. 보통 디젤이던 가솔린이던 터보차는 쉬프트다운보다 기어단수를 유지하고 부스트를 띄우는 것이 추월가속에 유리한데 보통의 수동모드가 없는 자동변속기는 엑셀페달을 깊숙히 밟으면 킥다운과 함께 rpm이 너무 올라가버려 토크밴드의 최고점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럴때 수동모드로 하면 킥다운이 금지되므로 터보의 높은 토크를 제대로 살릴 수가 있습니다. 특히나 디젤터보같이 저회전에서 큰 토크가 나오는 차가 유리합니다.
연비나 드랙에서는 사실 수동모드로 해도 별 차이없고 어설프게 조작하면 더 느립니다.

차를 굉장히 아끼시는군요.^^
고알피앰까지 쭈욱~쭈욱~ 골고루 써주는 편이 차량 컨디션에 더 좋습니다.
연비는 오토모드로 살살타는게 보통 더 좋고요.. 드래그때는 수동모드 상태에서 퓨얼컷 직전에 변속하는게 대체로 빠릅니다. 수동모드에서 자동변속이 된다면, 끝까지 올려 자동변속 되게 하는게 빠르고요.
특히 S60R 같은 고성능 세단은, 엔진 밋션 내구성이 그렇게 만만치 않습니다.
일상 스포츠 드라이빙에선 가끔 풀알피앰 쓰면서 달리셔도..^^


제 차량(05 ACURA TL)을 수동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비교하면서 적어보겠습니다.
1. 다운 쉬프트한 후 즉시 가스패달을 밟아도 되고 가스패달 꾹 밟은채로 다운 쉬프트 해도 됩니다.
후자가 급가속이 더 빠릅니다.
2. 연비주행시 수동모드 최고단으로 빨리 밀어넣고 깃털악셀링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저의 경우 자동모드일때는 70-80KM 사이에서 5단이 들어가는데 61KM 되는 순간부터 5단으로 밀어넣고 탄력주행합니다.
보통 국도에서 자주 이렇게 사용합니다.
3. 5단이 들어가는 시속을 확인하시고 밀어넣으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61KM부터 5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수동으로 전환하고 밀어넣습니다만 시내구간에서는 별로 사용할 일이 없네요.
시내에서 내리막일 경우 수동으로 전환하고 고단으로 밀어넣고 탄력주행으로 내려가는것을 자주 합니다.
4. RPM컷이 걸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원하시는 만큼 RPM을 올린 후에 변속하면 됩니다.
가스패달을 좀 깊이 밟아 RPM을 빨리 올린 후 변속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그냥 자동모드로 놓고 달려도 끝까지 밟으면 최대 RPM에서 알아서 변속할겁니다.
수동모드로 어설프게 변속하다 퓨얼컷 걸리는것 보다는 낫습니다.
6. 그냥 풋브레이크 쓰는게 낫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자주 사용하면 미션에 좋지 않은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야 하는데 신호가 간당간당하면 풀 스로틀 후 사거리 진입 직전에 수동모드로 바꾸고 툭툭 쳐서 기어를 2단 정도 내려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해서 속도 줄이고 돌아 나갑니다.

많은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이번에도 많이 배우게 됩니다.
어제와 오늘 이런 저런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연비는 말씀하신대로 D에서 살살 밟는 것이 가장 편하게 좋은 연비를 얻는 방법 같습니다만, 뭔가 제가 하는 수동 모드가 많이 숙련이 된다면 신수철님 말씀대로 "수동모드 최고단+깃털악셀링"을 많이 실현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해보니 평균 연비가 조금씩 상승하는 것을 보았습니다만, 그 상승 속도가 "D+깃털악셀링"에 비해 얼마나 더 빠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수동모드 상태에서 퓨얼컷 직전에 변속" 이 무슨 뜻인지 몰라 좀 검색해봤습니다. RPM이 상승함에 따라 레드존을 지나고.. 그 다음 단계가 퓨얼컷이었군요. 즉 그 다음 기어로 변속 안 하고 가만히 있으면 그만 퓨얼컷까지 가서 연료 공급이 차단될 테니, 이렇게 주행하면 0~100km/hr 가속 속도가 "D"에서 풀가속 하는 것보다도 못하게 되는군요. 그러니 "퓨얼컷 직전" 에서 변속을 아슬아슬하게 하는 것이 가속은 가장 빠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만 이렇게 RPM을 레드존까지 올려본 적이 없어서, 이렇게까지 주행을 할 일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배지운님 말씀에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터보차는 오히려 현재단에서 가속하는 것이 더 추월가속에 유리하다...는 것은 전혀 몰랐던 것이네요. 다만 5단기어에서 그냥 가속하면 가속감이 밋밋하게 느껴지긴 했는데요, 그게 어쩌면 "킥다운 후 풀가속" 의 그 기어 변속 맛이 없어서 그렇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네요. 좀더 시도해보고 이 두 경우를 비교해봐야겠습니다. (어쩌면 3~4단으로 달리고 있을 때는 굳이 킥다운 하지 않아도 즉시 풀가속으로도 빠른 가속을 얻을 수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엔진 브레이크... 이게 문제였네요. 저는 그냥 풋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를 아낄 생각으로 엔진 브레이크를 거의 늘 쓰고 있었는데요, 가만 보니 이게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조금 검색을 해보니, 이렇게 엔진브레이크를 남용하면 미션에도 무리가 갈 수 있고, 또 겨울철 눈길 주행 같은 경우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고 하네요. (간혹 4바퀴 중 브레이크 작용이 달라야 할 경우가 있는데, 엔진브레이크를 쓰면 모든 바퀴에 고른 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이니까요.)
엔진브레이크는 차라리 고속도로 주행에서나 쓰라는 글도 보았습니다. 이 경우는 유의미해보이는 것이, 고속도로에서 가볍게 브레이크 밟을 일은 간혹 있지만 아주 자주는 아니고, 또 이렇게 살짝 속도를 감속한 후 즉시 다시 기어를 올리면, 엔진브레이크 사용 때문에 올라가있던 엔진의 회전에너지가 다시 바퀴로 전해지면서 오히려 연비에도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일종의 회생제동... 같은 것이 되는군요. 아주 미약하게나마 하이브리드 엔진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 말이죠.)
그래서 이제 당장의 결론은
---시내 주행에서 살살 다닐 때는 그냥 가급적 "D"로 달리자. 혹시나 (급가속 등을 위해) 수동 모드 쓰더라도 엔진 브레이크 사용은 자제하자.
---고속 주행에선 수동 모드를 시도해보며 연비 상태를 체크해보자
가 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1. 그냥 기어 내리고 액셀 밟아도 알아서 변속 합니다. 변속이 끝나기 전에 액셀이 먹어서 미션 깨지는 일은 없습니다.
2. 차마다 틀리겠지만 별 차이가 없습니다.
3. 무조건 rpm이 낮다고 기름 적게먹지 않습니다. 오토는 걍 D에 두고 발컨트롤 하는게 가장 연비가 좋지않나 합니다.
4. rpm 다쓰는게 무조건 빠릅니다. 보통 오토 차량 차주들 얘기를 들어보면 수동모드로 퓨얼컷 되기 직전에 변속하는게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5. 4번에 답이... 물론 타이밍 안맞으면 자동모드로 한것만 못하겠죠.
6.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큰 차이야 없겠지만 과도한 엔진브레이크 사용은 밋션 수명에 조금 안좋지 않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