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CLK350 컨버터블 차량을 미국서 직수입 할까 알아보고 있습니다.
2006~2008년식 정도로 블루컬러/베이지 내장 옵션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도저히 베이지 내장을 구할수가 없어 미친척하고 수입하고자 합니다. 이삿짐 등 아니고 일반 중고차 인증으로 진행하여려 합니다. 계속 패밀리 컨버터블을 서치하고 있었는데 제가 구입할 수 있는 가장 아름차운 대안인 듯 하여 지르려 합니다. 당연히 합리적인 소비가 아닌것 알고 있으나 이정도는 질러도 될것 같아 가급적 진행할 생각입니다.
차량가격은 $15,000~20,000 / 부대비용 500~1000만원 고려해서 2500~3000만원 정도 소요할 생각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질문드리고 기타 직수입에 대한 모든 조언 감사히 받고자 합니다.
** 미국내 차량소싱 / 수출 / 국내통관 / 인증 까지 일괄 처리해 주는 업체가 있는지요?
- 이경우 운송료/세금을 제한 총 수수료 비용이 어느정도 드는지, 추천해주실 만한 업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국내 익스포터(Shipping 까지 담당) / 국내 임포터 및 인증대행업체 를 따로 쓰는것과 일괄로 맡기는 것 중 어느쪽에 현실적이고 경제적일지 궁금합니다.
** 국내 통관 및 인증 관련 (이부분에서 문제가 예상된다면 깔끔이 마음 비우려 합니다)
- CLK350 2006~2008 년식 정도면 국내 배기인증 및 기타 형식승인에 큰 문제는 없는지(2015년 상반기 통관 및 인증 기준)
- 큰 문제가 없다면, 직접 제작자 등록후 직접 정비소 다니며 손봐서 인증과정 진행이 가능한지
- 대행업체를 통하는편이 좋다면, 업체추천 및 기타 조언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TPMS / ESC 등 필수장착 규제 등이 적용되는지 우회혹은 해결이 가능한지 등등..
** 미국내 차량 확보 및 수출 관련
- 현지 Inspector 를 통해 Cars.com / Autotrader.com 등 차량 검수후 구입 / Carmax 차량 바로 구입 등을 생각하고 있는데 둘중 어떤 방식이 좀더 안전하다고 봐야 할까요? Carmax 쪽이 2~3천불 정도 더 소요되는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부대 비용 (세금 및 운송 비용)이 조금 더 들 것 같고,
그 외에 계기판 교체, 유럽형 (국내수입용) 사이드리피터 교체 등등 자잘하게 비용이 많이 들어갈 것 같습니다.
생각해두신 비용보다 500이상은 더 잡으셔야할 것 같고,
그정도 금액이라면 조금 더 비싸더라도 국내에 마음에 드는 신형 E350컨버 중고를 구입하거나
아니면 윗분 말씀대로 국내 차량 구해서 내장재만 바꾸겠습니다.

이사짐의 경우 (인증없이) 대략 차값 + 50~70% 들지만 인증이 들어가면 모든 비용이 차값+80~100% 정도 잡으셔야 합니다. 즉 차값에 차값만큼이 더 든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케이스는 조금 다르나 조금은 도움이 될수있을까 해서 댓글 달아 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오토바이를 미국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자동차/오토바이 를 배로 들여 올때 방법이 몇가지가 있더라구요
내가 차를 운전해서 항구까지 가지고 가느냐 아님 견인차로 끌어 가느냐
한 컨테이너 (오토바이 같은 경우는 절반 컨테이너) 로 들여오느냐 다른 이삿짐에 낑겨 오느냐
자동차를 묶느냐 묶지 않느냐
대충 이런식으로 나눠졌고 가격도 계속 달라 집니다.
보통 쉬핑 업체에서 미국내 통관까지는 서류 작업을 해주고 내가 쉬핑 전에 해야 하는건 DMV에서 Non-operating vehicle 로 등록 하는것 외에는 없던것 걸로 기억이 나네요. 아 자동차에 finance 및 lien 이 걸려 있으면 oversea 쉬핑 안되구요...
미국 어디신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서 업체 선정시 꼭 BBB에 등록된 업체를 이용하라는 이야긴 들었고 전 그나마 가까웠던 업체를 찾던중 shipoverseas.com 에서 진행 했었습니다. 확실하고 그나마 저렴한 업체를 찾으셔야 하면 주한미군 자동차 shipping 해주는 업체에 맡기시면 된다고 합니다.
국내 통관 경우엔 관세청 가면 세금 계산 법이 나와 있고 궁금하신 점은 직접 전화 하시는 편이 빠르실것 같습니다만 제가 본 바로는 세금 계산시 제출하신 invoice 와 상관없이 kbb.com에 들어가서 가격을 조회해 세금을 계산하더라구요.
한 사례로 저 옆에 계신 분이 2009년 audi a4를 들여 오신것 같던데 카 벨류를 세차 벨류로 하느냐 중고차 벨류로 하느냐로 다투는 모습을 본적이 있었고 그 논쟁의 요지는 x년이 지난 차를 왜 새차 벨류로 하느냐 마느냐로 싸우는것 같았습니다.
자동차 구입은...
내가 중고차를 볼수있는 자신이 있고 몰아 볼수있으면 온라인으로 사지만 그게 아니면 carmax 로 사시는 편이 그나마 나을듯 싶습니다 30days buy back ? 해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Acura TL을 carmax에 팔아본 기억으론 carmax가 사는 값은 kbb trade-in good condition 가격이고 파는 값은 거기에 +6,000 으로 올려 놓고 네고 해주는 방식인것 같더군요.. 참고 하시길...
여기서 부턴 카더라 및 귓동냥으로 들은 이야기:
우선 자동차던 오토바이던 계기판은 Km로 다 바꿔야 하고 (mile 메인 km 백그라운드 로 같이 있어도) Mile 되어 있으면 통관이 안된다고 관세청에서 그랬던것 같고... 무슨 환경검사 뭐뭐 등등 검사 비용만 400-600만원 정도 나온다고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