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제가 알기로는 현재까지 실제상황에 가장 근접한 레이싱 고사양 물리엔진을 제공하는 게임은 XBOX용의 FORZA MOTORSPORTS 입니다. PS2 가 압도적인 우리나라엔 그다지 매니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견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포르자 게임을 최상의 상태로 - 즉 50인치 PDP와 포스피드백 핸들, 전용 powered 버킷 시트 등으로 최대한 시뮬레이터 수준으로 꾸며, PC게임을 한 적이 없는 미국 현역 프로 레이서와 차를 좋아하고 PC게임을 주로 즐기는(튜닝카는 갖고있음) 일본계 미국인 게이머와 1:1 대결을 포르자 게임과 게임에서, 그리고 시뮬레이션당했던 실제 트랙에서 같은차량, 같은 트랙에서 벌인 적이 있습니다. (미국 퍼플러 사이언스지)
결과는?
결과는 여러차례의 대전 결과, 게임, 실제레이싱 모두 포르자 게임을 해 본적이 없는 현역 프로 레이서가 승리하였습니다.
다만 time lap의 차이가 게임에서는 조금 좁혀졌고, 실제 레이싱에서는 더 크게 벌어졌습니다.
또한 현역 레이서의 경우에도 게임에서의 time lap이 실제 레이싱에서의 time lap보다 조금 더 좋게 나왔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게임진행을 엔지니어등이 분석해 본 결과 게임이 실제보다 더 쉽게 꾸며졌기 때문이 아니고, 게이머가 실제보다 더 과감한 레이싱운영을 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는데, 그 차이는 게이밍시엔 몰다가 죽을수도 있다는 설명안해도 알 수 있는 심리적 압박이 없고, 실제 레이싱시 코너링시의 G포스, 휠의 강렬한 진동등이 시뮬레이터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으로 잠정 결론지었습니다.
이러한 사실등을 종합해 볼때 실제 레이싱 기술을 게임으로 연마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 졌습니다. 그만큼 레이싱게임의 물리엔진이 이제 거의 실제 상황에 근접해 진 상황입니다. 토이스토리 영화에서도 알 수 있듯, 동물이나 사람, 유체(물, 폭포등)이 들어간 3D물리엔진은 아직도 엄청난 컴퓨팅파워를 필요로 하지만, 자동차처럼 메카니즘이 명확한 분야는 이미 실제 상황에 거의 근접하게 되었습니다.
포르자 레이싱을 최대한 레이싱 시뮬레이터 수준으로 꾸미기 위한 시스템의 한 예는...
XBOX 360
포르자레이싱 for XBOX 360 (조만간 출시예정)
Dolby Digital AV Amp. 와 5채널 스피커 with subwoofer
실제 수준의 차량음을 내고 게임해도 될만한 방음공간
42~50인치 PDP 또는 암실 with 2000ANSI급 프로젝터 with grey screen.
레이싱 게임 전용 버킷 시트, 레이싱 휠, 유압식 버킷시트 mover.
이런 정도가 될 듯 싶습니다.
비용이 꽤 만만치 않기는 하지만, 몇가지를 과감히 포기하고 보유 시스템을 활용하면 100만원대로 구축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저도 꼭 구축해 즐겨보고 싶은 시스템인데, 밤에 아이 재운 후에만 몰래 배틀필드2를 즐길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버킷시트와 레이싱휠을 집안으로 갖고 들어오면... 아마도... 치명상을 입을 것 같아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최상의 환경을 갖추고 시스템을 한곳에 한 4대쯤 꾸며논 유료 게임룸이 있다면 참 좋겠습니다.
>전 게임은 게임이다고만 생각 했었는데 실제로 공도에세 만난 분에게 들어 보니 게임이
>상당히 많이 도움이 된다고 하구요.. 근래에 올라온 내용중에도 많은 분들이 게임들을 즐기는것 같으신데 이 참에 저도 하나 장만 할까하는데 비용은 얼마나 들며 소프트는 어느것을
>써야하나요... 그리고 일반 주행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
이 포르자 게임을 최상의 상태로 - 즉 50인치 PDP와 포스피드백 핸들, 전용 powered 버킷 시트 등으로 최대한 시뮬레이터 수준으로 꾸며, PC게임을 한 적이 없는 미국 현역 프로 레이서와 차를 좋아하고 PC게임을 주로 즐기는(튜닝카는 갖고있음) 일본계 미국인 게이머와 1:1 대결을 포르자 게임과 게임에서, 그리고 시뮬레이션당했던 실제 트랙에서 같은차량, 같은 트랙에서 벌인 적이 있습니다. (미국 퍼플러 사이언스지)
결과는?
결과는 여러차례의 대전 결과, 게임, 실제레이싱 모두 포르자 게임을 해 본적이 없는 현역 프로 레이서가 승리하였습니다.
다만 time lap의 차이가 게임에서는 조금 좁혀졌고, 실제 레이싱에서는 더 크게 벌어졌습니다.
또한 현역 레이서의 경우에도 게임에서의 time lap이 실제 레이싱에서의 time lap보다 조금 더 좋게 나왔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게임진행을 엔지니어등이 분석해 본 결과 게임이 실제보다 더 쉽게 꾸며졌기 때문이 아니고, 게이머가 실제보다 더 과감한 레이싱운영을 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는데, 그 차이는 게이밍시엔 몰다가 죽을수도 있다는 설명안해도 알 수 있는 심리적 압박이 없고, 실제 레이싱시 코너링시의 G포스, 휠의 강렬한 진동등이 시뮬레이터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으로 잠정 결론지었습니다.
이러한 사실등을 종합해 볼때 실제 레이싱 기술을 게임으로 연마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 졌습니다. 그만큼 레이싱게임의 물리엔진이 이제 거의 실제 상황에 근접해 진 상황입니다. 토이스토리 영화에서도 알 수 있듯, 동물이나 사람, 유체(물, 폭포등)이 들어간 3D물리엔진은 아직도 엄청난 컴퓨팅파워를 필요로 하지만, 자동차처럼 메카니즘이 명확한 분야는 이미 실제 상황에 거의 근접하게 되었습니다.
포르자 레이싱을 최대한 레이싱 시뮬레이터 수준으로 꾸미기 위한 시스템의 한 예는...
XBOX 360
포르자레이싱 for XBOX 360 (조만간 출시예정)
Dolby Digital AV Amp. 와 5채널 스피커 with subwoofer
실제 수준의 차량음을 내고 게임해도 될만한 방음공간
42~50인치 PDP 또는 암실 with 2000ANSI급 프로젝터 with grey screen.
레이싱 게임 전용 버킷 시트, 레이싱 휠, 유압식 버킷시트 mover.
이런 정도가 될 듯 싶습니다.
비용이 꽤 만만치 않기는 하지만, 몇가지를 과감히 포기하고 보유 시스템을 활용하면 100만원대로 구축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저도 꼭 구축해 즐겨보고 싶은 시스템인데, 밤에 아이 재운 후에만 몰래 배틀필드2를 즐길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버킷시트와 레이싱휠을 집안으로 갖고 들어오면... 아마도... 치명상을 입을 것 같아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최상의 환경을 갖추고 시스템을 한곳에 한 4대쯤 꾸며논 유료 게임룸이 있다면 참 좋겠습니다.
>전 게임은 게임이다고만 생각 했었는데 실제로 공도에세 만난 분에게 들어 보니 게임이
>상당히 많이 도움이 된다고 하구요.. 근래에 올라온 내용중에도 많은 분들이 게임들을 즐기는것 같으신데 이 참에 저도 하나 장만 할까하는데 비용은 얼마나 들며 소프트는 어느것을
>써야하나요... 그리고 일반 주행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
2006.05.22 11:12:22 (*.74.230.252)

XBOX 360이 아닌 XBOX기반으로 하면, AV시스템은 있다는 가정하에,
XBOX와 포스피드백 휠, 버킷시트 휠마운트킷, 그리고 FORZA 타이틀 요렇게만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이겠죠.
게임기와 타이틀 25만원, 버킷시트와 휠이 20~40 만원 가량 할 것 같습니다.
제일 좋은... 명품? 버킷시트와 휠이 어느회사 제품인지는 아직 못알아봤네요..
이 분야 잘 아시는 분 트러스트마스터 FCS조종간 처럼 레이싱휠분야에서 최고로 치는 제품과 그에 맞는 버킷시트 마운트가 어디제품인지 좀 조언주시면 좋겠습니다~~
XBOX와 포스피드백 휠, 버킷시트 휠마운트킷, 그리고 FORZA 타이틀 요렇게만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이겠죠.
게임기와 타이틀 25만원, 버킷시트와 휠이 20~40 만원 가량 할 것 같습니다.
제일 좋은... 명품? 버킷시트와 휠이 어느회사 제품인지는 아직 못알아봤네요..
이 분야 잘 아시는 분 트러스트마스터 FCS조종간 처럼 레이싱휠분야에서 최고로 치는 제품과 그에 맞는 버킷시트 마운트가 어디제품인지 좀 조언주시면 좋겠습니다~~
2006.05.22 14:21:17 (*.48.32.204)

앗, xbox 쪽은 생각을 못했군요. forza motorsports 저도 무려 'xbox 용 휠'(흔하지 않았던 거라서 ^^) 로 해보았었는데 상당히 좋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제대로 파보진 못했지만, 물리엔진은 괜찮아 보였습니다.
이준노님, 나중에 혹시 시스템이 구축이 된다면 저도 한번 핸들을 잡아 보아도 될까요? ^^
이준노님, 나중에 혹시 시스템이 구축이 된다면 저도 한번 핸들을 잡아 보아도 될까요? ^^
2006.05.22 14:42:55 (*.192.187.141)

레이싱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점은 이미 입력된 수치에 따라 반응하는가 혹은 실시간으로 모든 운동을 계산하면서 반영되는가 입니다. LFS와 포르자가 실시간 계산으로 알고는 있습니다만 제대로된 콘트롤러의 부재, 확장이나 업데이트의 한계등으로 포르자는 매니아들로부터 외면 당해버렸죠. 게임자체도 중요하지만 지원장비에 따라서도 굉장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게임패드 내지는 플라스틱 페달로는 반쪽밖에 못즐기는 소프트가 아닐까 합니다.
2006.05.22 16:21:42 (*.74.230.252)

그렇군요.. XBOX용은 좋은 레이싱휠과 페달구하기가 쉽지 않나봅니다.
김주영님, 앞글에서 알려주신www.frex.com 엘 가봤는데 홈페이지에 아무것도 없네요.. 혹시 XBOX용 제대로 된 휠 파는 다른 사이트는 없을까요?
LFS를 해보진 못했는데, 그 게임만드는데 들어간 투자비와 포르자개발비등을 비교해 볼때 게임 자체의 게임으로서의 재미같은걸 빼고 시뮬레이터로서의 완성도만 놓고 본다면 여전히 포르자가 더 좋을것 같습니다. 게다가 적어도 8배 더 강력해진 연산능력을 가진 XBOX360용 포르자의 경우엔 당분간은 자동차 레이싱 시뮬레이션의 "현실 부합성" 면에선 가장 앞설 것 같습니다.(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심현보님..저는 XBOX에서 포르자 해보려고 타이틀사고 휠사고 한 3개월쯤 집에 못갖고가고 차에 넣고 있다 집에 가져가서 한 5분 해 본 후 TV사용권을 박탈당해서리 휠과 xbox등을 타던 차 팔때 걍 다 넘겨버렸습니다... 그러므로 제 핸들을 잡으시는것 보단 제가 심현보님이 구축하신 핸들을 잡아보는게 더 빠를 것 같숩니다..
김주영님, 앞글에서 알려주신www.frex.com 엘 가봤는데 홈페이지에 아무것도 없네요.. 혹시 XBOX용 제대로 된 휠 파는 다른 사이트는 없을까요?
LFS를 해보진 못했는데, 그 게임만드는데 들어간 투자비와 포르자개발비등을 비교해 볼때 게임 자체의 게임으로서의 재미같은걸 빼고 시뮬레이터로서의 완성도만 놓고 본다면 여전히 포르자가 더 좋을것 같습니다. 게다가 적어도 8배 더 강력해진 연산능력을 가진 XBOX360용 포르자의 경우엔 당분간은 자동차 레이싱 시뮬레이션의 "현실 부합성" 면에선 가장 앞설 것 같습니다.(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심현보님..저는 XBOX에서 포르자 해보려고 타이틀사고 휠사고 한 3개월쯤 집에 못갖고가고 차에 넣고 있다 집에 가져가서 한 5분 해 본 후 TV사용권을 박탈당해서리 휠과 xbox등을 타던 차 팔때 걍 다 넘겨버렸습니다... 그러므로 제 핸들을 잡으시는것 보단 제가 심현보님이 구축하신 핸들을 잡아보는게 더 빠를 것 같숩니다..
2006.05.22 18:16:54 (*.106.130.208)

Forza도 나름 즐겁습니다만, 콘솔기반의 리얼 시뮬레이터 표방형 게임은 Enthusia의 느낌이 제일이였던 것 같습니다. 이또한 추천 드립니다.
2006.05.22 21:07:46 (*.215.1.103)

물론 저도 360용 포르자2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만.. 유저의 90%는 패드로 즐길거라는걸 예상하고 만든 제품과 유저의 90%가 전용휠로 플레이할거라는 예상을 하고 만드는 제품은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렸던 콘솔소프트의 한계의 단적인 예구요. 또하나는 일부 두터운 하드코어매니아층 (실제 F3경력까지도 가지고있는)들의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하기가 콘솔제작사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 아마 가장 큰 단점일거라고생각됩니다.
질문하신 액박용휠은 http://www.racers.co.kr/MHboard/news/view.php?no=3116 이 기사를 참고하시면될듯..
질문하신 액박용휠은 http://www.racers.co.kr/MHboard/news/view.php?no=3116 이 기사를 참고하시면될듯..
2006.05.24 04:28:41 (*.48.33.60)

하하하, 그런 현실이었군요 orz. forza 를 살 생각은 있습니다만, xbox 용 휠은 전용 거치대가 필요해 보여서 선뜻 사겠단 생각은 못들더군요. 매니어(호사가?)는 어딜가든 환영받지 못하는걸까요. T_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