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차량은 93년식 세피아이고, 10만 km가량 주행했습니다.
어릴때부터 가족과 함께 했던 차이고, 면허 취득 후 물려받아 타게 된지라
저는 물론 저희 가족과, 심지어 제 여자친구까지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차입니다.^^
각설하고, 아껴가며 타고 있던 차에 2주쯤 전부터 이상이 생겼습니다.
워밍업이 되기 전까지 엔진 회전 질감이 매우 좋지 못한데요,
일단 워밍업이 되고 나면 회전이 정상적입니다.
회전 부조가 나타나고 사라지는 타이밍이 워낙 규칙적이라,
"주차장에서 시동걸고 잠시 웜업 후에, 영동대교 남단까지 주행하면 부조가 사라진다."
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아이들링 중에도 회전 진동이 디젤차 수준으로 심하고,
기어 중립 상태에서 회전수를 올려보면 매끄럽게 올라가지 못하고 울컥울컥합니다.
가속시에 차 전체가 울컥거리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짐작하시겠지요 ㅜㅜ
이런 증상이 처음 나타났던 것이, 평소 찾지 않던 주유소를 찾아 full tank주유한 후인지라,
불량 연료로 인한 문제일 것으로 추측하고 한동안 방치했었는데,
문제의 연료를 모두 사용하고 단골 주유소에서 주유한 뒤에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아서
테드 고수님들의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ㅜㅜ
혼자서 몇가지 이유를 생각해봤는데요,
우선 흡기계통에는 별 문제가 없었고,
웜업 후에는 정상이라는 점에서 피스톤 문제나 점화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연료계통 문제일까 싶기도 한데, 이부분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2006.07.20 19:06:54 (*.115.56.83)
WTS(냉각수온센서)의 오작동으로 냉간시에도 정상수온일때와 같이 제어하면 wall wetting을 고려하지 않기때문에 희박한 공연비로 엔진이 돌아간다고 보입니다 대부분 이경우 check engine 경고등이 뜨는데 아니라면 글쎄요... 웜업된후엔 공회전시에도 문제가 없나요?
2006.07.20 20:27:01 (*.178.160.90)
두분의 의견 감사합니다^^
일단 웜업이 된 후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공회전시나 주행시, 또는 고부하시에도 이상을 찾기 어렵습니다.
일단 웜업이 된 후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공회전시나 주행시, 또는 고부하시에도 이상을 찾기 어렵습니다.
2006.07.20 22:43:44 (*.213.26.214)
부조의 원인은 그리 간단한게 아닙니다 일반 미케닉분들도 싼거 부터 차례로 가는 무식한 방법까지 행해지고 있는게 현실이고 그만큼 힘들다는 겁니다 .. 부조시 기본 정비가 정답입니다 스캔으로 찍어보시고 그래프 분석을 하십시오.. 크게는 기계적인 부분과 전기적인 부분으로 나뉘게 되고 여기서 부터시작됩니다
2006.07.22 10:30:25 (*.18.171.205)
흐~! 일일히 나열을 하자면 꽤나 많은 부분이리고 할 수 있습니다. 윗분 말씀데로 냉각수온센서일 수 도 있구요 ,그밖에도 tps 센서 잭 배선의 비틀림으로 인한 부정확한 치합 (?)등등 또 인젝터 문제일수도 있구요,또는 iac 모터 오염,불량연료,전기배선 (하이텐션 케이블) 등등..하지만 저 같으면 이렇게 하겠습니다.일단 기아 서비스를 찾아가 스캔ㄴ을 찍어서 모든 전압을 첵크 하시고 모든게 정상이라면 마지막으로 연료필터 바꾸고 연료통을 탈거하여 청소후 부착하세요.근데 가장 제 마음에 무게를 차지하는건 '산소센서'같습니다(추정)산소센서가 오염되어 한참 열을받기 전에는 제데로 피드백이 안되는거 같네여.혹시 나중에 수리를 완벽하게 하시드라도 꼭 원인을 밝혀서 글 좀 남겨주세요.저도 비슷한 ㅡㅇ상을 겪었지만 전 자가정비로 해결했거든여^^*
2006.07.22 13:29:01 (*.178.160.75)
의견 감사합니다. 일단 수온센서부터 교환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계기판 수온계의 바늘은 평소와 다름없이 작동합니다.
즉, 시동 직후에는 바늘이 C를 가리키다가, 점차 바늘이 올라가서,
엔진이 워밍업이 충분히 되었다 싶으면 중앙부를 가리킵니다.
증상은 수온계가 중앙부를 가리키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집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냉각수온센서 이상을 의심할 수 있는지요?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계기판 수온계의 바늘은 평소와 다름없이 작동합니다.
즉, 시동 직후에는 바늘이 C를 가리키다가, 점차 바늘이 올라가서,
엔진이 워밍업이 충분히 되었다 싶으면 중앙부를 가리킵니다.
증상은 수온계가 중앙부를 가리키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집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냉각수온센서 이상을 의심할 수 있는지요?
2006.07.22 20:57:07 (*.64.204.133)
센스가 의심될땐 먼저 산소센스나 수온센스 젝을 한가지씩 제거한 후 타보세요. 그럼 이씨유가 센스값을 아예 참고하지 않을테니 부조의 원인인지 아닌지 확인될듯 하네요..
연료펌프 압력의 문제 혹은 인젝터 노즐의 문제등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