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이번에 클러치를 바꾸면서
동판클러치와 경량 플라이 휠을 장착했습니다
다소 달달달 하는 (플라이휠이 떠는 소음) 게 기분좋지는 않지만
변속감이 좋아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엊그제 인천공항을 달려보니 무려 20키로정도 최고속이 줄었습니다
ㅜㅜ 게다가 드래그 해보니 3단부터는 가속이 느려지더군
경량 플라이휠을 끼우면 고속에서 속도가 덜 난다고 들은바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는 많은 속도차이가 나는것 같은데..
원래 이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1.8T TT입니다
경량 끼워보신분들의 경험담 좀 들려주세요~
동판클러치와 경량 플라이 휠을 장착했습니다
다소 달달달 하는 (플라이휠이 떠는 소음) 게 기분좋지는 않지만
변속감이 좋아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엊그제 인천공항을 달려보니 무려 20키로정도 최고속이 줄었습니다
ㅜㅜ 게다가 드래그 해보니 3단부터는 가속이 느려지더군
경량 플라이휠을 끼우면 고속에서 속도가 덜 난다고 들은바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는 많은 속도차이가 나는것 같은데..
원래 이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1.8T TT입니다
경량 끼워보신분들의 경험담 좀 들려주세요~
2006.09.18 16:13:10 (*.37.198.195)
경량 정도가 관건이겠지만... 달달달 할정도면... 20키로 정도 차이가 있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저는 아주 옛날에 96-98년도 정도에 티뷰론 TGX에 경량 플라이휠을 끼운적이 있었습니다.
2006.09.18 19:34:01 (*.137.152.23)

플라이휠이 떤다? 글쎄요.. 밸런스가 잘 맞지 않으면 상당히 위험하져. 어느 특정 영역대에서는 깨져버릴수도 있습니다...
암튼, 남현우님 말씀처럼 소음이 난다는 것은 그리 기분 좋은 일은 아니군요.. 그 제품만의 특징인지도 모르지만요..(^^*)
그리고 파워가 충분하다면 최고속 별로 줄지 않죠.. 경량플라이휠로 인해 줄어드는 최고속 보다는 리스폰스의 향상이 주는 매력이 더 감미로울듯..쿠쿠.
암튼, 남현우님 말씀처럼 소음이 난다는 것은 그리 기분 좋은 일은 아니군요.. 그 제품만의 특징인지도 모르지만요..(^^*)
그리고 파워가 충분하다면 최고속 별로 줄지 않죠.. 경량플라이휠로 인해 줄어드는 최고속 보다는 리스폰스의 향상이 주는 매력이 더 감미로울듯..쿠쿠.
2006.09.18 22:08:09 (*.143.171.167)

비교가 되진 못할수도 있겠으나, 저도 현재 투스카니 2.0에 발레오 경량단조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클러치미트시에 약간의 진동이 있는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최고속의 경우에는 숏기어세팅(4.294종감속)을 해서인지 별반 차이는 없는것 같은데요.
저같은 경우는 별로 고속을 즐기지 않으니 어차피 별 상관은 없습니다마는...^^;;
여튼 최고속같은 경우는 적용전 적용후 공히 Y10KM 정도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별로 고속을 즐기지 않으니 어차피 별 상관은 없습니다마는...^^;;
여튼 최고속같은 경우는 적용전 적용후 공히 Y10KM 정도입니다.
2006.09.19 00:00:26 (*.153.160.67)

잘못 만들어진 플라이휠은
가끔 보닛밖으로 세상밖 구경을 하러 나오기도 합니다.. ^^;;
넘 겁 드렸나.. ㅎ
그런차 아직 몇대밖에 못 보았으니 안심 하세용..
대신 대시보드쪽으로 나오면 대략 난감 할듯은 합니다.. 쿠쿠..
가끔 보닛밖으로 세상밖 구경을 하러 나오기도 합니다.. ^^;;
넘 겁 드렸나.. ㅎ
그런차 아직 몇대밖에 못 보았으니 안심 하세용..
대신 대시보드쪽으로 나오면 대략 난감 할듯은 합니다.. 쿠쿠..
2006.09.19 05:06:57 (*.65.66.193)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경량 플라이휠을 달면 왜 최고속이 줄죠?? 경량 플라이휠을 달면 엔진이 플라이휠을 돌리는 에너지를 조금이라도 덜 쓰게 될테니깐, 아주 조금이겠지만 오히려 최고속이 늘어야 되는게 아닐까요?
2006.09.19 08:29:45 (*.219.0.69)

엔진이 고회전으로 돌게 되면, 플라이휠은 관성에 의해 그 속도를 유지하면서 바퀴로 전달하는 엔진 힘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까요? 속도가 빨라지면 공기저항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회전력이 필요합니다. 아니면 그걸 극복할 정도로 엔진 출력이 같이 올라가거나요.
윤명근님.. 플라이휠이 보닛 밖으로 나오기 보다는 동판 클러치가 그렇게 되는 경우가 있죠. ㅋㅋㅋ 정말 옛날 일이지만 저도 직접 겪었던 일이라.. ㅎㅎㅎ
윤명근님.. 플라이휠이 보닛 밖으로 나오기 보다는 동판 클러치가 그렇게 되는 경우가 있죠. ㅋㅋㅋ 정말 옛날 일이지만 저도 직접 겪었던 일이라.. ㅎㅎㅎ
2006.09.19 08:31:08 (*.219.0.69)

무게가 얼마나 줄어드는 제품인지도 궁금하네요. 제 경험으로는 2천cc 기준으로 2kg 정도 줄어들면 1~3단까지는 가속이 좋아지고 최고속은 거의 변화가 없었던 것 같네요. 10년 전 일이라 가물가물.. ^^;;;;;;;;
2006.09.19 10:42:17 (*.210.44.209)

플라이휠이 본닛밖으로 나온 경우는 1회 카타드래그에서(문막) 모모샵 차가 그랬구요 동희님 동판날라와서 미션 망가진 얘기는 ㅎㅎ 부산에
y.* *** 로 기억합니다.
밸런스가 맞지 않을때 진동이 생기구요 그러다가
고유진동수에 걸리면 파열되죠 그리고 경량플라이휠을
썼을때 최고속이 줄어드는 이유는 적용 이전에 최고속이
차량의 파워에 의한 최고속이 아니라 관성에 의한
최고속이기 때문입니다. 회전관성이 필요한 부품중 하나가
플라이휠이고 크랭크샤프트의 웨이트 밸런스도
일종의 파워저장탱크 역할을 하죠
y.* *** 로 기억합니다.
밸런스가 맞지 않을때 진동이 생기구요 그러다가
고유진동수에 걸리면 파열되죠 그리고 경량플라이휠을
썼을때 최고속이 줄어드는 이유는 적용 이전에 최고속이
차량의 파워에 의한 최고속이 아니라 관성에 의한
최고속이기 때문입니다. 회전관성이 필요한 부품중 하나가
플라이휠이고 크랭크샤프트의 웨이트 밸런스도
일종의 파워저장탱크 역할을 하죠
2006.09.19 14:33:44 (*.125.82.178)

플라이휠 때문에 최고속이 줄거나 늘거나 할 이유는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관성을 얘기들 하시는데, 관성이 늘거나 준다고 출력이 달라지는 건 아니니까요. 플라이휠의 회전 속도와 바퀴의 회전 속도 차이가 많이 나는 저단 에서의 가속력에서는 경량 플라이휠의 역활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겠지만, 고단 기어에서는 별 차이가 없어야 정상일 겁니다. 경량 플라이휠 끼고서 최고속이 줄었다면 밸런스가 안맞아서 회전 저항이 증가했는 지를 의심해 보는 것이 현명할 거라고 생각됩니다.
2006.09.19 15:34:02 (*.37.198.195)
경량 플라이휠이 정말 최고속에 영향이 전혀 없을까요?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보통 최고속을 짧은 기어로 끝까지 밀어서 내는 경우라면 말씀하시는것과 같이 경량 플라이 휠이라고 해서 줄것은 없는게 맞습니다. 무겁건 가볍건 연료차단 시점까지 딱 밀어줘서 나오는것을 최고속이라고 하면 맞지요.
그런데, 예를 들자면 수동차 타실 경우 파이널 단수에서 공기저항과 싸우면서 조금 힘겹게 (rpm리밋까지 쭉 올리지 못하고 지지부지하면서) 점령하는 최고속250키로라면.... 떨림이 있을 정도의 가벼운 플라이 휠로 바꾸었다면 가속력과는 별개로 최고속은 똑같이 250까지 저렇게 밀어주기 힘들거라고 생각합니다. 냥 제 생각입니다. ^^
그런데, 예를 들자면 수동차 타실 경우 파이널 단수에서 공기저항과 싸우면서 조금 힘겹게 (rpm리밋까지 쭉 올리지 못하고 지지부지하면서) 점령하는 최고속250키로라면.... 떨림이 있을 정도의 가벼운 플라이 휠로 바꾸었다면 가속력과는 별개로 최고속은 똑같이 250까지 저렇게 밀어주기 힘들거라고 생각합니다. 냥 제 생각입니다. ^^
2006.09.19 16:05:26 (*.223.164.248)
최고속 줄어듭니다.제가 에셈5스틱 타고 다닐때도 220~230나오던것이 경량플라이휠하고나서부터는 210~215로 줄어들더군여...설마 하면서 다시 순정으로 돌렸더니 예전속도가 다시 나오고요...파워가 아주 큰차량들은 차이가 얼마없을지 모르지만,일반 차량들은 고속에서의 관성이 큰역할을 합니다.일반적으로 100km이상에서는 힘의 대부분이 공기저항을 이기는데 사용되는데,이때 같은 공기량투영면적하에서 질량이 더나가는 차량이 고속에서는 더많은 관성을 가지게 되므로 가벼운차량보다는 더고속이 나오게됩니다.로터스차량들이 제로백이 슈퍼카수준이라도 고속이 잘안나오는데서도 알수있습니다.
2006.09.19 16:10:06 (*.223.164.248)
윗글에는 차량전체의 질량으로 얘기가 조금 바꼈지만,안으로 들어가서의 회전질량들,즉 플라이휠,휠타이어 심지어는 경량 동판클러치도 영향을 미친다고합니다. 때문에 경량플라이휠도 무조건 가벼운것을 선택하는것이 아니라 조금만 무게를 줄여서 반응성과 고속둘다 잡으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요,특히 전체밸런스가 굉장히 중요합니다.그래서 공장에갖고가서 순정을 갖고 깍아서 무게만줄인 경량플라이휠들이 나중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2006.09.20 12:35:53 (*.146.27.237)

먼저,, 떨림이 나신다는건, 잘못된 제품 선택이거나 잘못된 베어링 류 부품 선택, 또는 작업일것 같습니다.. 특히 트랜스미션과 같은 부분은 공임도 상당하거니와 잘못되었을 때 크게 깨질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적당한 비용에 검증된 제품을 찾는게 좋습니다.
회전 밸런스 얘기가 답글들에서 나왔는데 브레이크 로터나 플라이휠 같은 회전하는 부품의 적정 밸런스 값이 제곱 센티미터당 1.2kg 이라고 하네요-
뭐 무슨 말인지 이해는 저도 안되지만^^; 어쨌든 플라이휠 "질량" 말고도 플라이휠이 가져야할 최적의 "기준"이 있다는 것이죠-
몇몇 분들이 답해주신 것처럼, "무조건 가볍게" 보다는 원하는 토크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리스폰스와 저단 가속력 상승, 운전하기 편할 것 과 같은 조건을 생각해서 작업해야할 까다로운 부분이 클러치/플라이휠 인것 같습니다.
제 경우 순정 7kg 정도인데 지금 절반 정도 무게인 3.7kg 짜리로 바꿨는데요, 재질은 크로몰리/알루미늄 중에 알루미늄입니다.
기어비 차이가 큰(하이기어) 1,2,3단에서 가속력 꽤 좋아졌구요, 그 이후 4,5단에서는
별 감흥 없습니다. 순정과 별 차이 없는 느낌이예요-
하지만 평소엔 1,2,3단 가속만 가끔 즐기기 때문에 ,, 제 경우 신경 안쓴답니다.
최고속에 대한 답변은 위에 나온것 같구요-^^
설사 최고속이 줄었다고 해도 경량 플라이휠로 인해 "적당한 특정 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그 속도에 도달하는 동안 더 즐겁게 운전할 수 있다면(플라이휠의 경우 감속할 때도 그렇겠구요)
저는 만족한답니다. 항상 얻는게 있으면 잃는게 있으니까요-
드라이브트레인 튜닝으로 얻으신 것에 초점을 맞춰서 즐기시기를 권해드립니다^^;;
회전 밸런스 얘기가 답글들에서 나왔는데 브레이크 로터나 플라이휠 같은 회전하는 부품의 적정 밸런스 값이 제곱 센티미터당 1.2kg 이라고 하네요-
뭐 무슨 말인지 이해는 저도 안되지만^^; 어쨌든 플라이휠 "질량" 말고도 플라이휠이 가져야할 최적의 "기준"이 있다는 것이죠-
몇몇 분들이 답해주신 것처럼, "무조건 가볍게" 보다는 원하는 토크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리스폰스와 저단 가속력 상승, 운전하기 편할 것 과 같은 조건을 생각해서 작업해야할 까다로운 부분이 클러치/플라이휠 인것 같습니다.
제 경우 순정 7kg 정도인데 지금 절반 정도 무게인 3.7kg 짜리로 바꿨는데요, 재질은 크로몰리/알루미늄 중에 알루미늄입니다.
기어비 차이가 큰(하이기어) 1,2,3단에서 가속력 꽤 좋아졌구요, 그 이후 4,5단에서는
별 감흥 없습니다. 순정과 별 차이 없는 느낌이예요-
하지만 평소엔 1,2,3단 가속만 가끔 즐기기 때문에 ,, 제 경우 신경 안쓴답니다.
최고속에 대한 답변은 위에 나온것 같구요-^^
설사 최고속이 줄었다고 해도 경량 플라이휠로 인해 "적당한 특정 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그 속도에 도달하는 동안 더 즐겁게 운전할 수 있다면(플라이휠의 경우 감속할 때도 그렇겠구요)
저는 만족한답니다. 항상 얻는게 있으면 잃는게 있으니까요-
드라이브트레인 튜닝으로 얻으신 것에 초점을 맞춰서 즐기시기를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