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안녕하세요 x3를 타고 있습니다.
현재 타이어를 RE050A를 끼고 있는데,
달리던 중에 오른쪽 앞바퀴 타이어가 펑크나서
앞바퀴 2개를 교체를 해야할거 같습니다.
질문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1. 4륜구동 차량인데 앞/뒤에 서로 다른 타이어를
끼워도 되나요? 싸이즈는 물론 동일하고요.
2. 만약 가능하다면 가격대 성능비가 괜찮은 새로 나온
아드레날린을 앞쪽에 사용해볼까 하는데, 아드레날린이
RE050A만큼의 성능을 보여줄지 의문입니다.
현재 RE050A에 굉장히 만족하고 있는데, 만약 제가 쉽게 느낄만한
차이라면 그냥 RE050A 로 통일하려고요.
현재 타이어를 RE050A를 끼고 있는데,
달리던 중에 오른쪽 앞바퀴 타이어가 펑크나서
앞바퀴 2개를 교체를 해야할거 같습니다.
질문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1. 4륜구동 차량인데 앞/뒤에 서로 다른 타이어를
끼워도 되나요? 싸이즈는 물론 동일하고요.
2. 만약 가능하다면 가격대 성능비가 괜찮은 새로 나온
아드레날린을 앞쪽에 사용해볼까 하는데, 아드레날린이
RE050A만큼의 성능을 보여줄지 의문입니다.
현재 RE050A에 굉장히 만족하고 있는데, 만약 제가 쉽게 느낄만한
차이라면 그냥 RE050A 로 통일하려고요.
2007.09.22 16:23:02 (*.22.116.64)
요즘 x3에 re050이 달려나오나요?
써스도 탄탄한 감이 있고 스포츠 성향도 강한 차량이지만, suv에 승용 uhp타이어를 단다는게..아이러니 한가요?^^;
각 타이어 마다 걸리는 토크 배분율이 0~100%가 아니라면 X3처럼 앞뒤로만 적용되는x-드라이브일 경우 앞뒤 타이어가 달라도 되지 않을까합니다. 좌/우 타이어 패턴은 같은 것이 좋을듯하구요.
suv 차량 전용 고성능 타이어로 미쉐린에서 나오는 것이 있던데..X3자체가 대형급은 아니지만 기타 활용도를 봤을 때 추천합니다.
써스도 탄탄한 감이 있고 스포츠 성향도 강한 차량이지만, suv에 승용 uhp타이어를 단다는게..아이러니 한가요?^^;
각 타이어 마다 걸리는 토크 배분율이 0~100%가 아니라면 X3처럼 앞뒤로만 적용되는x-드라이브일 경우 앞뒤 타이어가 달라도 되지 않을까합니다. 좌/우 타이어 패턴은 같은 것이 좋을듯하구요.
suv 차량 전용 고성능 타이어로 미쉐린에서 나오는 것이 있던데..X3자체가 대형급은 아니지만 기타 활용도를 봤을 때 추천합니다.
2007.09.22 19:07:20 (*.120.231.195)

차정민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도 그냥 RE050A로 통일해야겠다고
생각하고 타이어를 찾았는데, RE050A 재고가 근처에 없고,
당장 주행이 급한터라 일단 아드레날린으로 앞 2개만 교환했습니다.
뒷바퀴의 트레드는 절반이상 남은 상황이라서 그냥 두었습니다.
향후에 뒷타이어의 교환시기가 되면 그때 다시 4짝을 전부다
RE050A로 교환할 생각입니다.
다음번 타이어 교환시 조언해주신점 참고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수민님, 출고시에는 브리지스톤 투란자 EL42가 달려져 있었는데,
내구성이 좋은점을 빼면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해서 조금타다가 RE050A로
교체하였습니다. SUV에 승용타이어도 좋은거 같습니다 ^^;
그리고 토크배분율이 앞 뒤는 물론 상황에 따라
4바퀴 각각에도 다르게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후에 바퀴 교환시 추천해주신 미쉐린 타이어도 참고하겠습니다.
생각하고 타이어를 찾았는데, RE050A 재고가 근처에 없고,
당장 주행이 급한터라 일단 아드레날린으로 앞 2개만 교환했습니다.
뒷바퀴의 트레드는 절반이상 남은 상황이라서 그냥 두었습니다.
향후에 뒷타이어의 교환시기가 되면 그때 다시 4짝을 전부다
RE050A로 교환할 생각입니다.
다음번 타이어 교환시 조언해주신점 참고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수민님, 출고시에는 브리지스톤 투란자 EL42가 달려져 있었는데,
내구성이 좋은점을 빼면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해서 조금타다가 RE050A로
교체하였습니다. SUV에 승용타이어도 좋은거 같습니다 ^^;
그리고 토크배분율이 앞 뒤는 물론 상황에 따라
4바퀴 각각에도 다르게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후에 바퀴 교환시 추천해주신 미쉐린 타이어도 참고하겠습니다.
보통의 경우 풀타임 4륜구동 차량의 경우 동일패턴 동일 제조사 동일 제품의 4개의 타이어를 동시에 교체 시켜주는게 좋습니다.
4륜구동은 타이어 위치교환을 잘해서 최대한 균일하게 마모를 시켜주시는게 좋고, 만약에 펑크가 났다면 타 제품을 사용할시 4개의 제품을 교환하거나 같은 타이어를 앞타이어에 교환하더라도 고속을 뛰지 않는게 하체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앞뒤 접지력이 틀려지게 되면 속도를 내고 코너에 들어가면 앞뒤가 비대칭적으로 접지력이 틀려지기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토크분배가 한쪽으로만 쏠리게 되고 그렇게 되면 타이어의 마모도가 급격하게 안 좋아지기 때문에 항상 트렉션이 부족한곳에 데미지를 받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전체적인 타이어 관리에서 불리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U턴을 빨리도는 차량이나 코너를 즐기시는 분들의 차 고속도로에서 속도를 즐기시는 분들은 타이어 때문에 하체에 데미지를 주는경우죠.^^
타이어 교환한지 얼마되지 않았고 뒷 타이어 상태가 무척이나 좋을경우 앞 타이어만 동일 제품으로 교환하는것을 권하구요 3년이 지났거나 뒷 타이어 옆면을 관찰해서 크랙이 보일정도로 오래된 타이어라면 그냥 4바퀴 전부 교환하는것을 권합니다. 4바퀴 전부 교환할 계획이라면 타 메이커의 타이어를 교환해도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