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추석 잘 보내셨지요?
엔진오일 압력/온도 게이지를 설치했으면 하는 생각을 예전부터 했었는데,
이제서야 실행에 옮기려고..좀 여쭤봅니다.
1. 어떤 제품을 구입해야 할까요? (Defi link display+컨트롤유닛+센서 vs. 따로 게이지..)
- 게이지는 좋은 것을 써야 한다는 것에는... 찬성 합니다만...
제가 아는 게이지 라고 해봐야.. 데피, 피봇.. 이정도 밖에 없네요.
느낌으로는...공업용 게이지 중에도... 정밀한 제품이 있을텐데... 그쪽으로는...
제가 잘 모르는 데다가.. 아버지 도움을 받기에는..^^ 구박받을 가능성이 농후하여..^^
회원님들의 고견을 여쭙니다.
- 사실..디스플레이 자체는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게이지만..정확하면...상관없으며..
데피 게이지 중에..전자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품이 있던데...
하나로 여러가지를 해결할 수 있는게... 주렁주렁 설치하는 것 보다..제가 선호하는 방법입니다.
- 그런데...defi 게이지 센서도 훌륭한 편인지요? ^^ 따로 센서를 사려고 하니..
꽤 고가로 보여지더라구요... 유압이 16만원, 유온이..10만원 내외였던것 같습니다.
거기다가..컨트롤유닛... 게이지.. 하면..ㅎㅎ
2. 설치는 어렵지 않은지요?^^
설치할 차량은 카니발2 입니다.
차량의 어느부분에 어떻게 설치 하는지 전혀 감이 없는데다가...
오일과 관련된 부분이라서..그냥 전문가의 손길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만...
대충...어디에 설치한데..정도만 귀띔해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럼, ^^ 두서없는 질문이지만...^^
현답을..^^ 기대합니다.
김강희 들미.
추석 잘 보내셨지요?
엔진오일 압력/온도 게이지를 설치했으면 하는 생각을 예전부터 했었는데,
이제서야 실행에 옮기려고..좀 여쭤봅니다.
1. 어떤 제품을 구입해야 할까요? (Defi link display+컨트롤유닛+센서 vs. 따로 게이지..)
- 게이지는 좋은 것을 써야 한다는 것에는... 찬성 합니다만...
제가 아는 게이지 라고 해봐야.. 데피, 피봇.. 이정도 밖에 없네요.
느낌으로는...공업용 게이지 중에도... 정밀한 제품이 있을텐데... 그쪽으로는...
제가 잘 모르는 데다가.. 아버지 도움을 받기에는..^^ 구박받을 가능성이 농후하여..^^
회원님들의 고견을 여쭙니다.
- 사실..디스플레이 자체는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게이지만..정확하면...상관없으며..
데피 게이지 중에..전자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품이 있던데...
하나로 여러가지를 해결할 수 있는게... 주렁주렁 설치하는 것 보다..제가 선호하는 방법입니다.
- 그런데...defi 게이지 센서도 훌륭한 편인지요? ^^ 따로 센서를 사려고 하니..
꽤 고가로 보여지더라구요... 유압이 16만원, 유온이..10만원 내외였던것 같습니다.
거기다가..컨트롤유닛... 게이지.. 하면..ㅎㅎ
2. 설치는 어렵지 않은지요?^^
설치할 차량은 카니발2 입니다.
차량의 어느부분에 어떻게 설치 하는지 전혀 감이 없는데다가...
오일과 관련된 부분이라서..그냥 전문가의 손길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만...
대충...어디에 설치한데..정도만 귀띔해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럼, ^^ 두서없는 질문이지만...^^
현답을..^^ 기대합니다.
김강희 들미.
2007.09.27 18:02:15 (*.11.60.2)

아참.. 설치는 오일팬쪽에 탭을 내거나 어댑터를 쓰더군요..
개인이 DIY수준으로 하기엔 난이도가 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제 경우는 센서가 오일팬의 코크 나사에 박혀있습니다.
(유압센서는 센서 자리가 잘 안나와 못달았었습니다)
개인이 DIY수준으로 하기엔 난이도가 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제 경우는 센서가 오일팬의 코크 나사에 박혀있습니다.
(유압센서는 센서 자리가 잘 안나와 못달았었습니다)
2007.09.27 20:01:35 (*.172.214.159)

저는 Defi 사의 D-gauge 시리즈를 쓰고 있는데요, 부스트와 유온만 할거라서 그냥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샀습니다. D-gauge는 단종되고 Blue racer 시리즈라고 파란불이 들어오는 게이지로 바뀌었는데, 정확도나 가격대 성능비는 여전히 훌륭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솔직히 워닝 기능이나 메모리 기능등이 있으면 참 좋기는 한데 게이지 2개 정도로 끝내실 계획이라면 그냥 독립게이지가 낫습니다. 그리고 오일 압력/온도의 경우 오일 필터끼우는 곳에 어댑터를 끼우면 센서 2개를 달 수 있는 제품이 있어서 설치는 그리 어렵지 않을 듯 합니다. 다만 엔진룸에서 엔진 파트에 간섭이 없이 예쁘게 인테리어 게이지 위치까지 선을 가져오는 작업이 차마다 다르기 때문에 연구를 좀 하셔야 됩니다.
2007.09.27 20:04:40 (*.172.214.159)

유압과 유온을 어디서 측정하는지에 따라서 측정치가 다른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하려면 유압 센서는 제일 압력이 낮게 나오는 실린더 헤드 쪽에, 유온 센서는 제일 온도가 높게 나오는 오일 쿨러 들어가기 직전 등에 설치하는 것이 정석이라고 합니다만, 보통은 그냥 설치가 편한 곳에 하는 것이 나은 것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2007.09.27 21:52:33 (*.254.2.34)

/김광삼, 조인성 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글속에 정보가 많네요..^^ 감사합니다.
현재 차량에는 부스트 게이지가 하나 있어서 (피봇제품) 2개더 추가되면..너무 현란할 것 같아서..^^ 전자식 게이지로 자꾸 맘이 가네요.
설치가 쉽지 않다고 하시니...^^ 샾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차량 후드를 열고... 상상을 좀 해봐야 겠습니다.^^
그런데, 어차피 샵에서 장착을 하게 될 경우에...
제품을 구해서...가서 장착하는 게 좋을런지...
그냥, 튜닝샵에서...구입해서 장착하는 것이 좋을지.. 살짝 고민됩니다.
예산대비 효과는 있겠지요? ^^ (그냥..노말 운전자인데...효과가 있어야 할텐데..^^)
답변 감사드립니다.^^ 글속에 정보가 많네요..^^ 감사합니다.
현재 차량에는 부스트 게이지가 하나 있어서 (피봇제품) 2개더 추가되면..너무 현란할 것 같아서..^^ 전자식 게이지로 자꾸 맘이 가네요.
설치가 쉽지 않다고 하시니...^^ 샾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차량 후드를 열고... 상상을 좀 해봐야 겠습니다.^^
그런데, 어차피 샵에서 장착을 하게 될 경우에...
제품을 구해서...가서 장착하는 게 좋을런지...
그냥, 튜닝샵에서...구입해서 장착하는 것이 좋을지.. 살짝 고민됩니다.
예산대비 효과는 있겠지요? ^^ (그냥..노말 운전자인데...효과가 있어야 할텐데..^^)
2007.09.28 00:56:08 (*.39.107.217)

샵에서 장착을 한다해도 샵에 제품이 없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맘에 드는 제품으로 구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공임만 주고 장착하시면 되니까요.
맘에 드는 제품으로 구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공임만 주고 장착하시면 되니까요.
2007.09.28 09:55:30 (*.20.191.246)

Defi 제품 중에 디스플레이 한개에 센서를 여러개 달아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제품을 말씀하시는 것 같군요. 베스트 모터링 등에서 봤는데 아마 추구하시는 목적은 충분히 만족시켜줄 것 같습니다. 솔직히 3개 정도까지는 아날로그 게이지도 괜찮습니다. A 필러나 대쉬보드에 3개짜리를 달 수 있는 포드들이 있으니깐요. 디지털 방식으로 숫자를 보여주는 것보다 상태를 체크하기는 바늘이 아직도 시인성이 좋기는 합니다. 게이지가 정말 많은 항공기들도 아직까지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이죠. 한번에 정상과 비정상을 알 수 있으니깐요.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일반도로 주행 차량의 경우 상당한 튜닝이 되어있거나 트랙에서 주행, 최고속 주행등을 하지 않는 이상 유온이 걱정될 정도로 올라가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그냥 현 상태를 알려주는 궁금증 해결 정도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저도 부스트 게이지와 유온 게이지 둘다 처음에는 재밌어서 자주 보다가 평소 주행시에는 거의 안보게 되더군요. Defi 링크 디스플레이 제품의 경우 콘트롤 유닛, 센서를 모두 따로 구입하셔야 되므로 상당히 고가가 될 듯 싶습니다. 단독 디지털 게이지, 단독 아날로그 게이지등이 비교적 저렴하므로 여러제품 잘 따져보고 결정하세요. ^^
2007.09.28 11:19:41 (*.254.2.34)

/안풍완, 조인성 님
친절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구입해서 가져가야 할 듯 하네요..^^
/조인성 님
제가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만..^^ Defi를 판매하는 대부분의 사이트(전 두군데 밖에 못 들렀습니다만..^^)에서는 defi게이지는 하나를 설치해도.. 컨트롤 유닛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뭐..컨트롤러야 아주 고가는 아니지만... ^^ 워낙에 센서류를 비싸게 책정한 경향이 있어서..고민중입니다.^^ 거의.. 게이지 하나 가격이던데..ㅎㅎ 센서가 표준화된 제품이라면... 훨씬 저렴한 가격에 정밀한 제품을 장만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아직 마음을 못 정하겠습니다.^^ (주변에 장착하신분 계시면..출력 전압이라도 한번 찍어보고 싶네요..^^)
친절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구입해서 가져가야 할 듯 하네요..^^
/조인성 님
제가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만..^^ Defi를 판매하는 대부분의 사이트(전 두군데 밖에 못 들렀습니다만..^^)에서는 defi게이지는 하나를 설치해도.. 컨트롤 유닛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뭐..컨트롤러야 아주 고가는 아니지만... ^^ 워낙에 센서류를 비싸게 책정한 경향이 있어서..고민중입니다.^^ 거의.. 게이지 하나 가격이던데..ㅎㅎ 센서가 표준화된 제품이라면... 훨씬 저렴한 가격에 정밀한 제품을 장만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아직 마음을 못 정하겠습니다.^^ (주변에 장착하신분 계시면..출력 전압이라도 한번 찍어보고 싶네요..^^)
2007.09.28 11:20:47 (*.254.2.34)

Display는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Defi외에도 좀 정확하다고 알려진 제품 있으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2007.09.28 13:38:28 (*.20.191.123)

일단 제가 미국에서 제품을 구입했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Autometer라고 상당히 저렴한 게이지를 만드는 곳이 있는데 좀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 같기는 합니다. 미국에서는 일반 자동차 부품샵에서도 구할 수 있을 만큼 대중적입니다. 그리고 Subaru 동호회에서 인기가 있는 것은 순정과 비슷한 컬러와 디자인으로 Omori 게이지를 많이 하던거 같구요, VW 동호회에서는 Stewart Warner 게이지를 많이 사용했던 거 같습니다. 그리고 클래식한 디자인으로 VDO 게이지들도 저렴한 가격에 많이 이용하는 것 같구요. Stri 게이지라고 일제인 것 같은데 신뢰도나 정확도나 잘 모르겠습니다만 Defi와 비슷한 디자인에 더 저렴한 가격의 게이지로 Subaru 동호회에서 협력업체가 광고하는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2007.09.28 22:59:10 (*.254.217.154)

Autometer제품은 미국에서 많이 본 기억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Toser, Autogauge라는 제품이 제법 많이 보이는데...
Toser 제품은..관련 센서 및 설치 부품 가격에 defi에 비해서 아주 저렴해서 맘에 드네요.^^
Blast 레이싱팀이 운영한다는 모 사이트에서도 팔고 있는데..
좀 괜찮다는 의견만 있으면... 좀 저렴하게 설치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물론..게이지는 좋은것을 써야 한다야...100% 동감합니다만...
^^ 센서류 등..주변 부품류에 좀 거품이 있는 것 같아서..망설여 지네요.
아직 조금 시간이 있으니.. 살펴 봐야겠네요.^^
조인성님이..계속 도움을 주셔서..^^ 견문을 넓히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에서는..Toser, Autogauge라는 제품이 제법 많이 보이는데...
Toser 제품은..관련 센서 및 설치 부품 가격에 defi에 비해서 아주 저렴해서 맘에 드네요.^^
Blast 레이싱팀이 운영한다는 모 사이트에서도 팔고 있는데..
좀 괜찮다는 의견만 있으면... 좀 저렴하게 설치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물론..게이지는 좋은것을 써야 한다야...100% 동감합니다만...
^^ 센서류 등..주변 부품류에 좀 거품이 있는 것 같아서..망설여 지네요.
아직 조금 시간이 있으니.. 살펴 봐야겠네요.^^
조인성님이..계속 도움을 주셔서..^^ 견문을 넓히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특히나 소리가 삐이이이 하고 울어주는점이 가장 맘에 듭니다.
항상 게이지를 보면서 운행할순 없는 노릇이라..
중간에 삐이이 소리가 들리면 재빨리 게이지를 확인할수 있고,
주행후 피크치를 점검하면서 차량 상태를 간접적으로 보거나,
필요하면 그냥 레코딩 걸어놓고 달려서 확인해볼때 좋습니다.
그래도 역시 데피의 매력은 삐이이이익 하는 경고음이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