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잘 모르는 내용이라 질문제목도 애매하게 올려놓아 죄송합니다.
근 1년을 벼르다가 이번에 파사트 2.0tdi 용 빌스타인 b12튜닝킷이라는
댐퍼+스프링 셋트를 주문하게 되었습니다.
재고는 없는 제품이라 동*쇼바에 주문을 해서 한달후쯤에나 받아보게 될거같네요..
자주 찾는 제품이 아닐터라 혹시나 주문이 잘못되지는 않을까 싶어서
빌스타인 독일 페이지에 가서 제차량용 제품의 제품코드를 검색해보니
동일한 차량용..즉 파사트3c2 2.0 tdi의 b12튜닝킷이 두가지로 나눠져 있더군요
프론트쪽의 axle load 한계중량에 따라서
to 1069kg 인것과
from 1070kg to 1100kg 인것..으로 두가지 제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pss10 은 한가지로만 나오는데 b12튜닝킷만 두가지로 나눠져 있네요.
이게 뭐가 다른가 싶어서 동*쇼바쪽에 여쭤보니 거기서도 잘 모르겠다고 하시네요..
크게 차이는 없을듯하니 1069kg까지 되는걸로 주문해도 될듯하다고 하십니다.
무게차이가 30kg정도인데... 아마 댐퍼는 같을거고 스프링에서 조금 차이가 나는게 아닐까 싶구요..
무슨 목적으로 이렇게 구분을 해놨는지..별거 아닌거 같기도 한데
일단 주문해버리면 나중에 교환도 어려울듯 해서
어떤 차이가 있나 싶어 여기서 여쭤봅니다.^^
두가지가 승차감이나 성능에 체감할수 있을만한 차이를 보일까요..아니면
무시하고 아무거나 주문해도 상관이 없을까요?
근 1년을 벼르다가 이번에 파사트 2.0tdi 용 빌스타인 b12튜닝킷이라는
댐퍼+스프링 셋트를 주문하게 되었습니다.
재고는 없는 제품이라 동*쇼바에 주문을 해서 한달후쯤에나 받아보게 될거같네요..
자주 찾는 제품이 아닐터라 혹시나 주문이 잘못되지는 않을까 싶어서
빌스타인 독일 페이지에 가서 제차량용 제품의 제품코드를 검색해보니
동일한 차량용..즉 파사트3c2 2.0 tdi의 b12튜닝킷이 두가지로 나눠져 있더군요
프론트쪽의 axle load 한계중량에 따라서
to 1069kg 인것과
from 1070kg to 1100kg 인것..으로 두가지 제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pss10 은 한가지로만 나오는데 b12튜닝킷만 두가지로 나눠져 있네요.
이게 뭐가 다른가 싶어서 동*쇼바쪽에 여쭤보니 거기서도 잘 모르겠다고 하시네요..
크게 차이는 없을듯하니 1069kg까지 되는걸로 주문해도 될듯하다고 하십니다.
무게차이가 30kg정도인데... 아마 댐퍼는 같을거고 스프링에서 조금 차이가 나는게 아닐까 싶구요..
무슨 목적으로 이렇게 구분을 해놨는지..별거 아닌거 같기도 한데
일단 주문해버리면 나중에 교환도 어려울듯 해서
어떤 차이가 있나 싶어 여기서 여쭤봅니다.^^
두가지가 승차감이나 성능에 체감할수 있을만한 차이를 보일까요..아니면
무시하고 아무거나 주문해도 상관이 없을까요?
2008.04.24 20:29:26 (*.44.119.146)

답변 감사합니다.이리저리 찾다보니 다음과 같은 문서를 하나 찾았는데요..영어로도 나와있는데 무슨 소리인지 도통 알수가 없습니다. 혹 어느 친절하신분께서 좀 풀이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http://www.dvsegmbh.info/PDF/einbau/22008/171/E4-WM4-Y175A00.PDF
http://www.dvsegmbh.info/PDF/einbau/22008/171/E4-WM4-Y175A00.PDF
2008.04.24 21:05:13 (*.12.196.12)

1070Kg 이상용과 이하용은 코일 직경과 권선수는 동일한데, 자유장이 1070Kg 이상용이 더 길군요. 더 강하다는 얘기가 되겠네요.
2008.04.24 22:02:58 (*.193.141.132)

빌슈타인 튜닝킷 같은경우 차종에 맞게 실차 테스트를 통해서 세팅값을 정해져서 출고됩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수동과 자동의 공차중량의 차이로 제품이 따로 나오는게 아닐까 추측이 되네요:D 국내 빌슈타인 같은경우 빌슈타인 스프린터 튜닝킷과 일부차종을 제외하고 카트리지 조립방식이라 그런지 전용 튜닝킷이 부럽기만 합니다.
2008.04.25 10:00:52 (*.44.119.146)

감사합니다^^
근데, 동*쇼바에다 그 문서에 나와있는 내용을 대략 말씀드렸더니 그런 수치만으론 어떤 차이가 나타날지 알수가 없다고.. 거기는 제가 알기론 국내차량용 빌스 셋팅도 하고 스프링도 따로 만드는거 같던데요.. 뭘 모른다는건지..참..ㅠㅠ
근데, 동*쇼바에다 그 문서에 나와있는 내용을 대략 말씀드렸더니 그런 수치만으론 어떤 차이가 나타날지 알수가 없다고.. 거기는 제가 알기론 국내차량용 빌스 셋팅도 하고 스프링도 따로 만드는거 같던데요.. 뭘 모른다는건지..참..ㅠㅠ
2008.04.25 10:22:39 (*.87.60.117)

첨부내용을 다시 읽어보니 Spring Rate는 같고 정한조님 말씀처럼 자유장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게 체감되는 차이라면 차고가 내려가는 정도가 다르므로, 펜더갭이 차이나겠고, 차량자세로 표현될듯합니다.
즉, 1069kg용을 쓰면 앞이 낮으니 좀더 돌격형의 자세가 되겠고, 1070 용을 쓴다면 10mm 높아서 일반형의 자세가 될 겁니다. 펜더갭은 넒어지겟죠. 참고하세요.
이게 체감되는 차이라면 차고가 내려가는 정도가 다르므로, 펜더갭이 차이나겠고, 차량자세로 표현될듯합니다.
즉, 1069kg용을 쓰면 앞이 낮으니 좀더 돌격형의 자세가 되겠고, 1070 용을 쓴다면 10mm 높아서 일반형의 자세가 될 겁니다. 펜더갭은 넒어지겟죠. 참고하세요.
2008.04.25 10:53:29 (*.180.178.171)

현재 강재석님이 운행중이신 파삿2.0TDI의
프론트쪽의 axle load 중량을 vw쪽에 문의해 보시지요.. ^^;;
프론트쪽의 axle load 중량을 vw쪽에 문의해 보시지요.. ^^;;
2008.04.25 11:21:15 (*.195.20.252)

제 느낌은 엔진의 차이인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동급의 디젤이나 휘발류 엔진 무게 차이가 30정도 나는걸로 아는데요..
그차이가 아닐까 하는...
저도 쎄라토 디젤인데 휘발류용을 꼽으면 돌격형이 되버린다고 하더군요..^^
일반적으로 동급의 디젤이나 휘발류 엔진 무게 차이가 30정도 나는걸로 아는데요..
그차이가 아닐까 하는...
저도 쎄라토 디젤인데 휘발류용을 꼽으면 돌격형이 되버린다고 하더군요..^^
2008.04.25 12:18:58 (*.44.119.146)

vw쪽에 물어보는건 거의 포기했습니다.
여기쪽 센터에선 휠 옵셋도 잘 안가르쳐? 주시네요..그게 뭔 기밀인지..ㅠㅠ
겨울철 체인도 끼워야하니까 일반형 자세가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답변주신 회원님들..^^
여기쪽 센터에선 휠 옵셋도 잘 안가르쳐? 주시네요..그게 뭔 기밀인지..ㅠㅠ
겨울철 체인도 끼워야하니까 일반형 자세가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답변주신 회원님들..^^
2008.04.25 12:41:58 (*.63.125.80)

센터가 아니라 VW 본사에 직접 물어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그쪽도 영어는 할테니 영어로라도 물어보면 되지 않을까요? ^^;;; 제 사브는 문짝을 열어보니 그쪽에 액슬로드가 표시되어 있더군요. 메뉴얼이랑 한번 뒤져보세요 ^^
2008.04.25 12:44:27 (*.44.119.146)

영어공부가 부족해서 아직도 울렁증?이 있습니다ㅠㅠ..ㅎㅎ 빌스 홈페이지에 다시 들어가서 파사트의 다른모델들용도 찾아봐야겠습니다. 2.0tdi로만 검색했는데..fsi용과 비교도 한번 해보고.. 그리고 자유장이 긴쪽이 더 최근에 테스트된걸로 나오니까..뭔가 업글된게 아닐까도 싶네요^^ 나중에 장착후 자세한 스토리를 올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2008.04.25 15:35:11 (*.87.60.117)

TDI 라는 것을 생각 못했네요. 일반적으로 가솔린/디젤 엔진 둘다 선택가능한 차는 무조건 두가지로 나옵니다.
1070 이상으로 하세요.
참고로 저라면, 가솔린이어도 디젤용 끼울듯합니다. 10mm 정도면 자세 차이는 별로 안나지만, 심리적 안정성에서는 훨씬 좋습니다.
1070 이상으로 하세요.
참고로 저라면, 가솔린이어도 디젤용 끼울듯합니다. 10mm 정도면 자세 차이는 별로 안나지만, 심리적 안정성에서는 훨씬 좋습니다.
2008.04.25 22:09:31 (*.193.141.132)

가솔린에 디젤용 스프링 장착하면 강성면에서는 보강이 되겠지만 자유장이 높아서 앞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겁니다. 반대로 디젤에 가솔린용 스프링 장착하면 자유장이 낮기 때문에 차고는 더욱더 내려가겠지만 강성이 부족하게 됩니다. 파삿은 맥퍼슨 스트럿이기 때문에 차고가 내려가면 롤센터가 낮아져서 롤링이 증가하는데 스프링 강성이 부족하면 좋지 않습니다. 큰 차이는 없겠지만 상대적으로 부족하면 안될것이고 반대로 스프링 레이트가 기존 제원보다 높아져도 공도에서는 로드홀딩이 부족하면 오히려 접지력이 떨어질겁니다. 파삿 바리안트 TDI 모델도 있기 때문에 정확히 제원에 맞는 제품을 찾아서 장착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2008.04.26 01:37:24 (*.130.21.14)

(2008년형 기준이 되겠습니다만)
VW의 독일 홈페이지 상에서 보면,
140마력급 파사트 세단 2.0 TDI의 수동 변속기 모델의 프론트 액슬 로드가 1100kg
DSG 모델의 프론트 액슬로드가 1130kg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30kg의 비밀(?)은 변속기에서 풀리는 듯 합니다.
http://www.volkswagen.de/vwcms_publish/vwcms/master_public/virtualmaster/de3/modelle/passat/Der_neue_Passat/zahlen___fakten/technische_daten.detail.1.4.html
VW의 독일 홈페이지 상에서 보면,
140마력급 파사트 세단 2.0 TDI의 수동 변속기 모델의 프론트 액슬 로드가 1100kg
DSG 모델의 프론트 액슬로드가 1130kg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30kg의 비밀(?)은 변속기에서 풀리는 듯 합니다.
http://www.volkswagen.de/vwcms_publish/vwcms/master_public/virtualmaster/de3/modelle/passat/Der_neue_Passat/zahlen___fakten/technische_daten.detail.1.4.html
2008.04.26 09:42:52 (*.44.119.146)

자료 정말 감사드립니다^^ b12튜닝킷 추천해주셨던 ..맞으시죠? ㅎㅎ 일단 맞게 주문은 한듯 합니다. 제가 아직 차사랑이 부족한가 봅니다..담부턴 더 열심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원 중에서 Spring Rate를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