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추적 추적 비가 내립니다. 좋은 금요일밤이네요.
다름 아니고 자유게시판에도 몇번 나왔던 게임을 한번 해보려 합니다.
와이프가 안그래도 Tv하나 사자고 하길래 속으로 잘됐다 싶어 pdp upgrade를
하고 나니 속으로 생각해왔던 PS2 : GT4도 업그레이드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가끔은 시원하게 달리고 싶은 욕구를 잠재울 요량도 있지만 주목적은 이미지
트레이닝이라고 가정할때 LFS가 나을까요? 아니면 물리엔진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하는 GT prolog가 나을까요...
물론 실차 연습을 따라갈순 없겠지만 여건상 가상공간이나마 즐겨보려 합니다.
어떤 소프트웨어를 할까에 따라 구입해야 하는 하드웨어가 달라지기에 먼저 물어보고
사려 합니다.
조언 구해 봅니다.
2008.04.26 01:27:44 (*.82.50.234)

아 이미 한것들이 계시군요 ㅋㅋㅋ..
전 프롤로그 추천합니다 ~
무조건~ 무조건이야~ ... <-- 아시죠~? --;;
전 프롤로그 추천합니다 ~
무조건~ 무조건이야~ ... <-- 아시죠~? --;;
2008.04.26 03:17:34 (*.63.125.80)

TV는 어차피 게임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로도 충분히 쓰실 수 있으니까 설득이 쉽지 않을까요? ㅎㅎㅎ. 신문기사를 보니까 부산 모터쇼에 SECK부스가 있는데 올 6월에 GT5 한글판이 출시된다고 하더군요. 조금만 기둘리시면 프롤로그가 아닌 정식판이 나올 것 같습니다 ^^;;
멀티 모니터 시스템.. 부럽네요. 제가 비행기 시뮬레이터를 좋아해서 몇번 구현했는데 학생인지라 모니터 수급이 딸려서 포기했었습니다. 해외에 14모니터까지 해서 파노라마를 연출하던데... 참, 팁이 있다면 와이드 LCD패널만 구입하시고 AD보드나 이런건 따로 구성해서 따닥따닥 붙여놓으시면 현장감이 백배입니다.ㅋㅋㅋㅋ
아니면 트랙IR과 안경디스플레이 장치(대신 화질이 좀 떨어짐)이 있으면 더 좋겠지요. 고개를 돌리면 돌리는 대로 화면이 따라 가거든요 @_@!!
멀티 모니터 시스템.. 부럽네요. 제가 비행기 시뮬레이터를 좋아해서 몇번 구현했는데 학생인지라 모니터 수급이 딸려서 포기했었습니다. 해외에 14모니터까지 해서 파노라마를 연출하던데... 참, 팁이 있다면 와이드 LCD패널만 구입하시고 AD보드나 이런건 따로 구성해서 따닥따닥 붙여놓으시면 현장감이 백배입니다.ㅋㅋㅋㅋ
아니면 트랙IR과 안경디스플레이 장치(대신 화질이 좀 떨어짐)이 있으면 더 좋겠지요. 고개를 돌리면 돌리는 대로 화면이 따라 가거든요 @_@!!
2008.04.26 05:23:26 (*.34.101.144)
부산 모터쇼에 출품되는 GT는 프롤로그의 한글판입니다. GT5 정식버전은 발매예정이 '일단' 내년 여름입니다. (연기 100% 확실;;)
둘다 즐기는 입장에서보면 GT5가 지금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대신 LFS는 온라인을 통한 멀티플레이가 GT5P보다는 아직 좋습니다.
둘다 즐기는 입장에서보면 GT5가 지금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대신 LFS는 온라인을 통한 멀티플레이가 GT5P보다는 아직 좋습니다.
2008.04.26 08:54:52 (*.63.125.80)

오호, 그렇군요. 신문기사에 낚이다니;;(하긴 한두번도 아니지만..) LFS를 마우스랑 키보드로 잠깐잠깐 즐기는데, 재밌더군요. ^^ GT랑는 분위기가 조금 틀리게 느껴진달까... 게다가 마음대로 커스터마이징 할수가 있어서 재밌었습니다 ^^;
2008.04.26 14:35:56 (*.215.1.169)

가볍게 생각날때마다 인스턴트로 즐기시려면 그란이 더 나을듯합니다... LFS의 경우 리그참가에서 진짜 재미가 나오는데 준비하는 시간도, 셋업 만드는 시간도 오래걸립니다.. 물론 그만큼 깊익있게 즐기기는 좋습니다만..
물론 LFS 역시 넷상의 공개서버에서 얼마든지 바로 즐길수있지만, 콘솔 베이스인 그란 쪽이 더 편하고 재미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싶네요
물론 LFS 역시 넷상의 공개서버에서 얼마든지 바로 즐길수있지만, 콘솔 베이스인 그란 쪽이 더 편하고 재미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싶네요
2008.04.26 14:40:02 (*.215.1.169)

두 게임의 차이를 짧게 설명하자고 한다면.. 그란은 "레이스를 체험해보자.."쪽의 컨셉이 강하고 LFS는 "실제 레이스를 집에서 즐겨보자"의 컨셉이 강합니다.. 물리엔진의 우위는 정식 그란이 발매되어야 알겠지만 전반적인 준비과정이나 실제 레이스가 열리는 전체과정까지 경험하기는 LFS가 좋겠죠.
하지만 흐름이라는게 분명히 존재하기에 현상황에서는 그란에 한표... LFS의 S3버젼이 나온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아직은 먼 이야기같네요
하지만 흐름이라는게 분명히 존재하기에 현상황에서는 그란에 한표... LFS의 S3버젼이 나온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아직은 먼 이야기같네요
2008.04.26 14:47:21 (*.215.1.169)

그런데 둘다 즐기시면 어떨까요? LFS의 경우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높지 않기에 일단 그란으로 가신다는 가정하에 G25를 구입하시면 LFS 결재만 하시면 현재 쓰시는 컴퓨터 혹은 요즘 나오는 30-40만원 조립완품 본체정도로도 충분히 즐길수있으니까요..
멀티뷰에 대형 모니터가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19인치만 되면 몰입하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레이싱게임은 다른 하드웨어 보다 일단 휠과 페달셋만 좋으면 절반은 해결한셈이고 G25는 그런 측면에서 가격대비 매우 좋은 선택이거든요
그리고 시선에 따라 시점 이동되는 트랙IR류는 레이싱에선 비추입니다.. 너무 어지러워요.. 저 역시 비행시뮬쪽에서만 쓰고 레이싱겜에서는 안씁니다.
멀티뷰에 대형 모니터가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19인치만 되면 몰입하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레이싱게임은 다른 하드웨어 보다 일단 휠과 페달셋만 좋으면 절반은 해결한셈이고 G25는 그런 측면에서 가격대비 매우 좋은 선택이거든요
그리고 시선에 따라 시점 이동되는 트랙IR류는 레이싱에선 비추입니다.. 너무 어지러워요.. 저 역시 비행시뮬쪽에서만 쓰고 레이싱겜에서는 안씁니다.
2008.04.26 19:28:32 (*.54.199.64)

김주영님 깊이 있는 댓글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pS3로 인터넷연결구현도 가능할까요,.
어차피 지금은 노트북 한대 보유중이라 어떤것이던 하드웨어구입이 불가파합니다.
PDP연결하여 아이들 인터넷도 쓰고 저도 게임도 하고 하는 멀티플레이어를 구현하여 합니다. 둘다 즐기면 좋겠지만 주영님 얘기처럼 처음에는 라이트하게 시작하여 좀 더 심각해지면 LFS로 가는 방법이 좋겠는데,.이것은 PS3가 인터넷연결 사용이 가능할경우 이야기이고
아이들이 인터넷사용이 불가 하다면 어쩔수 없이 컴퓨터를 한대 더 사서 Lfs로 가야 할것 같습니다. 질문이 많아 죄송하네요 ^^
어차피 지금은 노트북 한대 보유중이라 어떤것이던 하드웨어구입이 불가파합니다.
PDP연결하여 아이들 인터넷도 쓰고 저도 게임도 하고 하는 멀티플레이어를 구현하여 합니다. 둘다 즐기면 좋겠지만 주영님 얘기처럼 처음에는 라이트하게 시작하여 좀 더 심각해지면 LFS로 가는 방법이 좋겠는데,.이것은 PS3가 인터넷연결 사용이 가능할경우 이야기이고
아이들이 인터넷사용이 불가 하다면 어쩔수 없이 컴퓨터를 한대 더 사서 Lfs로 가야 할것 같습니다. 질문이 많아 죄송하네요 ^^
2008.04.26 19:38:55 (*.34.101.144)
PS3로 웹서핑도 가능합니다. 플래시도 제대로 돌아가구요. TV해상도가 PC에 비하면 조금 떨어지는게 아쉬울뿐이죠.
PS3의 메뉴화면의 배경을 JPG로 교체할수가 있는데, 컴으로 옮기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그냥 PS3의 웹브라우져로 돌아다니면서 맘에 드는 JPG를 받아서 배경화면으로 깔았습니다.
PS3의 메뉴화면의 배경을 JPG로 교체할수가 있는데, 컴으로 옮기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그냥 PS3의 웹브라우져로 돌아다니면서 맘에 드는 JPG를 받아서 배경화면으로 깔았습니다.
2008.04.30 00:26:37 (*.165.127.77)
출력 자체는 지원하는데, 실제로는 720p영상입니다. 1080o로 물리면 선명도는 조금올라가는데 일부 계단현상이 심해지죠.
반드시..
1080P되는 티비 40~56인치 사이.. 사셔야하며.. (화질이 저하됩니다 나머지는..)
사운드를 위해서는 기본 5.1체널 + 리시버..
버켓시트와 6단과 클러치가 되는 스티어링시스템구입하시면
GT를 즐기시기엔 충분할듯싶습니다..
p.s. 저도 이것땜에 와이프와 신경전중입니다.. 오디오는 준비가 되어있기에..
나머지 것들 예산 3천불잡아놓고 있습니다 ...정작 GT와 ps3는.. 500불 안할텐데 말이지요 ㅡ,.ㅡ 이것도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