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열혈 초보회원K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전륜 브레이크의 좌-우측 패드 잔존률의 차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현재 제 차량의 브레이크는
만도의 4pot 캘리퍼+DTM 13인치 투피스 경량로터 + MST 테스트 패드
그 이전에도 우측 패드가 먼저 닳곤 했는데 이번엔 그 정도가 심합니다.
좌측(운전석)패드는 아직 한 3mm이상 남았고,우측(조수석)패드는 약 1mm이하로
남았습니다.
제동시에는 쏠림이나 떨림은 없고요.
타이어의 경우 좌측(운전석)이 항상 먼저 닳습니다.
이건 우코너를 즐겨 타는 운전습관때문이란건 알겠는데..
왜 패드는 조수석쪽이 먼저 닳는걸까요 ??
와인딩 다녀온후...디스크를 보면...역시 조수석쪽이 더 파랗게 물들어있습니다.
코너에서...제동을 자주 하는 편인데(무서워서^^;;)
혹시 우코너에서 제동할때....조수석쪽 패드가 데미지를 더 많이 받는가요 ??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열혈 초보회원K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전륜 브레이크의 좌-우측 패드 잔존률의 차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현재 제 차량의 브레이크는
만도의 4pot 캘리퍼+DTM 13인치 투피스 경량로터 + MST 테스트 패드
그 이전에도 우측 패드가 먼저 닳곤 했는데 이번엔 그 정도가 심합니다.
좌측(운전석)패드는 아직 한 3mm이상 남았고,우측(조수석)패드는 약 1mm이하로
남았습니다.
제동시에는 쏠림이나 떨림은 없고요.
타이어의 경우 좌측(운전석)이 항상 먼저 닳습니다.
이건 우코너를 즐겨 타는 운전습관때문이란건 알겠는데..
왜 패드는 조수석쪽이 먼저 닳는걸까요 ??
와인딩 다녀온후...디스크를 보면...역시 조수석쪽이 더 파랗게 물들어있습니다.
코너에서...제동을 자주 하는 편인데(무서워서^^;;)
혹시 우코너에서 제동할때....조수석쪽 패드가 데미지를 더 많이 받는가요 ??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2008.08.11 23:53:48 (*.3.242.20)
엔진위치에 따른 하중변화가 큰 원인 아닐까요~?? 해결책은 성환님의 중량화(?)만이 답이 될것 같습니다. ^^;;;; =3=3
2008.08.12 09:02:14 (*.179.231.24)

캘리퍼 or 압력분배의 문제가 아니라면 좌측코너를 더 본격적으로
공략하기때문이 아닐까요.. 저의 경우는 바이크를 타던 차를 몰던간에
좌측코너를 더 잘돌수가 있더군요..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지
않나요?? ^^; 좌코너링하면 우측바퀴의 회전수가 더 많아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추측일 뿐입니다. ^^; 귀담아 듣진 마세요~
공략하기때문이 아닐까요.. 저의 경우는 바이크를 타던 차를 몰던간에
좌측코너를 더 잘돌수가 있더군요..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지
않나요?? ^^; 좌코너링하면 우측바퀴의 회전수가 더 많아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추측일 뿐입니다. ^^; 귀담아 듣진 마세요~
2008.08.12 10:25:37 (*.77.33.105)

하중이 받는 쪽의 타이어와 패드가 더 닳던데요 저는요...(서킷주행시)
성환님 우선 캘리퍼 탈착후 세정케미컬을 이용해서 캘리퍼 깨끗하게 세척부터 해보세요
성환님 우선 캘리퍼 탈착후 세정케미컬을 이용해서 캘리퍼 깨끗하게 세척부터 해보세요
역시나 조수석쪽이 3미리 남았고, 운전석이 5-6미리정도 됩니다.
이상하네요.. 1미리남았다니 얼렁 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