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테인 일체형 서스를 장착하고 있는데요
어느날 갑자기 보니 차량의 앞 운전석쪽만 푹 꺼져보이는 겁니다 그래서
정비센타를 찾아가서 리프트를 뛰워보니 앞쪽 서스의 좌우 세팅 높이가 달라져 있는겁니다 물론 최초 장착할땐 같은 높이로 세팅했죠
그래서 다시 좌우 서스의 남은 나사산 갯수 기준으로 맞추고 리프트에서 내렸는데 그래도 아직 좌우가 높이가 다른것입니다
그래서 정비소 사장님이 하시는 말씀이 is250은 원래 운전석쪽이 좀 무겁고 그래서 그럴수 있다고 하셔서
다시 리프트에 올려서 운전석 쪽만 좀더 높게 세탕하니 그제서야 거의 엇비슷해 보이는 겁니다
그런데 의문점이 모르는 사람이 생각해도 일반적으로 서스를 같게 세팅하면 좌우가 높이가 같아야 하는게 아닌가 해서요
아니면 혹시 다른 이유때문에 그런 차이가 발생할수도 있는건가 해서요
차량이 나이가 드니 조심스런 면이 없지않아 있는게 신경이 쓰여서 그렇습니다
아시는분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차고는 전후좌우 약간씩은 차이가 나는게 정상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근데 그걸 맞추려고 양쪽 서스의 길이를 다르게 한다면 정말 좋지 않을것같습니다.
코너 웨이트를 측정해보면 정확한 세팅이 가능합니다.
허나 좌우차고가 다르다고하여 좌우 서스펜션 세팅을 다르게 세팅하면..(스프링 시트로 차고조절을 할경우..)
주행시 굉장히 이상한 느낌을 받으실겁니다.
(보통 일체형의 경우 스프링은 10mm~20mm정도 압축, 댐퍼의 경우 스프링시트로 조절하는것이아니라 스프링 세팅이 끝난후 , 댐퍼를 통째로 돌려 사용하여 작업합니다, 말로 설명하려니 갑자기 명칭이 기억이안나네요)
예전에 작업할때의 기억을 되살려보면 BMW의 경우 순정상태에서도
좌,우 차고가 10mm였던가..30mm까지는 정상으로 판정을한다고 확인했었습니다..
(정확히 기억은나지않지만 생각보다 좌,우 차고 오차가 널널한 편이였음.)
영 ~ 거슬리는 부분이있으면 차를 평지에 놓고 사이드브레이크 해제 상태에서 기어 레인지는 P에 두고 측정을 한번
해보세요..
참고로.. 연료탱크의 형상, 연료탱크의 레벨에 따라서도 차고 차이가 나는 경우도있습니다..
그리고 순정일때는 잘모르다가 꼭 일체형,컵킷 서스펜션을 작업을하고 더 크게 느껴지는건 그만큼 휀더 갭이 적어져서 눈으로봤을땐 굉장히 큰 차이처럼 다가오기도 합니다..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 다른회원님들이 덧붙여서 댓글을 달아주실것입니다..
PS: 추가로 댐퍼 압이 떨어져도 차고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긴하지만 그것은 댐퍼의 상태가 사용불가 판정 받는경우
혹은 스프링시트로만 차고를 조절했을때 크게 두드러지곤 합니다..
차고를 잴 때 휀더로 재신거면 성능상으론 무의미합니다. 각 차륜의 서스펜션 암이 차체에 결합되는 포인트와 이론상 평평한 지면의 높이를 재야 정확합니다. 저는 좌우 무게차를 감안해서 레이트가 약간 다른 순정서스인데 휀더 높이가 4 코너가 각각 다릅니다 ㅋㅋ 원래 차가 좌우 밸런스 안 맞추고 대충 나옵니다.
저는 예전에 매일 신경쓰고 다녔는데 평평한 곳이라 여겨지는 가정집 차고 바닥 (기초공사 콘크리트바닥이랑 비슷), 배수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개인소유 소형 콘크리트 주차장 에서는 각 코너가 1cm 미만 차이가 났구요 (휀더높이 ㅋㅋㅋ...) 아스팔트 주차장은 평평한 곳이라 할 수 없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
얼라인먼트 리프트에 올리면 눈으로 보기엔 딱 맞았습니다. 서브프레임에 수평계를 가져가서 대 봤는데 왼쪽으로 아주약간 기울긴 했는데 공기방울이 두 선 안에 들어가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아마 완벽히 평평한 곳이 생각보다 찾기 힘든게 아닐까요? 아스팔트의 경우 울룩불룩한데 거기에 차를 잘못 올리면 좌우 차이가 심하게 보인다는 걸 느꼈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차고 그 정도 차이나도 주행하는데 지장 없으면 그거 몇mm 올려서 차고 똑같이 보이게 맞춰도 주행하는덴 지장 없을겁니다. 스프링 프리로드를 건드리지 않으면요.. (차고 조절할 때 일체형 몸통 전체를 돌려서 로워암에 고정하는 튜브(?)에 나사산이 파여있어 올렸다 내렸다 하는 좀 괜찮은게 있고, 일체형 몸통 자체가 로워암에 고정되고 스프링이 앉아있는 너트(?perch)를 돌려서 차고를 조절하는게 있는데 전자라면 별 상관 없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