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구입한 지 3개월 된, 마일리지 12,000km의 카니발 리무진을 운행하고 있습니다.
작은 차를 선호하는데 애아빠가 되고나니 다 필요없고 일단 온 식구가 편하게 타고다닐 차를 운행하게 되더군요.
차가 굼 뜨는 느낌은 분명 있지만 12,000km 가량 운행하고 나니 제법 차가 마음에 듭니다. 최소 5년은 타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염려되는 점이 국산 경유차는 시간이 지나면 진동과 소음이 상당히 심해지던데 이 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현재까지는 5,000km마다 순정 엔진오일 교체, 그리고 엔진오일교체와 동시에 엔진첨가제를 넣어주고 있습니다. 갓 엔진오일교체+첨가제가 들어갔을 때엔 보통 때보다 상당히 부드럽고 조용하게 나가는게 느껴지던데 이러한 느낌을 꾸준히 유지하는 기간 내내 갖고 싶습니다.
혹시 좋은 조언이 있다면 한 말씀 씩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더불어 현재는 불x원 엔진첨가제를 넣고 있는데 카니발에 적합한 좋은 첨가제 있다면 이 또한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
참고로 주행 패턴은 업무용 + 주말 나들이용이라 연 주행거리가 40,000km는 훌쩍 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작은 차를 선호하는데 애아빠가 되고나니 다 필요없고 일단 온 식구가 편하게 타고다닐 차를 운행하게 되더군요.
차가 굼 뜨는 느낌은 분명 있지만 12,000km 가량 운행하고 나니 제법 차가 마음에 듭니다. 최소 5년은 타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염려되는 점이 국산 경유차는 시간이 지나면 진동과 소음이 상당히 심해지던데 이 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현재까지는 5,000km마다 순정 엔진오일 교체, 그리고 엔진오일교체와 동시에 엔진첨가제를 넣어주고 있습니다. 갓 엔진오일교체+첨가제가 들어갔을 때엔 보통 때보다 상당히 부드럽고 조용하게 나가는게 느껴지던데 이러한 느낌을 꾸준히 유지하는 기간 내내 갖고 싶습니다.
혹시 좋은 조언이 있다면 한 말씀 씩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더불어 현재는 불x원 엔진첨가제를 넣고 있는데 카니발에 적합한 좋은 첨가제 있다면 이 또한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
참고로 주행 패턴은 업무용 + 주말 나들이용이라 연 주행거리가 40,000km는 훌쩍 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6.11.19 11:08:26 (*.38.60.101)
제 업무용 차량이 국산 디젤 2.0인데
연 8~9만을 타는 가혹 컨디션입니다.
예열 10초 정도
후열 조금 신경씀 (고속 주행후 서행 30초 정도??)
엔진오일 8천키로마다 갈기
미션오일 6만키로마다 갈기
급가속 자제
이정도만 해도 30만은 문제없이 타던데요 ^^
다만 타면탈수록 소음진동 심해지는건 막을 수 없는거 같습니다
연 8~9만을 타는 가혹 컨디션입니다.
예열 10초 정도
후열 조금 신경씀 (고속 주행후 서행 30초 정도??)
엔진오일 8천키로마다 갈기
미션오일 6만키로마다 갈기
급가속 자제
이정도만 해도 30만은 문제없이 타던데요 ^^
다만 타면탈수록 소음진동 심해지는건 막을 수 없는거 같습니다
2016.11.19 11:17:12 (*.17.1.103)
국산 디젤 승용차를 거쳐 독일 디젤승용차를 몹니다.
좋은 엔진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은 제가 생각하기로는
1.좋은 경유가 첫째입니다. 첨가제 몆병보다 세탄가 높은 좋은 경유를 꾸준히 넣어주는것이 훨씬 좋습니다.
저희집 근처에 주유소가 세군데 있습니다. 최저가 sk에서 기름을 넣고 연료첨가제 리퀴몰리 수퍼디젤을 넣으니 오 좋은데 느끼다가 두번째 sk직영에서 넣어보니 첫번째+첨가제 만큼 좋았습니다. 그러다 디젤에 좋다는 연료첨가제 스타나다인을 넣어보니 오! 이럴수가 하고 느낄만큼 좋았습니다. 그다음 제일 비싼 s-oil에서 주유를 해보니 세탄가가 워낙 높아서 그런지 지난 모든 주유소+모든 첨가제보다 좋더군요. 그래서 지금은 이주유소에서 넣고 일쩨의 첨가제를 넣지않습니다.
2.연료필터관리를 해야합니다. 디젤은 연료에수분이 들어가면 안되기에 연료필터에서 걸러주는데 보통 10만 km에서 교체하는데 좀 일찍 교체가 좋습니다.
3.늘 연료를 연료통에 가득채우고 다니는것이 좋습니다. 연료토미 비면 빈 벽에 기온차로 인한 결로가 생기고 그물이 연료에 흘러 연료에 수분이 생깁니다. 또한 연료펌프는 연료통에 잠겨있는데 이때 연료가 펌프의 냉각까지 담당합니다.
4.엔진오일을 제대로 써야합니다. dpf때문에 요즘 오일은 별의별 첨가제가 들어가고 또 성분을 엄격히 규제합니다.순정오일이 규격은 잘 맞지만 성능은 별 좋지않습니다.
현재 각 제조사별 규격중 제일 까다로운게 폭스바겐 디젤용 vw.507.규격인데 독일차 디젤 규격의 오일을 고려해도 좋을것 같습니다.(이건 더 전문가분께서 설명부탁합니다)
5.엔진오일 첨가제를 넣지 마시길바랍니다. 위에서 썼듯이 요즘 디젤엔진은 dpf땜에 오일 규격을 엄격히 규제하는데 뭐가 들어있는지도 모르는 첨가제 넣어서 dpf망가지면 결과가 끔찍하죠.
6.연료첨가제는 선택적인데 보통 메인터넌스 차원에서 수퍼디젤 정도는 넣더군요. 조금 더 체감하고 싶으면 스타나다인을 넣는데 전 그것때문에 dpf강제 연소 주기가 빨라지는것 같아 끊었습니다.
7.매일 최초 시동시 공회전을 1분 이상하고 1km이상은 저회전 저속으로 주행합니다. 특히 겨울에는 필요합니다.
8.선택 가능하면 가능하면 장거리 고속을 달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전 가솔린 소형차도 1대 있는데 가까운데는 가솔린만 탑니다.
이상 생각나는데로 써봤는데요. 혹 제가 잘못알고 있는게 있으면 다른 의견 바래요.
좋은 엔진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은 제가 생각하기로는
1.좋은 경유가 첫째입니다. 첨가제 몆병보다 세탄가 높은 좋은 경유를 꾸준히 넣어주는것이 훨씬 좋습니다.
저희집 근처에 주유소가 세군데 있습니다. 최저가 sk에서 기름을 넣고 연료첨가제 리퀴몰리 수퍼디젤을 넣으니 오 좋은데 느끼다가 두번째 sk직영에서 넣어보니 첫번째+첨가제 만큼 좋았습니다. 그러다 디젤에 좋다는 연료첨가제 스타나다인을 넣어보니 오! 이럴수가 하고 느낄만큼 좋았습니다. 그다음 제일 비싼 s-oil에서 주유를 해보니 세탄가가 워낙 높아서 그런지 지난 모든 주유소+모든 첨가제보다 좋더군요. 그래서 지금은 이주유소에서 넣고 일쩨의 첨가제를 넣지않습니다.
2.연료필터관리를 해야합니다. 디젤은 연료에수분이 들어가면 안되기에 연료필터에서 걸러주는데 보통 10만 km에서 교체하는데 좀 일찍 교체가 좋습니다.
3.늘 연료를 연료통에 가득채우고 다니는것이 좋습니다. 연료토미 비면 빈 벽에 기온차로 인한 결로가 생기고 그물이 연료에 흘러 연료에 수분이 생깁니다. 또한 연료펌프는 연료통에 잠겨있는데 이때 연료가 펌프의 냉각까지 담당합니다.
4.엔진오일을 제대로 써야합니다. dpf때문에 요즘 오일은 별의별 첨가제가 들어가고 또 성분을 엄격히 규제합니다.순정오일이 규격은 잘 맞지만 성능은 별 좋지않습니다.
현재 각 제조사별 규격중 제일 까다로운게 폭스바겐 디젤용 vw.507.규격인데 독일차 디젤 규격의 오일을 고려해도 좋을것 같습니다.(이건 더 전문가분께서 설명부탁합니다)
5.엔진오일 첨가제를 넣지 마시길바랍니다. 위에서 썼듯이 요즘 디젤엔진은 dpf땜에 오일 규격을 엄격히 규제하는데 뭐가 들어있는지도 모르는 첨가제 넣어서 dpf망가지면 결과가 끔찍하죠.
6.연료첨가제는 선택적인데 보통 메인터넌스 차원에서 수퍼디젤 정도는 넣더군요. 조금 더 체감하고 싶으면 스타나다인을 넣는데 전 그것때문에 dpf강제 연소 주기가 빨라지는것 같아 끊었습니다.
7.매일 최초 시동시 공회전을 1분 이상하고 1km이상은 저회전 저속으로 주행합니다. 특히 겨울에는 필요합니다.
8.선택 가능하면 가능하면 장거리 고속을 달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전 가솔린 소형차도 1대 있는데 가까운데는 가솔린만 탑니다.
이상 생각나는데로 써봤는데요. 혹 제가 잘못알고 있는게 있으면 다른 의견 바래요.
2016.11.19 13:45:56 (*.12.53.127)
국산디젤
연 3~4만 주행하고있고
두번째 디젤승용인데 누적거리 10만입니다만
아직도 지인들이나 회사사람들 태우면 말하기전까진
디젤인줄 모릅니다
소음은 있지만 진동은 거의 없어서요
예열은 오일순환할정도로 30초 미만
중장거리운행이 많고 회전수는 스트레스없이 넓게쓰는편이고
오일교환주기는 7000~10000
연료필터 제때 갈아주시고 가끔씩 연료첨가제 넣으면 충분한거같아요
연 3~4만 주행하고있고
두번째 디젤승용인데 누적거리 10만입니다만
아직도 지인들이나 회사사람들 태우면 말하기전까진
디젤인줄 모릅니다
소음은 있지만 진동은 거의 없어서요
예열은 오일순환할정도로 30초 미만
중장거리운행이 많고 회전수는 스트레스없이 넓게쓰는편이고
오일교환주기는 7000~10000
연료필터 제때 갈아주시고 가끔씩 연료첨가제 넣으면 충분한거같아요
2016.11.19 14:59:26 (*.223.35.119)

엔진오일과 연료필터 잘 갈아주고 주기에 맞게 엔진 미션 마운트 갈아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거기에 좀 더 보태면 흡기 청소하고 인젝터 분사량 점검 정도 있겠네요
2016.11.19 21:15:11 (*.36.147.19)
국산디젤 10년차 31만 탔습니다. 그낭 엔진오일 1만 마다 갈아주고 8만마다 연료필터 갈았구요. 디펩관리는 안합니다. 그저 고속도로 올라가면 140~160정도로 항속주행하구요. 가끔 200이상 달리기도 합니다. 배기매니가 좀 삭아서 진동이 올라오긴하는데 냉간시 빼곤 괜찮네요. 50만 찍어볼라구요.
2016.11.21 12:27:58 (*.223.34.83)
신차일 때부터 꾸준히 관리해주는게 답입니다.
직접 닦고 기름치고 조이자는 마음가짐이면 30만킬로 넘어도 끄덕없는 것 같습니다.
퍼지면 고친다는 식이면 불과 10년도 안 되어 감당하기 힘들어집니다.
직접 닦고 기름치고 조이자는 마음가짐이면 30만킬로 넘어도 끄덕없는 것 같습니다.
퍼지면 고친다는 식이면 불과 10년도 안 되어 감당하기 힘들어집니다.
2016.11.22 09:49:31 (*.38.62.153)
09년식 i30 cw디젤을 타다가 와이프에게 넘겨줬습니다. 현재 20만 정도 달렸는데 동력 계통은 아직 전혀 이상이 없네요. 그냥 10000정도 마다 합성유 갈아준게 전부입니다. 생각보다 내구성이 괜찮은듯해요. 근데 이제는 부싱류를 교환할 시기가 와서.. ㅜㅠ
2016.11.23 00:17:17 (*.139.114.100)
좋은 질문에 멋진 대답이군요
다들 상황에 따라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는것이 목표이지만, 늘 기본은 능동적 유지관리군요
저역시 차계부 적어가며 유난떨지 않고 살살 타고 있습니다
주중 e90. 16만 주말 그카 12만 정도 입니다^^
다들 상황에 따라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는것이 목표이지만, 늘 기본은 능동적 유지관리군요
저역시 차계부 적어가며 유난떨지 않고 살살 타고 있습니다
주중 e90. 16만 주말 그카 12만 정도 입니다^^
2016.12.01 16:13:51 (*.128.74.11)
차계부 써가며 꼼꼼하게 관리해 주었건만, 6년차 7년차에 길에서 서버리는 고장이 났습니다. 한번은 메인릴레이 배선끊김, 두번째는 크랭크 각센서 고장이었죠. 이런건 예측하기도, 예방하기도 힘들더군요.
과다한 케미컬류 사용보다 외곽순환 한바퀴가 더 좋다. 라고 보구요.
자칫 잘못된 케미컬 적용으로 입자상 물질 배출이 늘어나면 카본및 dpf부담만 더 커질수도 있습니다.
규격에 맞는 엔진오일과 미션오일등의 소모품류만 갈고도 너끈히 27만을 잘 탄 기억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