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단속 때문에 HID도 내리고, 스노우타이어 교체를 할까말까 고민하던 중,
H&R 다운스프링이 손에 들려 있습니다.
사진에서처럼 쿠퍼S 휠(205/40R17) 인치업 한 후
휠 무게 때문인지 같은 사이즈 경량 휠 보다 노면 충격이 말도 안 되게(?) 심합니다.
겨울이라 더 그런지 연약지반 구간을 달릴 때면 차가 분해될 것만 같습니다.
일단 껑충한 자세 때문에 차고 낮아지는건 굉장히 환영이고,
승차감은 포기한지 오래 됐습니다. 공기압을 현재 50가까이.. 더욱 나빠지겠죠??
하드타입 다운스프링과 순정댐퍼의 조합이 무거운 휠에 도움이 될지 여쭤 봅니다.
클릭, 뉴프라이드 오너분들 많이 계시니까 H&R 제품에 대하여 자세히도 알고 싶구요.
차고는 얼마나 낮아지는지, 205/40R17에도 간섭이 일어나는지..
순정댐퍼에 다운스프링 조합은 차고 낮추는 효과도 크게 없을 뿐더러,
쇼바 나갈 확률이 높아진다고들 하는데.. 운전은 얌전히 하는 편입니다.
일체형 경험만 있어서 걱정이 앞서네요.
* 윗 사진은 공차 순정상태이고, 아랫 사진은 4명(운전석 제외) 탑승한 순정상태 입니다.
빨간 스포티 순정 15'휠, 뉴프라이드 16'휠에 H&R 적용 (대체로 뒤가 뜨네요.)
_Soulcity
2008.12.16 21:47:56 (*.34.101.144)
H&R + 순정댐퍼...거기에 17인치면 100% 휠하우스 칩니다. 클릭의 경우엔 그러한데, 베르나의 휠하우스는 잘 모르겠네요-_-;;;;
H&R스프링은 타사의 스프링과 달리 로우다운이 정말 많이 됩니다. 클릭쪽에서는 가장 차고가 낮은 스프링인데, 베르나에서는 잘 모르겠네요 그 부분은.....
게다가 차고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다른 스프링에 비해서 상수가 강하지 않습니다. 역시나 클릭얘기인데, 클릭용에서는 테인스프링이 가장 강하죠...
펜더 접으셔야할테고, 스프링과 순정 댐퍼 밸런스가 안맞습니다. 승차감이요? .........튜닝스프링과 순정댐퍼의 조합은 승차감 최악의 조건입니다. 그리고 공기압을 왜 50psi를 넣으시는지 궁금하네요;;
H&R스프링은 타사의 스프링과 달리 로우다운이 정말 많이 됩니다. 클릭쪽에서는 가장 차고가 낮은 스프링인데, 베르나에서는 잘 모르겠네요 그 부분은.....
게다가 차고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다른 스프링에 비해서 상수가 강하지 않습니다. 역시나 클릭얘기인데, 클릭용에서는 테인스프링이 가장 강하죠...
펜더 접으셔야할테고, 스프링과 순정 댐퍼 밸런스가 안맞습니다. 승차감이요? .........튜닝스프링과 순정댐퍼의 조합은 승차감 최악의 조건입니다. 그리고 공기압을 왜 50psi를 넣으시는지 궁금하네요;;
2008.12.17 01:34:48 (*.253.90.99)

50psi는 조금 높은 것 같습니다만.. 다른 차종입니다만, 제 차는 225/40R18 Dunlop Sport SP01를 쓰고있는데요, 맥시멈이 50psi이고 권장은 38psi입니다만, 저는 약 36psi정도에 맞춰서 타고 다니거든요. 38psi 넣어봤다가 좀 승차감이 맘에 안들었었습니다. 한번 공기압을 조절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08.12.17 01:42:28 (*.50.144.91)

프라이드와 함께 사용하기에 H&R의 특성을 보자면 순정댐퍼에 스프링만 장착한 차량 지인이 딱 그 세팅입니다,
거기에 GTR16인치 휠까지 들어가니 무게도 엄청 무겁고요. 디젤이란 차이점이 있네요.
우선은 승차감적으로 최악이라고는 아실것이고요 제 경기용스펙 코일오버보다 더 불쾌하다고 생각됩니다,
가볍게 턱턱 내장을 울리고 충격후의 바운싱은 몸에 은근히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요.
코너링은 좋아질 이유는 하나도없다고 봅니다,
로워링을 한다고 코너링이 좋다라는 막연한 근거는 무게중심이 올라감에 따른 원심력의 강화라는 식에 대입하면 조금은 일리가 있으나 바운싱이 생기는동안의 주행성악화라는점으로 인해 로워링의 장점은 상쇄될것이라 봅니다,
프라이드의 H&R은 디젤이 무거워 그런것도 있는데 프라이드에서도 최저의 차고를 보입니다,
문제는 처음부터 최저의 차고가 아닌 점점 가라앉는다는것이죠
냉간성형스프링이라 이론적으로는 스프링변화가 없어야 하지만 반영구적이라는 말처럼 완전영구적이지 않기때문에 변화는 존재하는데 그게 좀 빠르게 오는거 같습니다,
1년이면 1센티는 다운되는거 같습니다, 그런데 반해 스프링레이트는 상당히 높은거 같습니다,
반발력이 상당한데 스프링레이트가 낮아서 울렁이는것처럼 보이나 제가 느낀것은 순정댐퍼와 조합이라면 운전자가 느끼는 롤이나 피칭의느낌은 스프링의 수축에 의한것보다는 타이어의 1차변형에 의한것과 범프후에 요동치는 운동을 억제하지 못하는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순정에 H&R하실바에는 프라이드의 보급품 아트라스조합이 낳을수도 있겟네요,
헌데 문제는 조합형은 잘만든 코일오버를 경험하신분들에게는 만족을 못하게 하는거 같습니다,
다양하게 조합을 맟추기엔 스프링레이트와 감쇠력수치가 다양하게 제품이 나오지 않네요.
거기에 GTR16인치 휠까지 들어가니 무게도 엄청 무겁고요. 디젤이란 차이점이 있네요.
우선은 승차감적으로 최악이라고는 아실것이고요 제 경기용스펙 코일오버보다 더 불쾌하다고 생각됩니다,
가볍게 턱턱 내장을 울리고 충격후의 바운싱은 몸에 은근히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요.
코너링은 좋아질 이유는 하나도없다고 봅니다,
로워링을 한다고 코너링이 좋다라는 막연한 근거는 무게중심이 올라감에 따른 원심력의 강화라는 식에 대입하면 조금은 일리가 있으나 바운싱이 생기는동안의 주행성악화라는점으로 인해 로워링의 장점은 상쇄될것이라 봅니다,
프라이드의 H&R은 디젤이 무거워 그런것도 있는데 프라이드에서도 최저의 차고를 보입니다,
문제는 처음부터 최저의 차고가 아닌 점점 가라앉는다는것이죠
냉간성형스프링이라 이론적으로는 스프링변화가 없어야 하지만 반영구적이라는 말처럼 완전영구적이지 않기때문에 변화는 존재하는데 그게 좀 빠르게 오는거 같습니다,
1년이면 1센티는 다운되는거 같습니다, 그런데 반해 스프링레이트는 상당히 높은거 같습니다,
반발력이 상당한데 스프링레이트가 낮아서 울렁이는것처럼 보이나 제가 느낀것은 순정댐퍼와 조합이라면 운전자가 느끼는 롤이나 피칭의느낌은 스프링의 수축에 의한것보다는 타이어의 1차변형에 의한것과 범프후에 요동치는 운동을 억제하지 못하는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순정에 H&R하실바에는 프라이드의 보급품 아트라스조합이 낳을수도 있겟네요,
헌데 문제는 조합형은 잘만든 코일오버를 경험하신분들에게는 만족을 못하게 하는거 같습니다,
다양하게 조합을 맟추기엔 스프링레이트와 감쇠력수치가 다양하게 제품이 나오지 않네요.
2008.12.17 04:00:25 (*.251.1.210)

일단 타이어 공기압을 30~35psi 사이에서 재 세팅하는것이 좋겠어요. 40시리즈 타이어에서 공기압 50psi면 상당히 승차감이 나쁠 수 밖에 없습니다. 미니쿠퍼S휠이 다른 휠에 비해 상당히 무겁다 들었는데, 그 휠 질량이 무겁다보니 승차감도 나빠진것 같구요.. 제 생각에도 저 상태에서 다운스프링만 하게 되면 승차감은 더욱 나빠질 것 같습니다.
제 경험상 H&R 스프링은 그닥 소프트하지 않았습니다. 반발력이 꽤나 타이트한 스프링에 속했습니다.
제 경험상 H&R 스프링은 그닥 소프트하지 않았습니다. 반발력이 꽤나 타이트한 스프링에 속했습니다.
2008.12.17 10:41:37 (*.25.141.211)

먼저 어떤 타이어를 쓰시는지 제일 궁금하네요. 다운스프링과 순정댐퍼의 조합은 차종을 불문하고 비추합니다. 특히 H&R이라면 더더욱요.
2008.12.17 11:45:56 (*.188.76.134)
저역시 순정쇽에 다운스프링을 비추합니다. 전에 h&r과 빌스타인쇽을 쓰다가 h&r스프링을 그대로 쓰면서 순정쇽을 넣었는데 주행후 오분만에 후회했습니다. 주차후에 차를 볼 때의 자세를 뺀 모든 면에서 불만족스러웠습니다.
2008.12.17 14:28:05 (*.187.137.152)

우선 답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공기압은 고속 주행이 많아(그냥 고속도로 주행이 많아ㅋ) 항상 40에 맞추고 다녔습니다.
물론 아래, 위로 조절해서 시험삼아 다녀 보기도 했구요.
준수씨 얘기대로 33까지 낮춰 봤는데 휠 자체에 림이 없어서 그런지
겉으로 보기에도 위태로워 보였구요. 조금만 더 빠지면 휠로 굴러야 할듯한..
제가 있는 곳이 좀 춥고, 눈이 잦은 곳이라 50까지 올라가게 된 거구요.
경험으로 비추어봐도 42~43 정도가 적절하긴 했는데 이것도 높은가요??
타이어는 컨티넨탈 Conti sport contact 3 제품 입니다.
쿠퍼도 승차감이 안 좋은 차 중 하나로 손꼽고 있는데 순전히 휠 때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어떻게들 극복하시는지 궁금해지네요.
스포티는 너무 물렁하지도 않고, 너무 떽떽거리지도 않아 딱 좋은 순정 상태의 느낌이었는데
지금 너무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일단 공기압을 확 낮춰 보겠습니다.
공기압은 고속 주행이 많아(그냥 고속도로 주행이 많아ㅋ) 항상 40에 맞추고 다녔습니다.
물론 아래, 위로 조절해서 시험삼아 다녀 보기도 했구요.
준수씨 얘기대로 33까지 낮춰 봤는데 휠 자체에 림이 없어서 그런지
겉으로 보기에도 위태로워 보였구요. 조금만 더 빠지면 휠로 굴러야 할듯한..
제가 있는 곳이 좀 춥고, 눈이 잦은 곳이라 50까지 올라가게 된 거구요.
경험으로 비추어봐도 42~43 정도가 적절하긴 했는데 이것도 높은가요??
타이어는 컨티넨탈 Conti sport contact 3 제품 입니다.
쿠퍼도 승차감이 안 좋은 차 중 하나로 손꼽고 있는데 순전히 휠 때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어떻게들 극복하시는지 궁금해지네요.
스포티는 너무 물렁하지도 않고, 너무 떽떽거리지도 않아 딱 좋은 순정 상태의 느낌이었는데
지금 너무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일단 공기압을 확 낮춰 보겠습니다.
2008.12.17 16:21:50 (*.251.1.210)

일단 휠 질량이 높아지면 승차감이 안좋아질수밖에 없구요.. 베르나에 테인 ss같은 경우는 승차감이 괜찮지 않나요? 아반떼, i30의 경우는 테인 ss가 승차감이 상당히 소프트하다 하더군요. 가격도 비싸고 일체형 오버홀의 압박이 있지만... 여유 되시면 중고로 한번 업어서 감쇄력을 낮추고 타보시는 기회가 있으면 좋을것 같네요.. (근데 승차감때문에 투자한다면 너무 많은 비용이 들지요.-_-; 그러라고 있는 서스펜션은 아닌데 말입니다..) 같은 테인 ss라도 서스펜션 구조에 따른 승차감의 차이가 생기니.. 절대적 비교는 불가하긴 하겠네요. ㅠㅠ 일단 공기압을 일단 낮추어 보세요. 저 같은 경우는 HD에 인커스 스포츠 서스펜션 풀세트인데, 타이어의 종류, 공기압에 따라 승차감 차이가 꽤 많이납니다. ㅎㅎㅎ
2008.12.17 17:55:30 (*.117.99.154)
잘못 알고계신 부분이, 눈이 많은 지역이면 공기압을 정상치보다 더 빼야합니다. 타이어 사이드월이 충분히 눌려야 눈길 그립이 살아납니다.
2008.12.17 19:16:10 (*.219.240.217)

가장 좋은 방법은 휠을 순정 외경에 사이즈를 맞추시는게 답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사용하시는 경우 진동 주파수가 올라가기 때문에,
순정 댐퍼 스프링보다, 튜닝용 댐퍼 스프링으로 업그래이드 하시는게 좋습니다.
H&R + 순정댐퍼 조합은 밸런스가 무너지기 때문에 당연히 승차감 안 좋습니다.
댐퍼를 스프링 상수에 맞춰서 감쇄력을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공기압은 적정 공기압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스포츠 주행을 하시더라도 사이드월이 눕지 않을 정도만 올리시면 되고,
평상시에도 공기압을 높게 잡지 않는게 승차감에 좋습니다.
공기압은 운전석 도어 열어보시면, 옆면에 순정 공기압이 나와있는데,
그것을 기준으로 참고해서 공기압을 본인차에 맞춰서 넣는게 좋습니다.
2008.12.18 18:34:20 (*.164.172.21)
H&R + 순정댐퍼 사용 1달만에 요철 심한구간 말타는 느낌이 싫어서 빌스타인오리지널과 조합하여 사용하였습니다.
H&R 이 반발력이 상당해서 오리지널보다 스포츠가 더 괜찮은 조합일듯 싶네요. 댐퍼 업그래이드나 H&R을 아이박으로 교체하시든지 선택의 폭이 상당히 좁네요.
H&R 이 반발력이 상당해서 오리지널보다 스포츠가 더 괜찮은 조합일듯 싶네요. 댐퍼 업그래이드나 H&R을 아이박으로 교체하시든지 선택의 폭이 상당히 좁네요.
2008.12.20 18:28:02 (*.237.203.142)

유일하게 공기압을 낮춰야 하는 조건이 눈길인데요... 승차감을 떠나서, 40psi 넘으면 조종 안정성도 나빠져서 힘들던데 50psi는 너무 높은것 같아 보입니다.
H&R 스프링을 손에 넣으셨다면, 국민 종발이 조합으로 가시는게 여러모로 좋을것 같네요. 빌스타인 sport~
H&R 스프링을 손에 넣으셨다면, 국민 종발이 조합으로 가시는게 여러모로 좋을것 같네요. 빌스타인 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