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동일 조건에서, 스프링만 좀 더 단단한 편일때 (단단한걸 레이트가 많다 라 하나요..?), 댐퍼만 더 단단한 편일 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017.11.15 10:38:03 (*.74.174.245)
스프링만 단단하다면 차체가 통통 튑니다 샥이 스프링의 움직임을 제어 못하기때문이죠. 샥의경우는 경우의 수가 잇는데요 컴프레션이 스프링에비해 단단하다면 스프링이 눌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해야될 상황에 그러지못하고 차가 충격을 그대로 받아버립니다. 고속에서는 자칫 잘못하다간 차가 붕 뜰수도 잇죠. 리바운드가 더 단단할 경우엔 스프링의 상하운동이 깨지게됩니다. 스프링이 눌린만큼 다시 늘어나줘야하는데 충분히 늘어나질 못하고 그상태에서 다시 또 눌리고를 반복하다보면 스프링이 움직일수잇는 거리가 짧아지게되고 결국 코너링 그립은 뚝 떨어집니다.
2017.11.15 14:01:54 (*.211.68.69)
단순 시스템에서 진동은, 질량과 spring constant와 damping ratio 세 요소끼리의 관계입니다.
여기서 지면과 현가장치 사이의 타이어를 하나의 스프링으로 모사하면 2자유도 시스템이 되고, 이 시스템의 진동 특성은
1. 현가상질량(차체)
2. 현가하질량(현가장치와 휠 어셈블리)
3. 서스펜션 스프링
4. 서스펜션 댐퍼
5. 타이어(스프링)
다섯개 요소에 의해 상호 영향을 받습니다.
간단하게 계산을 해 보거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아야 그 양상을 알 수 있지, 어림짐작으로 말씀드리기에는 예상과 다른 움직임을 보일 확률이 높네요!
여기서 지면과 현가장치 사이의 타이어를 하나의 스프링으로 모사하면 2자유도 시스템이 되고, 이 시스템의 진동 특성은
1. 현가상질량(차체)
2. 현가하질량(현가장치와 휠 어셈블리)
3. 서스펜션 스프링
4. 서스펜션 댐퍼
5. 타이어(스프링)
다섯개 요소에 의해 상호 영향을 받습니다.
간단하게 계산을 해 보거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아야 그 양상을 알 수 있지, 어림짐작으로 말씀드리기에는 예상과 다른 움직임을 보일 확률이 높네요!
댐퍼의 역할은 주행중에 요동치는 스프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메이커에서도 출시되는 일체형의
스프링의 경우 오너가 원할경우 +-1 까지는 허용을 해서 바꿔줍니다. 그 이유인즉 쇼바 댐핑 압력이 커버
할수없는 정도의 스프링 키로수 업은 의미가없고 댐퍼에 무리를 주기때문이죠.
제 생각은 스프링만 하드하다면 차가 많이 튈듯하구요 쇼바가 하드하다면 튀면서 무지하게 하드하게될듯하네요
적정 키로수스프링과 적정 쇼바 댐핑압력이 이상적이지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