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외국 한 사이트에서 이런 댓글을 보았는데요
제가 이해를 한건 저알피엠에 (3천 알피엠) 이하로는 레브매칭, 힐앤토우를 하지 말라는거 같은데..
wrx 의 엔진 fa20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되어서 수명이 줄어든다고 보이네요
다른차에서도 그러면 엔진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데
지금까지 그런거 생각없이 레브매칭을 해왔는데 안좋은 습관인가요?
You always should be downshifting for WOT. Not everyone knows this (surprisingly) or does this when given the opportunity on the road. When you're WOT at low RPMs (<3K - 3.5K so say 2.5K) you're putting tremendous stress on the engine while it's not accelerating as fast as in a lower gear.
EDIT: In short, if you're going to WOT, downshift to a gear that is at >3.5K RPM and then you're clear.
그리고 WOT 라는건 이걸 뜻하나봅니다..
Wide open throttle (WOT) refer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maximum intake of air and fuel that occurs when the throttle plates inside the carburetor or throttle body are "wide open", providing the least resistance to the incoming air.
제가 이해를 한건 저알피엠에 (3천 알피엠) 이하로는 레브매칭, 힐앤토우를 하지 말라는거 같은데..
wrx 의 엔진 fa20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되어서 수명이 줄어든다고 보이네요
다른차에서도 그러면 엔진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데
지금까지 그런거 생각없이 레브매칭을 해왔는데 안좋은 습관인가요?
You always should be downshifting for WOT. Not everyone knows this (surprisingly) or does this when given the opportunity on the road. When you're WOT at low RPMs (<3K - 3.5K so say 2.5K) you're putting tremendous stress on the engine while it's not accelerating as fast as in a lower gear.
EDIT: In short, if you're going to WOT, downshift to a gear that is at >3.5K RPM and then you're clear.
그리고 WOT 라는건 이걸 뜻하나봅니다..
Wide open throttle (WOT) refer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maximum intake of air and fuel that occurs when the throttle plates inside the carburetor or throttle body are "wide open", providing the least resistance to the incoming air.
2020.01.14 13:56:49 (*.38.11.87)
WOT = 풀악셀 입니다.
고단 너무 낮은 RPM에서 풀악셀 해서 가속하지 말고 저단으로 변속해서 RPM을 높이고 가속 해라.. 가 맞는거 같네요.
고단 너무 낮은 RPM에서 풀악셀 해서 가속하지 말고 저단으로 변속해서 RPM을 높이고 가속 해라.. 가 맞는거 같네요.
2020.01.14 20:41:06 (*.99.244.242)
고단기어 넣고 끝까지 때려밟지(WOT) 말라
때려밟을 거면 저단으로 넣고 높은 rpm으로 가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얘기입니다
레브매칭 힐앤토는 언급조차 없는 내용입니다
때려밟을 거면 저단으로 넣고 높은 rpm으로 가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얘기입니다
레브매칭 힐앤토는 언급조차 없는 내용입니다
2020.01.14 23:14:47 (*.39.138.4)
고단 기어에 3천~3천5백 미만의 저회전 상태에서 악셀을 깊이 밟으면 엔진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고, 저단 기어에서만큼 가속되지 않으니 악셀을 깊게 밟으려면 기어를 내려라는 얘기인데...
레브매칭이나 힐앤토와 관련된 얘기는 없으나, 기어를 내리면서 가속하려면 레브매칭은 반드시 해야 한다고 봅니다. 브레이크로 감속하면서 기어를 내리며 악셀을 밟아 레브매칭 하면 그게 그냥 힐앤토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냥 오토 차량의 동작 로직을 흉내내면 적어도 가속시에는 크게 무리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악셀을 깊게 밟을 수록 rpm을 높게 쓰잖아요. 오토 흉내에 익숙해지면 클러치 밟고 악셀 한 번 붕 띄우면서 저단 기어 물리고 다시 악셀을 밟아 가속하는게 아닌, 악셀 밟으면서 기어 내리고 클러치 물려서 바로 가속하는 형태도 가능합니다.
레브매칭이나 힐앤토와 관련된 얘기는 없으나, 기어를 내리면서 가속하려면 레브매칭은 반드시 해야 한다고 봅니다. 브레이크로 감속하면서 기어를 내리며 악셀을 밟아 레브매칭 하면 그게 그냥 힐앤토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냥 오토 차량의 동작 로직을 흉내내면 적어도 가속시에는 크게 무리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악셀을 깊게 밟을 수록 rpm을 높게 쓰잖아요. 오토 흉내에 익숙해지면 클러치 밟고 악셀 한 번 붕 띄우면서 저단 기어 물리고 다시 악셀을 밟아 가속하는게 아닌, 악셀 밟으면서 기어 내리고 클러치 물려서 바로 가속하는 형태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자면 2단으로 가다가 5단으로 변속해서 악셀을 깊게 밟아도...rpm 오르기전에 토크 안붙는 구간...그런 상황이 엔진에 안좋으니 쓰지말라는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