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그리고 추가 타이어 적정 공기압 관련질문으로
적정공기압은 타이어 기준 최대 공기압의 80프로(40psi)가 적절 한지,
아니면 차량 제조사 기준(35psi)이 적절한지 문의 드립니다.
제 기준에서는 모든면에서 제조사 기준이 편했습니다.
휴대용 공기 주입기로 종종 타이어 공기압을 맞추는데,
종종 정비소를 이용하고 나면 40psi정도로 높게 공기을 넣어 줄때가 있습니다.
보통 34-36psi 정도로 보통 타는데 이때 제가 가진 휴대용 펌프로는 공기를 넣는 것만 가능해서
공기를 뺀 후에 다시 설정압력으로 공기를 넣어 줘야 하는데,
휴대용 펌프 중에 세차장에 있는 공기 주입기 처럼 설정해놓은 공기압으로 자동으로 넣고 빼 주는 제품이 있을까요?
그리고 추가 타이어 적정 공기압 관련질문으로
적정공기압은 타이어 기준 최대 공기압의 80프로(40psi)가 적절 한지,
아니면 차량 제조사 기준(35psi)이 적절한지 문의 드립니다.
제 기준에서는 모든면에서 제조사 기준이 편했습니다.
2020.11.03 20:13:12 (*.62.202.226)
제조사 기준으로 하시면 됩니다.
낮아질까봐 정비업체에서는 높게 넣어주는 것 같습니다.
어떤차는 tpms가 예민해서 낮으면 바로 경고등 들어와서 그런 것도 있구요.
간혹 부정확한 장비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제조사 기준이 순정타이어의 하중지수를 고려해서 10프로 이상 여유있게 되어있더군요. 타이어가 크고 차가 가벼우면 30psi부터 무거워도 35정도…그리고 휴대용 장비가 있으면 아침 주행전이나 한동안 주차되어있는 차의 공기압을 점검하시면 좋습니다. 주행중에는 온도때문에 10퍼센트 이상 올라갑니다.
낮아질까봐 정비업체에서는 높게 넣어주는 것 같습니다.
어떤차는 tpms가 예민해서 낮으면 바로 경고등 들어와서 그런 것도 있구요.
간혹 부정확한 장비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제조사 기준이 순정타이어의 하중지수를 고려해서 10프로 이상 여유있게 되어있더군요. 타이어가 크고 차가 가벼우면 30psi부터 무거워도 35정도…그리고 휴대용 장비가 있으면 아침 주행전이나 한동안 주차되어있는 차의 공기압을 점검하시면 좋습니다. 주행중에는 온도때문에 10퍼센트 이상 올라갑니다.
2020.11.04 09:04:41 (*.87.61.252)

제조사 기준이 레퍼런스이긴 합니다만 다음을 고려하세요.
1. 제조사는 4인 승차 기준으로 공기압을 추천. 공차나 5인+트렁크에 짐이면 달라질 수 있음.
2. 제조사는 시내 + 고속도로의 포장된 공로 운전 기준으로 공기압 추천. 트랙이나 오프로드에서는 달라질 수 있음.
1. 제조사는 4인 승차 기준으로 공기압을 추천. 공차나 5인+트렁크에 짐이면 달라질 수 있음.
2. 제조사는 시내 + 고속도로의 포장된 공로 운전 기준으로 공기압 추천. 트랙이나 오프로드에서는 달라질 수 있음.
2020.11.06 18:12:37 (*.101.64.233)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것과 같이 제조사는 4인 승차기준, 순정 타이어 하중지수 기준으로 레퍼런스를 제공합니다. 다만, 차량 중량 배분의 감안 및 트렁크나 승차인원, 타이어 변경하시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기압의 정도에 따라 그립력도 달라지지만 당연히 타이어의 마모도 차이에 따른 수명도 달라니지 이 부분도 감안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민혁님의 의견과 같이 저도 레퍼런스 수치를 기준으로 제 취향에 따라 앞뒤를 다르게 세팅하는 편입니다.
민혁님의 의견과 같이 저도 레퍼런스 수치를 기준으로 제 취향에 따라 앞뒤를 다르게 세팅하는 편입니다.
주행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라 본인이 편하신게 정답입니다.
추가로 이미 아시겠지만..
같은 40psi를 넣더라도 공기압 기계마다 다르고
측정하는 TPMS에 따라서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단순 수치보다는 취향에 따라 타이어 네짝의 편차,
혹은 앞뒤의 편차에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