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아래 suv 알아본다는 글쓴이 입니다.^^
차를 사려고 생각한지 몇달 째, 이젠 어딜가도 차밖에 안보입니다.
미국은 SUV 종류도 많더군요. 밤에 자다가 벌떡 일어나서 검색해보는 날들도 많았네요.
이제 몇개 차종으로 후보가 좁혀졌고, 마지막 결정을 위해 연비에 관해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여기도 기름값이 4배까지 뛴다는 전망이 있으니, 그저 무시할 수 만은 없어서요.
일단 총중량과 연비는 반비례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무작정 찾아봤습니다.
다음은 mid size SUV 연비와 총중량 입니다.
Volkswagen Touareg VR6 FSI: 14 / 19 mpg 5086
Buick Enclave CX AWD: 16 / 22 mpg 4980
Volvo XC90 3.2: 15 / 22 mpg 4751
Acura MDX 6-Spd AT: 16 / 21 mpg 4550
Lexus RX350 AWD: 18 / 24 mpg 4343
Infiniti FX35 AWD: 16 / 21 mpg 4299
Nissan Murano LE AWD: 18 / 23 mpg 4250
예상이 대체로 맞는 건가요? 역시 무거운 차들이 연비가 안좋은 건가요?
그외에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무거운 차들이 안전하다는 믿음이 맞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SUV들이 연비가 나쁩니다.
원인으로는
1. 차체가 높고 전면투영먼적이 커서 공기저항을 좀 더 받는다.
2. AWD 차량이 많으며 이는 구동손실이 일반 2륜차량보다 조금 더 있다.
3. 차량 무게가 많이 나가며 프레임을 따로쓰는 정통SUV는 더욱 무게가 나간다. 무거운 차는 시내 가감속시 더욱 불리하다.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겠습니다.
무거운 차는 움직이는데 당연히 에너지가 많이 듭니다. 고속도로 크루징이 많다면 그 운동에너지가 쭉 보존이 되니까 연비가 크게 나쁘진 않을지 몰라도, 정차가 반복되는 시내에서는 반드시 무거운차가 연비가 나쁩니다. 물리법칙이니까요.
투아렉이 에어서스펜션 등 화려한 옵션으로 무게는 가장 많이 나가는군요.인피니티 FX와 무라노(따지고보면 둘이 같은 차겠죠?)가 차중량은 적게 나가는데..
시내주행이 많으시다면, 아에 SUV를 구입하시는것 자체를 다시 고려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추가 : 무거운 차라고 꼭 안전한건 아닙니다. 충돌시 운전자에게 충격이 가지않기 위해서는 차체가 충분한 완충공간을 두어 그 공간내에서 차체가 찌그러지며 운전자에게 갈 충격을 최소화해야합니다. 완충공간은 차의 무게와는 상관이없습니다. 오히려 프레임이 따로있는 무거운 차는 전면 충돌시 프레임이 우직하게 버티면서 충격을 운전자에게 많이 전달해버립니다. 안전도는 무게보다는 그냥 교통안전공단이나 미국보험협회에서 매긴 충돌안전점수를 참고하시길...

전 승용차류가 제일 안전하지 않을까 합니다.
승용차는 어지간해서 뒤집어지지 않습니다. 고로 2차사고는 상대적으로 덜할 듯합니다.
SUV써보니 꼭 특별히 용도가 있는 분들이나 구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더군요. 그 둔함이란...
찦차 가격이면 승용을 좀 좋은 것을 구입하는 것은 어떨까요?
연비도 승용이 아무래도 좋지 않을까요? 특히 미국이면 디젤엔진도 별로 없을텐데요

번외의 이야기지만... 혹시 웨건은 맘에 안드시나요? ㅡ.ㅡ;;
공간 때문이라면 웨건 모델들도 매우 유익할 것 같다는...

미국 보험사들은, 픽업 트럭을 가장 안전한 부류 중의 한 부류로 분류를 했더군요. 그래서 보험료가 싸다고 그러더군요. 보험 판매원이.
안녕하세요~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사정이 있어서 반드시 suv만 가능합니다. ^^;;
저는 이곳이 기름값 부담이 덜한 곳이니 연비를 조금 덜 보고 다른 면이 맘에 드는 차를 사고 싶고,
다른 가족은 연비를 중요하게 보고있어서 지금 얘기 중입니다.
시내주행이 많은 편은 아니지요. 여기는 다운타운 빼고는 그닥 막히지는 않거든요. 하하.

위의 후보모델중에 고른다면,
와이프분이 운전을 많이 할 경우에는 RX350, 정경님께서 주로 하신다면 MDX 강추합니다!!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많습니다. 휠타이어 무게나 전면투영면적 등등...거기다가 변속기의 효율도 있겠내요..
그리고 무거운차가 안전하다는건 제가 알기론 그렇지 않다입니다.
요즘은 고장력 강판의 사용으로 경량화 추세로 가고 있습니다. 강판의 강도가 높아지면서 두께를 얇게 사용 할수가 있으니까요.
여기서 얻어지는 이득이 연비에 영향이 있습니다.
요즘은 형상 최적화나 고장력강판 사용으로 인해 무조건 무거운차가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동종의 강판을 사용할때 더 두꺼운 강판을 사용을 하면 더 안전하기는 합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