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드디어.. 타이어를 바꿨습니다..
지금까지 5년간의 네오바 외길인생에서 오늘 한타 v12 에보로 바꿨네요..
(물건 주문하고 기다려라.. 라는건 도저히 못하는 성질급한 오너라..있다길래 바로 장착)
일단.. 왜 v12에보를 골랐냐..라고 하면,
'저렴한 가격의 y급 스포츠 타이어' 라는 말로 모든 설명을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v12에보를 선택한걸 의외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듯 합니다만..ㅎㅎ)
w급이라 초고속 어택에 다소 부담을 느끼는 네오바에서 다음번은 무조건 y급이다..
(w급은 270km/h까지, y급은 300까지입니다.. 그래서 전엔 270에서 악셀오프였죠)
..라고 생각하고 보니 PS2건, GS-D3건, 전부 가격대가 장난이 아니더군요..
같은 한타의 S1에보도 마찬가지로..가격이..(S1evo 가격은 뭐...그럴바엔..)
그래서 y급인데 저렴한 가격과, 예쁜 트레드 패턴에 혹해서 v12에보를 질렀습니다.
(간혹 국산이라면 금호의 XS를 사지 그랬냐..라는 의견도 있었는데, 그건 w급입니다)
실은 꽤 걱정하기도 했습니다..
예전에 잠깐 R-S2를 끼웠다가 1주일만에 내린 기억도 있고..
(브레이킹이 너무 불안한 느낌이라 도저히 못타겠더군요)
게다가 V12evo는 가격이 너무도(..) 저렴하다보니 왠지 불안하달까요
(..뭐 반값인 셈이잖습니까 ^^)
오늘 타이어를 끼우고 나와서 외곽순환 고속도로 북부노선을 좀 달려보고,
간단히 느낀 첫 인상을 정리해보자면.. 대충 이런듯 합니다.
0. 어깨가 좀 좁다
트레드 자체는 예쁘지만,
네오바처럼 어깨가 각져 올라온 느낌이 아니라, 좀 둥글게 돌아갑니다.
그래서인지 실지 타이어의 폭은 같은 사이즈인데도 더 작게 보이더군요..
네오바의 235는 좌우 어깨가 상당해서 상당히 굵은데 말이죠..
9J 라는 휠에 좀 작아보인다..라는 인상은 확실히 들었습니다.
(네오바의 경우는 전혀 작아보이지 않았습니다만)
1. 조용하다 / 승차감이 좋다
이건 솔직히 좀 놀랬습니다.
처음에 장착점에서 나오는데.. 조용한데다 승차감마저 좋아서..
어 뭐야 이거.. 괜찮은걸까? 이거 세단타이어??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실 네오바가 꽤 시끄러운 거라고 볼수도 있겠네요)
2. 고속 안정성은 나쁘지 않다.
일단 시간이 조금 일러서(8시근방) 보통 쏘는 250오버 영역대를 쏴보진 못했고,
200살짝 오버하는 정도까지만 쏘면서 느낀 점이라면.. 일단 트랙션도 괜찮고,
직진 안정성도 꽤 좋은 편입니다.. 토크스티어도 부드럽게 받아내주고..
브레이킹은 과격한 브레이킹은 아직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만,
예측가능한 움직임에서의 적당한 브레이킹 정도는 큰 문제없이 받아내더군요..
그리고 고속에서 한방에 중심을 싣고 잘라들어가는 움직임도 문제없이 버텨줍니다.
대충 200근방의 고속에서 불안정하다는 느낌은 없어서.. 나름 만족입니다.
(네오바처럼 웬만한건 다 버텨줄거다..라는 신뢰감은.. 아직 없습니다만)
3. 와인딩은..
모릅니다 -_-a;; 아직 안달려봐서..
암튼, 와인딩의 코너링 접지도 왠지 나쁜 정도는 아닐 거란 기대를 가져봅니다.
게다가.. 사실 애당초 네오바 같은 무식한 접지력을 기대하고 산 것은 아니니까..
웬만해선 크게 실망하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트레드웨어는 어느 정도일지는 실지 타며 소모해봐야 알겠지만..
이 가격대(115000원)에 y급으로 적당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면,
상당히 지우개라도 충분히 참아줄 만한 가치는 있다는 느낌입니다 ^^
..암튼 일단은 조용하고 부드러운것에 무지 만족했습니다 ^^
(하지만 제 차의 웅장한(...)사운드가 더 잘들려서 더 신경쓰이는 듯 합니다)
지금까지 5년간의 네오바 외길인생에서 오늘 한타 v12 에보로 바꿨네요..
(물건 주문하고 기다려라.. 라는건 도저히 못하는 성질급한 오너라..있다길래 바로 장착)
일단.. 왜 v12에보를 골랐냐..라고 하면,
'저렴한 가격의 y급 스포츠 타이어' 라는 말로 모든 설명을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v12에보를 선택한걸 의외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듯 합니다만..ㅎㅎ)
w급이라 초고속 어택에 다소 부담을 느끼는 네오바에서 다음번은 무조건 y급이다..
(w급은 270km/h까지, y급은 300까지입니다.. 그래서 전엔 270에서 악셀오프였죠)
..라고 생각하고 보니 PS2건, GS-D3건, 전부 가격대가 장난이 아니더군요..
같은 한타의 S1에보도 마찬가지로..가격이..(S1evo 가격은 뭐...그럴바엔..)
그래서 y급인데 저렴한 가격과, 예쁜 트레드 패턴에 혹해서 v12에보를 질렀습니다.
(간혹 국산이라면 금호의 XS를 사지 그랬냐..라는 의견도 있었는데, 그건 w급입니다)
실은 꽤 걱정하기도 했습니다..
예전에 잠깐 R-S2를 끼웠다가 1주일만에 내린 기억도 있고..
(브레이킹이 너무 불안한 느낌이라 도저히 못타겠더군요)
게다가 V12evo는 가격이 너무도(..) 저렴하다보니 왠지 불안하달까요
(..뭐 반값인 셈이잖습니까 ^^)
오늘 타이어를 끼우고 나와서 외곽순환 고속도로 북부노선을 좀 달려보고,
간단히 느낀 첫 인상을 정리해보자면.. 대충 이런듯 합니다.
0. 어깨가 좀 좁다
트레드 자체는 예쁘지만,
네오바처럼 어깨가 각져 올라온 느낌이 아니라, 좀 둥글게 돌아갑니다.
그래서인지 실지 타이어의 폭은 같은 사이즈인데도 더 작게 보이더군요..
네오바의 235는 좌우 어깨가 상당해서 상당히 굵은데 말이죠..
9J 라는 휠에 좀 작아보인다..라는 인상은 확실히 들었습니다.
(네오바의 경우는 전혀 작아보이지 않았습니다만)
1. 조용하다 / 승차감이 좋다
이건 솔직히 좀 놀랬습니다.
처음에 장착점에서 나오는데.. 조용한데다 승차감마저 좋아서..
어 뭐야 이거.. 괜찮은걸까? 이거 세단타이어??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실 네오바가 꽤 시끄러운 거라고 볼수도 있겠네요)
2. 고속 안정성은 나쁘지 않다.
일단 시간이 조금 일러서(8시근방) 보통 쏘는 250오버 영역대를 쏴보진 못했고,
200살짝 오버하는 정도까지만 쏘면서 느낀 점이라면.. 일단 트랙션도 괜찮고,
직진 안정성도 꽤 좋은 편입니다.. 토크스티어도 부드럽게 받아내주고..
브레이킹은 과격한 브레이킹은 아직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만,
예측가능한 움직임에서의 적당한 브레이킹 정도는 큰 문제없이 받아내더군요..
그리고 고속에서 한방에 중심을 싣고 잘라들어가는 움직임도 문제없이 버텨줍니다.
대충 200근방의 고속에서 불안정하다는 느낌은 없어서.. 나름 만족입니다.
(네오바처럼 웬만한건 다 버텨줄거다..라는 신뢰감은.. 아직 없습니다만)
3. 와인딩은..
모릅니다 -_-a;; 아직 안달려봐서..
암튼, 와인딩의 코너링 접지도 왠지 나쁜 정도는 아닐 거란 기대를 가져봅니다.
게다가.. 사실 애당초 네오바 같은 무식한 접지력을 기대하고 산 것은 아니니까..
웬만해선 크게 실망하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트레드웨어는 어느 정도일지는 실지 타며 소모해봐야 알겠지만..
이 가격대(115000원)에 y급으로 적당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면,
상당히 지우개라도 충분히 참아줄 만한 가치는 있다는 느낌입니다 ^^
..암튼 일단은 조용하고 부드러운것에 무지 만족했습니다 ^^
(하지만 제 차의 웅장한(...)사운드가 더 잘들려서 더 신경쓰이는 듯 합니다)

2008.07.15 20:39:13 (*.248.62.128)

205/45R16 사이즈로 전륜에 쓰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승차감 좋습니다. 조용하구요. 노면도 별로 타지 않습니다. 그러면서도 적절한 그립(횡/종방향 모두)을 갖추어 무척 만족도가 높은 타이어입니다. 그런데, 광삼님 같은 하드코어 분께서 R-S2에 실망하시고 V12 EVO에 만족하신다고 평을 하시니.. 흔히 많이 알려진 바로 R-S2가 훨씬 우수한 접지력을 보인다고 하는 것과 상반되서 저도 R-S2를 쓰기가 망설여지는 군요..
2008.07.15 20:41:30 (*.140.148.249)

R-S2 는 애당초 기대감이 좀 달라서일지도 모릅니다 ^^
이건 확실한 하이그립 타이어다! 라는 기대감이 있다보니,
네오바처럼 다루면서 비교가 될 수밖에 없었을듯 합니다 ^^
이건 확실한 하이그립 타이어다! 라는 기대감이 있다보니,
네오바처럼 다루면서 비교가 될 수밖에 없었을듯 합니다 ^^
2008.07.16 10:38:12 (*.114.184.252)

저도 프런트에 쓰고 있습니다. 225-45-17.. 달리는 편은 아니지만 얼마전 200 쫌 넘게 달려 보곤 아주 만족합니다. 이 가격대에서는 가장 좋은 선택 중 하나인듯 하네요. W급인줄 알았는데 Y급이였군요.
2008.07.16 13:00:48 (*.77.33.105)

v12evo. 사이드월이 너무 약해요... 나머지는 괜찮다는 평이 많더라구요.
제가쓰는 사이즈. 네오바 재고가 국내에 없어서 기다리고 있는 중 입니다. ㅜ.ㅜ
(215-45-17언제 쯤 들어오는지 ^^;;)
제가쓰는 사이즈. 네오바 재고가 국내에 없어서 기다리고 있는 중 입니다. ㅜ.ㅜ
(215-45-17언제 쯤 들어오는지 ^^;;)
2008.07.16 13:54:10 (*.120.254.241)

V12evo는 저번에 태백써킷 갔을때 둘째날 아침에 새타이어를 끼우고 바로 코스인 했는데 3번 코너에서 바로 에이! C~ 하는 소리가 그냥 튀어나오더군요... ㅡㅡ; 기대감이 너무 컸던가 봅니다.. ^^ 태백이 타이어 마모도가 심한곳이라 2일 일정으로 갈경우 첫날 타이어 해먹고 다음날 새타이어를 끼우기에 이런저런 타이어 비교를 간접적으로 해볼수 있는 기회가 몇번 있었는데... MX -> S-drive 를 끼웠을때의 상대적 박탈감 보다 S-drive 를 끼우다 V12evo 를 끼웠을때의 상대적 박탈감이 훨씬~ 더하더군요... RS2는 아직 못써봤지만 흔히들 MX 와 비교평가를 한다고 봤을때 RS2 와 V12EVO 의 비교는 조금 무리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지금껏 사용해본 소감으로는 워낙에 저렴하기에 가격대 성능은 참 괜찮다 생각합니다.. 출퇴근과 스포츠주행을 겸하는 차라면 훌륭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2008.07.16 14:16:04 (*.111.171.104)

V12 Evo 205/55/16 타이어로 네오바/PS2 등을 낀 풀튠카들 따라다니느라 똥줄빠지는 1인입니다. ㅋ
제 경우엔 의외로 동급의 금호타이어에 비해 사이드월이 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SPT는 휘청 하고 누워버리는 코너에서도 은근히 버티더라는 ... 그 급의 타이어들이 대체로 조용한지라 정숙성에 대해서는 큰 감명이 없었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2만킬로쯤 탄 지금도 여전히 조용한 것이 나쁘지 않다 싶네요.
그립에 대해서는 별로 기대하지 말아야 할 타이어라고 생각됩니다. ^^
제 경우엔 의외로 동급의 금호타이어에 비해 사이드월이 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SPT는 휘청 하고 누워버리는 코너에서도 은근히 버티더라는 ... 그 급의 타이어들이 대체로 조용한지라 정숙성에 대해서는 큰 감명이 없었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2만킬로쯤 탄 지금도 여전히 조용한 것이 나쁘지 않다 싶네요.
그립에 대해서는 별로 기대하지 말아야 할 타이어라고 생각됩니다. ^^
2008.07.16 15:14:57 (*.140.139.65)

브레이킹시의 접지가 좀 약한가요.. (약간 두렵군요 ㅎㅎ)
뭐 일상 주행이야.. 저는 거의 사장님기사 스타일 운전이라 문제 없지만..
(천천히 가속하고 천천히 감속하며 안전빵 차선변경 등등..)
진짜 맘먹고 달릴때는 보통 초고속 하이웨이쪽이라,
전에도 초고속에서 브레이킹 한방에 네오바를 깍두기 만들어버렸거든요
(가끔 뒤를 안보는지 앞에 트럭 느리다고 90km정도 속도로 차선바꿔서
200을 한참 오버해서 달리고 있는 제 전방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서..
이 경우는 별수없이 하드한 브레이킹으로 멈춰설 수 밖에 없습니다..)
..아마 이놈도 몇달 못가서 깍두기가 될거라는 예감이 들긴 합니다만..
그런거야 가격(...)으로 커버하면(...?)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암튼 몇달 써보고 나면 계속 이걸 쓸지,
아니면 다시 좀 비싼 놈으로 돌아갈지 결정할수 있겠죠 ^^
(..와인딩은 사실 이놈을 끼운 시점에서 어느정도 마음을 비웠습니다)
뭐 일상 주행이야.. 저는 거의 사장님기사 스타일 운전이라 문제 없지만..
(천천히 가속하고 천천히 감속하며 안전빵 차선변경 등등..)
진짜 맘먹고 달릴때는 보통 초고속 하이웨이쪽이라,
전에도 초고속에서 브레이킹 한방에 네오바를 깍두기 만들어버렸거든요
(가끔 뒤를 안보는지 앞에 트럭 느리다고 90km정도 속도로 차선바꿔서
200을 한참 오버해서 달리고 있는 제 전방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서..
이 경우는 별수없이 하드한 브레이킹으로 멈춰설 수 밖에 없습니다..)
..아마 이놈도 몇달 못가서 깍두기가 될거라는 예감이 들긴 합니다만..
그런거야 가격(...)으로 커버하면(...?)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암튼 몇달 써보고 나면 계속 이걸 쓸지,
아니면 다시 좀 비싼 놈으로 돌아갈지 결정할수 있겠죠 ^^
(..와인딩은 사실 이놈을 끼운 시점에서 어느정도 마음을 비웠습니다)
2008.07.16 15:24:35 (*.248.62.128)

스피라 시승행사에서도 v12 evo 끼워진 수퍼차져 모델을 열심히 탔었는데.. 사이드월이 잘 눕지는 않고 열을 받으면 스퀼음과 함께 미끄러지는 게 심해지긴 해도 아예 놓아버리지는 않아서 컨트롤은 용이합니다만, 문제는 종접지가 눈에 띄게 약해집니다. 초기에 제동 밸런스가 꽤 좋았는데.. 뒤쪽 타이어가 점점 열을 받으면서 브레이크 락이 심해지더군요.
(여기까지 적었다가 잠시 지웠는데, 그 사이 광삼님께서 다시 답글을 다셨네요 ㅋㅋ)
사족으로 한말씀 드리면.. 초고속 주행을 상정하신다면 공기압도 늘 체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미쉐린 홈피를 참조하면 타이어가 견디는 최고 속도에서는 (W급이면 270km/h, Y급이면 300km/h) 기준 공기압 대비 7.5psi를 더 넣으라고 되어있더군요.
(여기까지 적었다가 잠시 지웠는데, 그 사이 광삼님께서 다시 답글을 다셨네요 ㅋㅋ)
사족으로 한말씀 드리면.. 초고속 주행을 상정하신다면 공기압도 늘 체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미쉐린 홈피를 참조하면 타이어가 견디는 최고 속도에서는 (W급이면 270km/h, Y급이면 300km/h) 기준 공기압 대비 7.5psi를 더 넣으라고 되어있더군요.
2008.07.16 16:59:35 (*.231.44.54)

의외의 선택이시군요. ㅎㅎ 저도 끼우고 몇번 운행 못해서 뭐라 자세히 말씀 못드리지만..
끼우자 마자 마치 다른차인듯 느껴지는 상대적인 정숙함은 동감입니다. ㅎㅎ(MX+NEOVA --> V12 EVO)
끼우자 마자 마치 다른차인듯 느껴지는 상대적인 정숙함은 동감입니다. ㅎㅎ(MX+NEOVA --> V12 EVO)
2008.07.16 21:31:34 (*.22.116.168)
초고속 제동력에서 기대감은 일찌감치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어야합니다.
(풀제동을 즐기셨던 표세원님의GTi에서 본다면..)
제동시에도 사이드윌이 무너지는데 항시 35정도의 공기압을 유지하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풀제동을 즐기셨던 표세원님의GTi에서 본다면..)
제동시에도 사이드윌이 무너지는데 항시 35정도의 공기압을 유지하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2008.07.17 04:39:40 (*.196.49.136)

v12에보... 255/40/17 사이즈가 있는 타이어라서 K104가 단종되고 그 후속작으로 나온 타이어이니만큼 언젠가 한번 써볼 작정입니다. ㅋㅋㅋ 별바람아찌의 소감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2008.07.18 02:44:40 (*.196.49.136)

쿨럭... 그냥 조용히 잠적모드로 살고 있답니다... T_T 위에도 적혀 있듯이... 언젠간... 다시 나갈겁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