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친한 친구가 새로 살 차를 골라달라고 해서 여러차종에 대해 이야기를 하던중,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어 주저없이 a4를 추천했습니다.
<친구 구매조건>
1. 배기량은 너무 크지 않을 것 (세금문제)
2. 4도어 세단
3. 가급적이면 프리미엄 브랜드
4. 뛰어난 연비
5. a/s 용이성
6. 모델라이프 (가급적 신모델)
솔직히 bmw new 3시리즈나 인피니티 g37을 추천했는데 배기량이나 마이너체인지가 되었다고 해도 모델자체가 나온지 조금 된 모델이라 오랜시간 새차기분을 느끼려면 아우디를 추천했죠. 또 해외에서의 평가도 좋았고요..
g37은 개인적으론 가장 좋아하는 모델이지만 연비/세금을 생각하면 친구에겐 추천할 수가 없더군요...
양재동 am모터스에서 차를 보고 시승을 했는데 처음에 보고 옆에 있는 a6와 비교해도 상당히 차가 위풍당당하고 디테일도 괜찮더군요. 시승차는 다이나믹 버젼이 아닌 노멀버젼이었는데 반대로 차의 본질을 알기엔 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시승을 하고 처음에 느낀 점은 36키로에 달하는 토크가 상당하다는 점... g37과 같은 폭력적인 가속감은 없어도 엔트리급에서는 아주 뛰어납니다. 변속감도 훌륭하고 브레이크도 상당히 좋았죠.
서스는 노멀이지만 적절히 단단한 느낌이 들고 쏠림도 이전 아우디와 비교하면 없는 편이고 선회능력이 상당히 좋더군요. 아니나다를까 휠베이스를 보니 a6에 육박하는 2800mm.... 엔트리급에서 이보다 긴 모델은 g37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실내공간은 e39 5시리즈에 육박하는 공간이고요...
본넷을 열어보니 엔진이 엄청나게 앞으로 나와 있더군요. 역시나 2800mm의 휠베이스는 그냥 나온 것이 아니군요. 단, 본넷 위치가 높지 않은 차체인데 엔진이 너무 앞으로 나와 있어 전면 추돌사고시 엔진까지 데미지를 먹을 우려가 큰게 흠이었습니다. (e90 320은 v8엔진까지 수용하는 차체라서 그런지 4기통 엔진은 거의 데쉬보드 밑에 들어가서 엄청난 클럼플 존을 형성하는데 그것과 비교하면 뛰어난 선회능력은 콰트로/섀시 세팅의 산물로 보이더군요..)
선회능력은 기존 a4모델, 구형 c클래스와 비교하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는 느낌이지만 콰트로의 특성인지 아우디의 캐릭터인지, 개인적인 선입견인지 뭔가 다이나믹한 맛은 없습니다. 안정적이고 차분하면서 "의외로" 잘 돌아간다는 느낌.. 비유가 적절치 않을 수도 있으나, 이전에 수프라를 탈때, 주변 사람들이 하던 말이 생각나네요.. 어.. 수프라 주재에 gt-r이나 rx-7대비 의외로 잘 돌아가네... ㅋㅋㅋ
휠은 17인치에 폭245, 편평도 45 (맞나?) 타이어로 일단 g37외의 다른 동급 차량을 압도하는 것이 좋더군요.
연비는 저는 1시간 정도 운전했지만 시승차의 연비 평균이 약 12키로였으므로 아주 훌륭한 범주에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옵션은 mmi를 포함해 아주 훌륭했고 다이나믹 버젼에서는 서스 컨틀롤과 스마트키, 패들쉬프트가 추가되므로 개인적인 욕구를 생각한다면 다이나믹 버젼이 더 가격대비 훌륭한 사양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든 차가 그렇듯 단점도 보이는군요..
1. 외장 navi라서 mmi연동이 안되서 불편하다
2. mmi 조작성은 i-drive보다는 좋다고는 하지만, 올드스타일인 제겐 너무 불편합니다. 고속주행시 조작성 등을 고려할 경우, 저는 익숙해지기 전에 처음 본 차량에서 조작성을 중요시하는데 mmi는 처음 타는 사람에겐 너무 불편합니다. 그냥 렉서스 LS460과 같은 스타일이 제겐 편하더군요.
3. 다이나믹 버젼이 알미늄트림이 아닌 우드고 노멀 버젼이 알미늄이더군요. 단 질감은 아우디 명성에 맞지 않는 그저그런 수준..
4. 노멀 버젼은 스마트키 없이 키를 슬롯에 꼽고 바로 키를 누르면 시동이 걸리는데(유럽차의 경우 스마트키 옵션을 특이하게 적용하다보니 키 슬롯은 있고, 스마트키가 안되는 차량이 많죠), 도어 핸들에 스위치 대신 색깔을 칠해 놨는데 상당히 싸구려틱해 보입니다. ^^;; 역시 이 부분은 다이나믹 버젼으로 사야 될 듯..
5. 컵 홀더 부분이 역시나 a6등과 비교하면 아쉽습니다. 대쉬보드 질감은 a6를 능가하는 듯 하는데 컵홀더 부분처리만 더 잘했어도 고급감이 증가했을 것 같습니다.
6. 다이나믹/노멀 버젼이 같은 휠을 사용해 우리나라와 같은 마켓에서 굳이 윗그레이드를 선택하고픈 욕구가 적어진다.. (외관상 거의 구분 못함...)
7. 에어컨이 좌우 독립이 아닌 일반형...
머, 특별히 하자가 될 정도의 단점은 없다는 것이 이번 모델의 큰 무기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전체적으로 사이즈, 마무리, 동력성능, 편의사양... 신모델이라는 희소성 모두 아주 훌륭한 차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처음으로 아우디가 사고싶다고 느껴질 정도였으니까요.
단, 환율 문제로 경쟁사대비 가격을 맞추기 위해 에어컨 등등의 옵션을 조정한 것이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차의 특성상, 여성오너나 첫 수입차 오너가 많아서인지 다이나믹 버젼의 판매비율이 15%정도 밖에 안될 정도로 낮더군요. 그래서인지 다이나믹의 차별성이 적고, 주문시 인도기간이 상당히 길어지더군요.
개인적인 바램이라면 향후 3.2 콰트로(신형 3.0 슈퍼챠저 버젼이 추가될 수도...) 등 상위 트림의 추가시에는 차의 본연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외관이나 옵션의 차별화가 있었으면 합니다. 휠도 18인치 편평도40 버젼을 추가해주고요..
향후 7속 미션으로 바뀔 가능성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지금 모델 자체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형 c클래스에 비하면 내장 질은 역시 아우디답게 압도적으로 좋고요...
마지막으로 아우디/폭스바겐이라는 메이커에 대한 느낌인데, 환경문제가 중시되는 요즘, 엔진 다운사이징을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이 좋아 보입니다. 기존 6기통 모델보다 co2배출량이 적으면서 효율 높은 엔진, 좋은 패키징 기술.. 등등 윗급 차량을 사용하던 소비자에게도 충분히 어필할 모델을 만들어내는 점이 보기 좋습니다.
저도 애기 아빠가 되면서 과거의 대배기량 고출력 지향에서 효율, 경제성, 환경성능을 따지게 되다보니 당장이라도 e39를 처분하고 a4로 바꿀까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솔직히 노멀 320, c200K 와 비교하면 상품력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차량 특성상, 메이커의 마케팅상 여성들에게 어필을 많이 하겠지만, 더 많은 카매니아라고 자칭하는 사람들에게 사랑받게 되는 모델이었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론 파란색에 18인치 휠 옵션 오더하고, 알미늄트림으로 된 다이나믹 버젼을 사고 싶습니다.^^
암튼 1월 중순 이후에 친구 차가 나오니 세부 시승기는 또 올리겠습니다.
<친구 구매조건>
1. 배기량은 너무 크지 않을 것 (세금문제)
2. 4도어 세단
3. 가급적이면 프리미엄 브랜드
4. 뛰어난 연비
5. a/s 용이성
6. 모델라이프 (가급적 신모델)
솔직히 bmw new 3시리즈나 인피니티 g37을 추천했는데 배기량이나 마이너체인지가 되었다고 해도 모델자체가 나온지 조금 된 모델이라 오랜시간 새차기분을 느끼려면 아우디를 추천했죠. 또 해외에서의 평가도 좋았고요..
g37은 개인적으론 가장 좋아하는 모델이지만 연비/세금을 생각하면 친구에겐 추천할 수가 없더군요...
양재동 am모터스에서 차를 보고 시승을 했는데 처음에 보고 옆에 있는 a6와 비교해도 상당히 차가 위풍당당하고 디테일도 괜찮더군요. 시승차는 다이나믹 버젼이 아닌 노멀버젼이었는데 반대로 차의 본질을 알기엔 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시승을 하고 처음에 느낀 점은 36키로에 달하는 토크가 상당하다는 점... g37과 같은 폭력적인 가속감은 없어도 엔트리급에서는 아주 뛰어납니다. 변속감도 훌륭하고 브레이크도 상당히 좋았죠.
서스는 노멀이지만 적절히 단단한 느낌이 들고 쏠림도 이전 아우디와 비교하면 없는 편이고 선회능력이 상당히 좋더군요. 아니나다를까 휠베이스를 보니 a6에 육박하는 2800mm.... 엔트리급에서 이보다 긴 모델은 g37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실내공간은 e39 5시리즈에 육박하는 공간이고요...
본넷을 열어보니 엔진이 엄청나게 앞으로 나와 있더군요. 역시나 2800mm의 휠베이스는 그냥 나온 것이 아니군요. 단, 본넷 위치가 높지 않은 차체인데 엔진이 너무 앞으로 나와 있어 전면 추돌사고시 엔진까지 데미지를 먹을 우려가 큰게 흠이었습니다. (e90 320은 v8엔진까지 수용하는 차체라서 그런지 4기통 엔진은 거의 데쉬보드 밑에 들어가서 엄청난 클럼플 존을 형성하는데 그것과 비교하면 뛰어난 선회능력은 콰트로/섀시 세팅의 산물로 보이더군요..)
선회능력은 기존 a4모델, 구형 c클래스와 비교하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는 느낌이지만 콰트로의 특성인지 아우디의 캐릭터인지, 개인적인 선입견인지 뭔가 다이나믹한 맛은 없습니다. 안정적이고 차분하면서 "의외로" 잘 돌아간다는 느낌.. 비유가 적절치 않을 수도 있으나, 이전에 수프라를 탈때, 주변 사람들이 하던 말이 생각나네요.. 어.. 수프라 주재에 gt-r이나 rx-7대비 의외로 잘 돌아가네... ㅋㅋㅋ
휠은 17인치에 폭245, 편평도 45 (맞나?) 타이어로 일단 g37외의 다른 동급 차량을 압도하는 것이 좋더군요.
연비는 저는 1시간 정도 운전했지만 시승차의 연비 평균이 약 12키로였으므로 아주 훌륭한 범주에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옵션은 mmi를 포함해 아주 훌륭했고 다이나믹 버젼에서는 서스 컨틀롤과 스마트키, 패들쉬프트가 추가되므로 개인적인 욕구를 생각한다면 다이나믹 버젼이 더 가격대비 훌륭한 사양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든 차가 그렇듯 단점도 보이는군요..
1. 외장 navi라서 mmi연동이 안되서 불편하다
2. mmi 조작성은 i-drive보다는 좋다고는 하지만, 올드스타일인 제겐 너무 불편합니다. 고속주행시 조작성 등을 고려할 경우, 저는 익숙해지기 전에 처음 본 차량에서 조작성을 중요시하는데 mmi는 처음 타는 사람에겐 너무 불편합니다. 그냥 렉서스 LS460과 같은 스타일이 제겐 편하더군요.
3. 다이나믹 버젼이 알미늄트림이 아닌 우드고 노멀 버젼이 알미늄이더군요. 단 질감은 아우디 명성에 맞지 않는 그저그런 수준..
4. 노멀 버젼은 스마트키 없이 키를 슬롯에 꼽고 바로 키를 누르면 시동이 걸리는데(유럽차의 경우 스마트키 옵션을 특이하게 적용하다보니 키 슬롯은 있고, 스마트키가 안되는 차량이 많죠), 도어 핸들에 스위치 대신 색깔을 칠해 놨는데 상당히 싸구려틱해 보입니다. ^^;; 역시 이 부분은 다이나믹 버젼으로 사야 될 듯..
5. 컵 홀더 부분이 역시나 a6등과 비교하면 아쉽습니다. 대쉬보드 질감은 a6를 능가하는 듯 하는데 컵홀더 부분처리만 더 잘했어도 고급감이 증가했을 것 같습니다.
6. 다이나믹/노멀 버젼이 같은 휠을 사용해 우리나라와 같은 마켓에서 굳이 윗그레이드를 선택하고픈 욕구가 적어진다.. (외관상 거의 구분 못함...)
7. 에어컨이 좌우 독립이 아닌 일반형...
머, 특별히 하자가 될 정도의 단점은 없다는 것이 이번 모델의 큰 무기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전체적으로 사이즈, 마무리, 동력성능, 편의사양... 신모델이라는 희소성 모두 아주 훌륭한 차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처음으로 아우디가 사고싶다고 느껴질 정도였으니까요.
단, 환율 문제로 경쟁사대비 가격을 맞추기 위해 에어컨 등등의 옵션을 조정한 것이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차의 특성상, 여성오너나 첫 수입차 오너가 많아서인지 다이나믹 버젼의 판매비율이 15%정도 밖에 안될 정도로 낮더군요. 그래서인지 다이나믹의 차별성이 적고, 주문시 인도기간이 상당히 길어지더군요.
개인적인 바램이라면 향후 3.2 콰트로(신형 3.0 슈퍼챠저 버젼이 추가될 수도...) 등 상위 트림의 추가시에는 차의 본연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외관이나 옵션의 차별화가 있었으면 합니다. 휠도 18인치 편평도40 버젼을 추가해주고요..
향후 7속 미션으로 바뀔 가능성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지금 모델 자체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형 c클래스에 비하면 내장 질은 역시 아우디답게 압도적으로 좋고요...
마지막으로 아우디/폭스바겐이라는 메이커에 대한 느낌인데, 환경문제가 중시되는 요즘, 엔진 다운사이징을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이 좋아 보입니다. 기존 6기통 모델보다 co2배출량이 적으면서 효율 높은 엔진, 좋은 패키징 기술.. 등등 윗급 차량을 사용하던 소비자에게도 충분히 어필할 모델을 만들어내는 점이 보기 좋습니다.
저도 애기 아빠가 되면서 과거의 대배기량 고출력 지향에서 효율, 경제성, 환경성능을 따지게 되다보니 당장이라도 e39를 처분하고 a4로 바꿀까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솔직히 노멀 320, c200K 와 비교하면 상품력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차량 특성상, 메이커의 마케팅상 여성들에게 어필을 많이 하겠지만, 더 많은 카매니아라고 자칭하는 사람들에게 사랑받게 되는 모델이었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론 파란색에 18인치 휠 옵션 오더하고, 알미늄트림으로 된 다이나믹 버젼을 사고 싶습니다.^^
암튼 1월 중순 이후에 친구 차가 나오니 세부 시승기는 또 올리겠습니다.

2008.12.31 10:13:50 (*.251.5.1)

그렇게 앞으로 돌출한 엔진이 그나마 뒤로 많이 넣은거라던데, (고수분 확인좀^^) ...
미사여구가 거의 없으면서도 차를 타본 것만 같은, 담백한 시승기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2008.12.31 10:24:16 (*.131.58.116)

시승기 잘 봤습니다. 엔진 사운드나 필링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GTI의 경우 2.0 FSI엔진이 유럽산이라 그런지 아무래도 걸걸한 느낌이 나던데, 그것이 좀 바뀌었는지, 실내에서 느껴지는 엔진음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2008.12.31 10:36:21 (*.136.209.2)

솔직히 엔진음은 그다지 감흥 없습니다. ^^;; 조용합니다.... 나름 가속시에는 엔진 사운드가 나오지만... 그래도 조용하더군요. gti를 안타봐서 비교는 안되지만, 들은 바로는 gti보다 분명히 nvh면에서 신경을 써서 그런지 여성 취향에 가깝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엔진 회전 질감은 아주 부드럽다는 느낌은 안듭니다. 직분사엔진+4기통+ 과급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어쩔 수 없죠.. 하지만 토크감이 아주 좋은 엔진이라 회전질감이 뛰어나지 않아도 시원시원하게 달립니다. rpm을 높일 이유가 별로 없죠.. 이 부분이 좋은 연비와 연결되지 않았을까 하네요..
제가 연비 부분에서 시승차가 12키로라고 그랬는데 생각해보면 좋은 토크 덕분에 시내에서 그리 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당일에도 시승의 대부분이 여성이더군요.. 젊은 남자는 저와 제 친구뿐...
g37쿠페 시승차는 연비가 리터 5키로 조금이었는데.. ㅋㅋ 생각해보면 시내주행만 허용하는 아우디... 대부분이 여성고객 이라는 것과, 과천의왕 고속화 도로를 타게 해 주는 인피니티, 대부분이 차를 좋아하고 밟아대는 남성고객이라는 부분이 하드웨어 적인 연비 외에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엔진 회전 질감은 아주 부드럽다는 느낌은 안듭니다. 직분사엔진+4기통+ 과급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어쩔 수 없죠.. 하지만 토크감이 아주 좋은 엔진이라 회전질감이 뛰어나지 않아도 시원시원하게 달립니다. rpm을 높일 이유가 별로 없죠.. 이 부분이 좋은 연비와 연결되지 않았을까 하네요..
제가 연비 부분에서 시승차가 12키로라고 그랬는데 생각해보면 좋은 토크 덕분에 시내에서 그리 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당일에도 시승의 대부분이 여성이더군요.. 젊은 남자는 저와 제 친구뿐...
g37쿠페 시승차는 연비가 리터 5키로 조금이었는데.. ㅋㅋ 생각해보면 시내주행만 허용하는 아우디... 대부분이 여성고객 이라는 것과, 과천의왕 고속화 도로를 타게 해 주는 인피니티, 대부분이 차를 좋아하고 밟아대는 남성고객이라는 부분이 하드웨어 적인 연비 외에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2008.12.31 10:41:22 (*.109.178.9)

저도 친구녀석이 1월에 흰색 다이나믹이 나올 예정이라 시승 시대하고 있답니다.
현재 아우디 클럽등의 정보에 의하면 내년도 인도분부터는 다이나믹 모델의 경우 18인치휠(아우디 브로셔에 나온 모델로)이 장착되어진다고 하네요. 이에 따른 가격인상에 대해서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태정님께서 지적해주신 단점(네비, 에어컨,타이어 사이즈 등)이 현재 오너나 예비 구입자들의 대다수 불만사항이었습니다. 거기에 더해 머플러의 앤드팁이 없다는 것도 지적되고 있더라구요.
저도 내년 구입을 고려하고 있어서 변동사항을 예의주시하고 있답니다~~알게 되는 정보가 있으면 게시판에 올릴께요~~
현재 아우디 클럽등의 정보에 의하면 내년도 인도분부터는 다이나믹 모델의 경우 18인치휠(아우디 브로셔에 나온 모델로)이 장착되어진다고 하네요. 이에 따른 가격인상에 대해서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태정님께서 지적해주신 단점(네비, 에어컨,타이어 사이즈 등)이 현재 오너나 예비 구입자들의 대다수 불만사항이었습니다. 거기에 더해 머플러의 앤드팁이 없다는 것도 지적되고 있더라구요.
저도 내년 구입을 고려하고 있어서 변동사항을 예의주시하고 있답니다~~알게 되는 정보가 있으면 게시판에 올릴께요~~
2008.12.31 13:44:14 (*.185.165.175)

저도 잠시 느껴본 바로는 우선 제 b6보다 훨씬 엑셀 반응이 좋았던거 같네요
차가 나가는게 묵직하다기보다는 가볍게 푱푱 나가는느낌이랄까..? (s모드)
그리고 서스는 상당히 단단했던거 같은데 어떤녀석이 들어갔는지는 안물어봤습니다
내장은 훌륭하고 차체도 크고 좋던데.. 실은 크다기보다는 길다는 느낌이었네요
개인적으로 혹은 처음 발표당시 욕먹던 디자인의 e90 그래도 지존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맞서 나온 c클 이녀석도 패키징이나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파워덕에 정말 멋진 녀석이라 생각했는데
결코 한발자국도 물러나지 않는 모습으로 나온 a4를 보면서.. 진짜 흥미 진진해진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차가 나가는게 묵직하다기보다는 가볍게 푱푱 나가는느낌이랄까..? (s모드)
그리고 서스는 상당히 단단했던거 같은데 어떤녀석이 들어갔는지는 안물어봤습니다
내장은 훌륭하고 차체도 크고 좋던데.. 실은 크다기보다는 길다는 느낌이었네요
개인적으로 혹은 처음 발표당시 욕먹던 디자인의 e90 그래도 지존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맞서 나온 c클 이녀석도 패키징이나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파워덕에 정말 멋진 녀석이라 생각했는데
결코 한발자국도 물러나지 않는 모습으로 나온 a4를 보면서.. 진짜 흥미 진진해진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2008.12.31 18:29:36 (*.199.70.62)
저도 이규원님과 같은 궁금증입니다만... GTI 의 공회전 소리를 그릴앞에서 들으면 회전음색이 좀 부드럽지 못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더군요. 물론 고회전에서는 상당부분 묻혀버리지만... 규원님의 표현대로 걸걸 ... 또는 갸르륵 갸르륵? 암튼 신차보다 2만정도 뛰면 더 소리가 커져버리는 지인모빌을 보며 직분사에 대한 환상이 많이 깨진적이 있었답니다. 뉴 A4 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2008.12.31 23:31:29 (*.152.151.7)
저의 경우 이번에 와이프 차량으로 C200K , new A4, New 320 사이에서 고민 많이 했었습니다.
320 이 디자인이나 주행감각에서 가장 맘에 들었습니다.
왜 독일내에서 엔트리세단에서 판매 1위를 앞도적인 차이로 놓치지 않는지 바로 알겠더군여....
320이 풀체인지 모델이었으면 고민없이 질렀을거 같습니다.
결국은 풀체인지 모델인 C랑 A4사이에 고민하다가 무난한 C로 구입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꽈트로 보다는 후륜구동차량이 저한테는 더 잘맞는거 같습니당... ㅎ
320 이 디자인이나 주행감각에서 가장 맘에 들었습니다.
왜 독일내에서 엔트리세단에서 판매 1위를 앞도적인 차이로 놓치지 않는지 바로 알겠더군여....
320이 풀체인지 모델이었으면 고민없이 질렀을거 같습니다.
결국은 풀체인지 모델인 C랑 A4사이에 고민하다가 무난한 C로 구입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꽈트로 보다는 후륜구동차량이 저한테는 더 잘맞는거 같습니당...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