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2시간 가량의 시승 후 돌아온 내자리,
엔진은 둔하고 존재감은 나약하다. 기어는 갑자기 무겁고, 소리는 거슬린다. 코너에서 전혀 의도 하고 싶지 않았던 큰 오버스티어를 만나기도 하고.. 만족도 100% 였던 S2000인데.. 음...
이거 이거.. 정신차려 NGK! 버릇 잘 못 들라~~
좋은 차를 탈 땐 좋은 추억을 얻을 진 몰라도, 설마 지금의 작은 행복을 잃을 각오까지도 해야하는 것인가? 크..
오늘 오전을 다시 돌이켜보자.
음~ 포르쉐 까레라 911 (997)
PDK는 비디오 게임의 시뮬레이터로서의 포르쉐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할까? 하하.. 너무 부드럽게 조작되어 더 그런 느낌. 재밌고, 쉬웠다. 그리고 물론 빠르다. 운전에 집중할 기회를 좀 잃는대신 얻는 건 참 많을 듯. 그런데 언젠가는 질릴 것 같은 느낌도 살짝 있었다.
평일 오전이었음에도 차가 많아서 부득이 동승석의 직원을 달래며 틈새 가속 위주의 주행이었는데 아쉬움을 달랠 기회를 잠시 만난다.
분당→내곡간 도로의 시작부분의 긴 터널에서 275를 마크. 평상시 내 환경에서의 오랜 반복경험을 통해 고속으로 갈수록 더딜거라는 예상을 기본적으로 하기에 큰 기대없이 스피드미터를 봤는데. 뭐야. 이 속도는.. 훗. 정말 대단하군! 난 웃음이 날 뿐이고...
두 번째로 기억에 남는 런치 스타트.
피가 쏠리며 전방으로 발사되는 나, 그리고 포르쉐.
수동변속기의 반클'런치' 스타트 :) 와는 차원이 달랐다... 그런 스타트는 처음.
직원이 권해서 해봤는데. 원래 극단적으로 소모적인 느낌이 있는 주행은 잘 안하지만(ex: 적당히 드리프트는 해도 번아웃은 안하는 식의..) 이것 안해봤으면 아쉬웠을거다. 최고다. 필살기 같은 느낌. 자주 쓰면 안되고 가끔 정말 강한 것을 원할 때 한 번 쏴주면 이 이상의 대안이 있을까 싶은 그것..
사운드는 그렇~게 넋이 나갈 정도로 맘에 들진않았지만, 역시 기대만큼의 Very Germany ..
정교한 금속의 맹렬한 움직임의 느낌은 매력적이었으며..
기왕 등 뒤에서 추진력을 주는 존재감이 컸더라면 하는 아쉬움 약간. 너무 조용해~
코너에서는 완벽히 믿음이가고 굉장히 빠르다. 그게 다다.. 그렇게 짜릿하진 않다.
좀 더 디테일을 본다면 산만한 움직임이 있다. 리어가 흔들흔들.. 핸들링은 대단하지만 차량의 나머지가 움직이는 느낌은 감동적이진 않다..
오며가며의 고속코너와 램프에서 쏴본 정도라 다양한 R을 제대로 달려보고 다시 판단해보고 싶다.
브레이크는 감동은 없지만, 신뢰엔 이의가 없다. 브레이크를 임프레션 하기 보단. 그냥 별 걱정없이 쏠 수 있다~
시트와 포지션은 완벽.. 시트에 닿은 느낌과 일체가 된 느낌은 오히려 소프트한 주행에서 신경세포를 아주 기분좋게 흥분시킨다... 행복한 시트이고, 참으로 명품속의 명품이다.
디자인은 개인적으로 996 까지 좋았고, 997부턴 조금씩 질린다.
996보다 나쁜 디자인이어서가 아니라(사실 포스는 996이 한수 위), 더 큰 무엇을 기대하는 내겐 너무 발전이 없게 느껴진다.(그것이 포르쉐의 정책인 것은 상관없이)
포르쉐 직원은 외근 다닐 때 포르쉐를 타고 다닌다는데 이것 참..
부럽잖아~ 나도 어떤 메이커의 일부가 되어볼까? .. 어디? 포르쉐? BMW?.. 더 생각이 안난다.
짜릿하면서 내구성 좋은 차만있는 메이커... 포르쉐가 유일한 듯도.
=====================================================================================
다이어리에 썼던 글이라 좀 가볍습니다. 양해해 주세요~~ ^^

996 터보의 브레이크와 997S 브레이크가 로터사이즈,캘리퍼크기등이 똑같습니다. 그런데 느낌은 997S 가 비교가 안되게 잘서는 느낌입니다. 브레이크 답력차이로 보이는데 그래도 꾸욱 밟아줘야 하지만 저속보다는 고속에서 더 잘서주는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997S 수동으로 경북 경주의 와인딩을 타볼때 (빠르기를 떠나서) 정말 감칠맛나게 돌아나가는 느낌이 제 생애 최고였던것 같습니다. 같은 코스에서 타본 GT3 나 F430 보다 더...

다만 997 2세대 모델의 DFI 엔진이 사운드가 좀 건조하다.. 혹은 소리가 작아졌다? 라는 말들도 하는데 이전 모델이 토크컨버터가 있는 상태로 항상 2000 rpm 정도로 출발을 하는 것과 비교되어 그렇고 제대로 클러치 록 되고 나서 3000~4000 rpm 에서의 풀가속 사운드는 결코 작지가 않습니다. 음색이 조금 건조해져서 오히려 스포티한 느낌일 뿐 사운드가 꽤 강합니다.
2-3년째 911을 타면서 느끼는 점은 이 차는 이 차만의 운전하는 방법도 좀 있고 나름의 재미도 있다..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38:62 의 하중배분의 911은 리어헤비의 오버스티어가 부담스럽고 겨우 3%의 하중이 앞으로 더 간 41:59 의 NSX는 완벽한 핸들링의 미드십이라고 말을 하는 언론도 있고 또 그 지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매니아들도 많지만 두 차종을 모두 갖고 있었던 사람은 그렇게 말하지 않죠.
45:55 의 캐이먼과 비교해봐도 리어가 헤비해서 튀어나오는 오버스티어의 성향이 강하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뒷통수 저쪽의 하중의 위치가 리어엔진의 911은 잘 느껴지고 그걸 또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좋은 자세를 잡아가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깔끔한 코너링만을 원한다면 케이먼쪽이 상큼하게 끝나지만요..

완전 공감하는 문구네요.
잘 읽었습니다. *^^*


또한 시작부터 하중이 뒤로 웅크린 911 모델들은 330mm 급의 디스크를 쓰고 풀 브레이킹을 걸 경우에도 뒤에 위치한 낮은 파워트레인 (플랫6엔진 + 드라이섬프 윤활방식)은 앞으로 전이되는 하중이 적고 기존부터 뒤쪽이 무거운 하중이 앞으로 조금 옮겨질 뿐이어서 네 바퀴가 바닥을 움켜잡으면서 감속하게 됩니다. 브레이킹이 끝나면서 턴인으로 이어지는 서킷의 드라이빙에서 턴인의 시점에서 최대한의 레이트브레이킹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냥 200km/h 에서 100km/h 수준으로 한번에 줄이는 브레이킹은 BMW 나 MB도 잘 하지만 250km/h 에서 100km/h 감속을 10번 반복한다면 성능의 유지가 어렵습니다. 포르쉐의 브레이크는 그런 기준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훨씬 무거운 MB, BMW 차량을 더 작은 타이어로 동등한 수준으로 세우려면 무척 큰 디스크와 캘리퍼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unsprung weight 의 증가와 메인터넌스의 비용 증가를 수반하게 되죠.
포르쉐보다 더 가볍게 만들어서 스포츠성을 더 추구하는 브랜드들도 있습니다만 편의성과 공간, 안락함을 많이 포기하게 되는 면이 있고 또 그 이상 편의성과 공간, 안락함을 추구하게 된다면 이 이상 퍼포먼스를 얻기가 힘든 점에 절묘하게 포지셔닝하고 있는 것이 이 브랜드의 최고의 강점입니다.
가죽이란!!)에 놀라버렸습니다^^.....오랜시간 몰아본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몰라도 제 S2000
으로 옮겨타고 나서 '음....역시 S2000과는 캐릭터가 다른 차구나....포르쉐 좋아....산다면
일반 오토매틱도 그리 나쁘진 않겠어' 딱 요정도 감성^^
어쨌든 부러워요~ PDK를 NGK가 시승하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