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주관적인 시승느낌입니다만
시승기준은 돌발상황에서 일반 운전자의 경우 안정감있는 위기탈출이 가능한가입니다. 그다음이 가족들의 안락성(실내공간 및 DVD 등 엔터테인먼트 포함), 운전의 재미 순입니다.
-a4 의 경우 엔트리 모델이었고 생각보다 토크와 고속안정감이 돋보였습니다. 가속감은 초반 조금 굼뜸감은 있지만... 회전반경도 생각보다 작아서 운전하기 편하더군요. 물론 브레이킹은 G37 세단보다도, 아니 시승차량중에 제일 좋았구요. (참고로 타이어가 RE050 이더군요^^) 하지만 실내공간( 특히 뒷좌석)의 협소함이 가장 아쉬웠습니다. 아이들이 5살,3살이라서 카시트 2개를 사용하기에는 좀 무리더군요. 제가 기계자체를 좋아하는 편이라서 버튼이 많은 인테리어는 마음에 들더군요. 또한 계기판의 표시( 5천알피엠과 160 km 가 정확히 12시 방향에 위치)등도 직관적이고 좋았습니다. 하지만 편의옵션은 별로 없었습니다. 80km/h 슬러럼의 경우 아우디의 유명한? 언터스티어는 별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슬라럼테스트 만이라면 비교차종중 1등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528과는 차중량과 포지션이 다르지만...
-G37 의 경우는 동력성능은 만족스럽고( 또한 매뉴얼 모드에서 알피엠리밋 퓨얼컷에서 강제로 업쉬프트 되지 않는 미션셋팅도 좋았습니다.) 뒤좌석은 생각보다 넓었지만 실내소음이 거슬리더군요. 엔진음이야 원래 듣기 좋아하지만 지금 타고있는 아제라3.8 과 상당히 유사한 음색의 엔진느낌을 받았고(나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오히려 국산차와 비슷하다는 것에 현대차가 많이 좋아졌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고 할 수 있죠^^) 타이어와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음은 좀 거슬리더군요. 그외 뒤좌석 히팅시트가 안되는 점도 좀 아쉽더군요. 생각보다 밋밋한 외관과 앞으로 있을 페이스리프트도 구매의욕을 조금 낮추기는 했습니다. 주행에서는 스라럼에서 의외로 좌우롤링이 심한탓에 뒷좌석에 탄 처남이 불쌍해 보이기도 했답니다. 스포츠 모델이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티어링의 경우 조향계통이 일반 유압식인지는 모르겠지만 정차시 좌우로 빠르게 흔들때 약간의 유격과 잡소리?가 나더군요. 시승차가 800km 뛴 신차인걸 감안하면 조향계통은 제네시스가 조금 더 고급스럽지 않을까 합니다. ( 핸들링을 말하는 건 아니고 하드웨어적인 감성을 얘기하는 겁니다.)
- 528i의 경우 주행감각은 솔직히 A4와 비슷하더군요. 좌우 롤링등에서는 인피니티 보다 안정감이 돋보였으며 약간 떨어지는 동력성능이지만 실용영역에서 충분한 정숙성과 가속감을 주었습니다. 약간은 G37 에는 못미치는 성능이지만...암튼 브레이킹은 좀 실망했습니다. 타이어는 던롭이었는데 디스크와 캘리퍼는 잘 잡아주는데 영 타이어가 쭉 미끌어 지는듯 했습니다. 확실히 제동거리는 길더군요. 슬러럼의 경우 2등입니다.(타이어의 영향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급출발시와 급제동시 노즈업, 다운은 좀 타 차종에 비해 약간 심한듯 했습니다. 또한 6000만원이상의 차에서 DMB,DVD, 뒷좌석 히팅이 안되는 것은 많이 아쉽습니다. 구매후 히팅시트와 리어 DVD, 모니터는 고민해 봐야 겠습니다. 엔진룸에서는 엔진오일 쿨러로 보이는 알루미늄 뭉치가 엔진 위쪽,앞쪽에 자리잡고 있어서 화상을 입기에 딱이더군요. 조금 의외였습니다. 최근 다소 파격적인 프로모션이 저를 유혹하고 있습니다만 528is 모델은 1천만원정도 비싼탓에 리스료도 월30만원정도 비싸져 고민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과연 is 버전의 서스펜션은 A4를 능가하는 감동을 줄 수 있을까요? 고민됩니다.
- CC TDI 는 전체적으로는 디자인도 괜찮고 무난하지만 브레이킹에서 많이 실망했습니다. 직선에서 3번에 걸쳐 딜러분과 테스트 해보았는데 풀브레이킹시 고속,중속, 중저속 모두에서 잠깐 오른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더군요. 제동시 좌우밸런스가 문제라면 ... 글쎄요 시승차만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만...(참고로 TPMS 가 기본이므로 공기압의 영향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엔진의 경우 신차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디젤에 대한 저의 편견을 바꿀만큼 매력적이더군요. 쉬프트패들도 구미가 당기기는 하는데 워낙 4500알피엠 컷이다 보니 그리 원하는 만큼 다운쉬프트의 기회가 많지는 않더군요.
그리고 착좌감의 경우 주관적이지만 그리 편안한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통풍시트의 유혹은 있지만 뒷좌석 마저도 센터가 좌우로 분리를 해놓아서 패밀리카로는 다소 부적합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와이프도 같은 생각이라고 하더군요. 낮은 루프도 다소 답답함을 주더군요. 한국의 경우는 고전할듯 합니다.
서스펜션의 경우 조절버튼으로 비교적 차이가 느껴지는 셋팅이지만 슬러럼에서는 여지없이 전륜구동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만약 3 시리즈를 시승해 봤다면 어떨까요? ^^ 암튼 생각이 나는대로 조금씩 수정해서 다시 올리겠습니다.
시승기준은 돌발상황에서 일반 운전자의 경우 안정감있는 위기탈출이 가능한가입니다. 그다음이 가족들의 안락성(실내공간 및 DVD 등 엔터테인먼트 포함), 운전의 재미 순입니다.
-a4 의 경우 엔트리 모델이었고 생각보다 토크와 고속안정감이 돋보였습니다. 가속감은 초반 조금 굼뜸감은 있지만... 회전반경도 생각보다 작아서 운전하기 편하더군요. 물론 브레이킹은 G37 세단보다도, 아니 시승차량중에 제일 좋았구요. (참고로 타이어가 RE050 이더군요^^) 하지만 실내공간( 특히 뒷좌석)의 협소함이 가장 아쉬웠습니다. 아이들이 5살,3살이라서 카시트 2개를 사용하기에는 좀 무리더군요. 제가 기계자체를 좋아하는 편이라서 버튼이 많은 인테리어는 마음에 들더군요. 또한 계기판의 표시( 5천알피엠과 160 km 가 정확히 12시 방향에 위치)등도 직관적이고 좋았습니다. 하지만 편의옵션은 별로 없었습니다. 80km/h 슬러럼의 경우 아우디의 유명한? 언터스티어는 별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슬라럼테스트 만이라면 비교차종중 1등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528과는 차중량과 포지션이 다르지만...
-G37 의 경우는 동력성능은 만족스럽고( 또한 매뉴얼 모드에서 알피엠리밋 퓨얼컷에서 강제로 업쉬프트 되지 않는 미션셋팅도 좋았습니다.) 뒤좌석은 생각보다 넓었지만 실내소음이 거슬리더군요. 엔진음이야 원래 듣기 좋아하지만 지금 타고있는 아제라3.8 과 상당히 유사한 음색의 엔진느낌을 받았고(나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오히려 국산차와 비슷하다는 것에 현대차가 많이 좋아졌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고 할 수 있죠^^) 타이어와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음은 좀 거슬리더군요. 그외 뒤좌석 히팅시트가 안되는 점도 좀 아쉽더군요. 생각보다 밋밋한 외관과 앞으로 있을 페이스리프트도 구매의욕을 조금 낮추기는 했습니다. 주행에서는 스라럼에서 의외로 좌우롤링이 심한탓에 뒷좌석에 탄 처남이 불쌍해 보이기도 했답니다. 스포츠 모델이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티어링의 경우 조향계통이 일반 유압식인지는 모르겠지만 정차시 좌우로 빠르게 흔들때 약간의 유격과 잡소리?가 나더군요. 시승차가 800km 뛴 신차인걸 감안하면 조향계통은 제네시스가 조금 더 고급스럽지 않을까 합니다. ( 핸들링을 말하는 건 아니고 하드웨어적인 감성을 얘기하는 겁니다.)
- 528i의 경우 주행감각은 솔직히 A4와 비슷하더군요. 좌우 롤링등에서는 인피니티 보다 안정감이 돋보였으며 약간 떨어지는 동력성능이지만 실용영역에서 충분한 정숙성과 가속감을 주었습니다. 약간은 G37 에는 못미치는 성능이지만...암튼 브레이킹은 좀 실망했습니다. 타이어는 던롭이었는데 디스크와 캘리퍼는 잘 잡아주는데 영 타이어가 쭉 미끌어 지는듯 했습니다. 확실히 제동거리는 길더군요. 슬러럼의 경우 2등입니다.(타이어의 영향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급출발시와 급제동시 노즈업, 다운은 좀 타 차종에 비해 약간 심한듯 했습니다. 또한 6000만원이상의 차에서 DMB,DVD, 뒷좌석 히팅이 안되는 것은 많이 아쉽습니다. 구매후 히팅시트와 리어 DVD, 모니터는 고민해 봐야 겠습니다. 엔진룸에서는 엔진오일 쿨러로 보이는 알루미늄 뭉치가 엔진 위쪽,앞쪽에 자리잡고 있어서 화상을 입기에 딱이더군요. 조금 의외였습니다. 최근 다소 파격적인 프로모션이 저를 유혹하고 있습니다만 528is 모델은 1천만원정도 비싼탓에 리스료도 월30만원정도 비싸져 고민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과연 is 버전의 서스펜션은 A4를 능가하는 감동을 줄 수 있을까요? 고민됩니다.
- CC TDI 는 전체적으로는 디자인도 괜찮고 무난하지만 브레이킹에서 많이 실망했습니다. 직선에서 3번에 걸쳐 딜러분과 테스트 해보았는데 풀브레이킹시 고속,중속, 중저속 모두에서 잠깐 오른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더군요. 제동시 좌우밸런스가 문제라면 ... 글쎄요 시승차만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만...(참고로 TPMS 가 기본이므로 공기압의 영향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엔진의 경우 신차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디젤에 대한 저의 편견을 바꿀만큼 매력적이더군요. 쉬프트패들도 구미가 당기기는 하는데 워낙 4500알피엠 컷이다 보니 그리 원하는 만큼 다운쉬프트의 기회가 많지는 않더군요.
그리고 착좌감의 경우 주관적이지만 그리 편안한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통풍시트의 유혹은 있지만 뒷좌석 마저도 센터가 좌우로 분리를 해놓아서 패밀리카로는 다소 부적합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와이프도 같은 생각이라고 하더군요. 낮은 루프도 다소 답답함을 주더군요. 한국의 경우는 고전할듯 합니다.
서스펜션의 경우 조절버튼으로 비교적 차이가 느껴지는 셋팅이지만 슬러럼에서는 여지없이 전륜구동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만약 3 시리즈를 시승해 봤다면 어떨까요? ^^ 암튼 생각이 나는대로 조금씩 수정해서 다시 올리겠습니다.
2009.05.07 16:48:57 (*.91.172.30)

G35나왔을때 오토조인스 시승영상에서도 premium 과 sports모델의 하체셋팅의 차잇점에 중점을 둔 얘기가 나오죠. G37s도 파워트레인만 바뀐 모델이기에 비슷한 차잇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동호회의 트렌드화 되다시피한 강성이 높은 굵은 스웨이바를 앞뒤로 장착하니, 그나마, 도로친화적인 라이딩을 하던 Sports모델이 스프링레이트가 크게 변한양 무척 하드해지고 날렵하다못해 트렉션을 살짝 놓치는 코너링실력을 보여 후륜스웨이바의 두 개 구멍중 약한쪽으로 다시 장착하여 타고 있습니다. 프리미엄모델과는 휠-타이어의 차이도 크지만 순정스포츠 서스도 괜찮은 실력을 보여줍니다. 그게 약하다면 저처럼 벌건 스틸렌 쇠파이프로 바꾼 차를 몰아보시면 또 한 번 짜릿한 맛이 느껴지지요. 뒷자석 승객은 차선 변경시에만도 멀미가 날 지경이지만요(제가 직접 앉아본 느낌이 그렇단...).
다른 차량은 잘 모르겠습니다. 시승도 못해본 차들이라... 란에보와 끝까지 경합중에 G37s로 두번째 G를 타게 되었고, 에보를 선택하지 않은것에 후회는 없습니다. A4와 CC가 있었지만, 제로백 7초대 차량으론 목마른 뭔가와 제 나름 평가된 가격보다 조금씩 비싼듯 느껴졌습니다. 4륜의 예술인 에보에 대한 미련은 GT-R로 승화(?)시켜볼 야무진?생각으로 장기차량마련계획을...
다른 차량은 잘 모르겠습니다. 시승도 못해본 차들이라... 란에보와 끝까지 경합중에 G37s로 두번째 G를 타게 되었고, 에보를 선택하지 않은것에 후회는 없습니다. A4와 CC가 있었지만, 제로백 7초대 차량으론 목마른 뭔가와 제 나름 평가된 가격보다 조금씩 비싼듯 느껴졌습니다. 4륜의 예술인 에보에 대한 미련은 GT-R로 승화(?)시켜볼 야무진?생각으로 장기차량마련계획을...
2009.05.08 02:45:52 (*.24.160.153)
안녕하세요 시훈님~ 답글 감사합니다.^^ 시훈님 사진을 보면 언제나 제가 아는 한 사람이 떠올라 왠지 친근감이 느껴집니다. 각설하고....제글을 다시 보니 G37이 별로 좋지 않게 평가되어 있는듯 해서 저도 좀 찜찜했습니다. -,-;;; 시승기의 일부는 저의 제한된 경험범위에서 하자운전실력의 주관적 결과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번 시승의 목적은 나름 패밀리카의 용도로서 달리는 재미를 줄 수 있는 차가 무엇일까가 컨셉이었습니다. 사실 어찌보면 G37이 그런 컨셉에 가장 부합하는 코드로 만들어진 차가 아닐까 합니다. 손에 땀을 쥐게하는, 아드레날린이 충분히 분출되는 면에서는 가장 저를 흥분시킨 차였습니다. 하지만 가족이 같이 편하게 조용하게도 탈 수 있는차여야 한다는 우선되는 전제에서는 후순위로 밀려야 했죠. 주변 BMW 지인의 압력도 있었습니다만... --;;;; 이후에 C200k, CTS 도 시승해 보았습니다. 제가 타본중에는 주관적 종합점수로 치자면 528과 c200k가 1,2위를 했답니다. 하지만 사실 아직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시승의 여운을 그냥 모두다 잊어버리고 패밀리카로서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모하비나 제네시스 세단으로 갈지도 모릅니다.
이번 시승들은 예전에 강원도의 중고속 와인딩에서 튜닝 엘란트라의 한계치에 도달했을때 그때의 흥분과 허탈감을 다시 새록새록 되새길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에 기회되면 염치불구하고 G37s옆자리라도 동승 부탁드립니다. ^^
이번 시승들은 예전에 강원도의 중고속 와인딩에서 튜닝 엘란트라의 한계치에 도달했을때 그때의 흥분과 허탈감을 다시 새록새록 되새길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에 기회되면 염치불구하고 G37s옆자리라도 동승 부탁드립니다. ^^
2009.05.08 10:27:56 (*.91.172.30)

G37S는 가까운 딜러에 가면 언제든 시승 가능할껍니다. 패밀리형에 중점을 두신다면 스포츠모델을 타보시고 맘에 드실 경우 스웨이바는 순정으로 있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참, 딜레마중 딜레마죠... 한 대로 여럿을 만족할수 없는게 현실이니... 조금씩 양보가 빠른 답이 아닐까 합니다. 528, C200k 모두 훌륭한 차라고 생각합니다. 패밀리세단쪽으로 기우신다면... 마일리지가 많으신 패턴이시면 토크좋은 아우디계열(VW)쪽 디젤차량도 좋다는 생각이네요. 좋은 차 고르시길, 오래 심사숙고하면 후회는 덜 하더라구요, 참, 제 사진은 실물보다 잘 나온거 같습니당,,, 뵙게 된다면 민망해질까 걱정되옵니다. ㅎㅎ
일전에 뵈었을 때 이야기했던 카이맨이 언급되길 내심 바랬는데... 흐흐~
ps> 본가 방문하실 때 귀염둥이들 델구 저희집에도 한번 놀러오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