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테드 회원이신 표세원님의 요청에 의해 저걸(?) 만들어 보았습니다..
차체의 뒤틀림 강성 확보를 위한 구조물을 장착하고 싶다는 오너의
요구가 있었고..
전 노멀한 차체에 저정도는 오버라고 누차 강조를 하였으나...
뭔가 포쓰(?)를 느끼고 싶다는 세원님의 요구에 따라 좀 무식하게 만
들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탈착이 가능하겠끔 만들었구요...
만들어 놓고 보니 차체 뒤틀림 강성 보강보다는 급제동시 트렁크에서
날아오는 화물에 의해 드라이버가 상해를 입는 불상사를 방지하는
화물칸 격봉 및 부수적으로 빨래걸이 용도로 아주 유효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ㅡㅡ;
참 험학하게 만들었지만 추후 이쁘게 도색하고 차체 용접부위에 방청
처리를 하게되면 좀 괜찮아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ps : 같은 회원이신 김균택님이 작업할때 피땀흘려가며 열씸히 도와주셨습니다..

2008.03.02 18:07:22 (*.53.80.81)

헉! 튼실하네요. ^^ 만들어 파셔도 좋겠어요~ 그나저나.. 세원님 XD86은 다시 하드코어로 가실 생각은 없으신건지.. ㅎㅎ 궁금하네요. ^^
2008.03.02 18:22:38 (*.227.254.94)

혖제 제차에 들어간 녀석하고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만드셨네요.....저의 경우는 정말 확실한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후륜이라서 감이 더 오는건지도 모르겠지만....의도적으로 뒤쪽을 날렸을때 리버스 스티어가 확연하게 없어졌음을 느낄수 있더군요....암튼...좋은 아이탬입니다....^^;
2008.03.02 19:10:54 (*.214.96.64)
ㅋㅋㅋ 배진우님 고생하셨습니다^^
일단 차량 중량 자체가 500kg 정도 무거워진 듯 한 묵직함을 줍니다.
그리고 시속 220km/h에서도 매우 안정적입니다.
(참고로 현재 순정댐퍼 및 순정스프링에 우레탄 하체부싱만 들어가있는
상태입니다.
속된말로......XD에 각종 빌스타인이니 테인이니 H&R이니 댐퍼+스프링만
달랑 한 차들보다 고속 안정성이 좋습니다.
일단 차량 중량 자체가 500kg 정도 무거워진 듯 한 묵직함을 줍니다.
그리고 시속 220km/h에서도 매우 안정적입니다.
(참고로 현재 순정댐퍼 및 순정스프링에 우레탄 하체부싱만 들어가있는
상태입니다.
속된말로......XD에 각종 빌스타인이니 테인이니 H&R이니 댐퍼+스프링만
달랑 한 차들보다 고속 안정성이 좋습니다.
2008.03.02 20:22:08 (*.119.9.122)

훗.... 이넘이 완료가 되었군요.. 배진우님 고생하셨어요 .. 끝까지 도오 ㅏ드려야 하는데 집에서 호출이 와서 ㅎㅎㅎ..^^ 제차도 ?
2008.03.03 00:00:36 (*.44.218.95)

멋집니다. 저렇게 해놓으면 해치백의 큰 장점인 화물적재가 굉장히
힘들어지지만, 표세원님 XD는 그렇게 쓰시는 차도 아니니 문제
없을것 같네요.
힘들어지지만, 표세원님 XD는 그렇게 쓰시는 차도 아니니 문제
없을것 같네요.
2008.03.03 01:22:12 (*.68.61.62)

용접에 상식이 부족하여 질문드립니다... X자로 할 때에 두 파이프를 어떻게 겹치나요^^? 하나는 그대로고 하나만 반씩 짤라져서 용접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궁금합니다~~
2008.03.03 01:43:06 (*.229.116.62)

호..댐퍼마운트 보강이 동시에 이루어지니, 일거양득아이템입니다. 멋져요. 자~ 이제..세원님 차는.. 바닥 콜탈만 제거하면..=3=33 ^0^
2008.03.03 02:38:08 (*.120.254.241)

X 자로 할때는 오경모님 말씀처럼 한개의 파이프는 그대로고 나머지를 반씩 잘라서 용접되는(접촉되는)면의 형상과 똑같이 (노칭)가공을 한후 용접을 합니다. 경기용 차의 경우 용접접합부위에 적당한 형상으로 재단한 철판에 중간에 홀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하여 강성을 높인 보강재를 덧대어 용접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