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얼마전 회사가 이사를 하면서.... 주말에 짐 정리한다고.. 차를 가지고 나갔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 차를 자주 안끌고 다녀서... 기계식에 들어갈땐 유의해야한다는것을 간과했었나봅니다..
사실 좌우 휠쪽은 신경을썼는데.. 전방에..... 더이상 진입 못하게 하는곳이 무지 높았던것을 못봤네요..
결국... 차를 진입하면서... 에어홀이 파손되었고... 이후... 흡기라인자체가 찢어지는 문제도 발생되었지요..
나름대로 여러가지 머리를 굴리면서 조언도 듣고 하면서 만들었던것인데...ㅎㅎ
차에 요즘 신경안써주고 지내는데.. 반짝해진 흡기 라인을 보니.... 기분은 좋네요....^^
1. 우퍼용 에어홀을 이용한 외부 에어홀
(두랄루민으로 된 튜닝용을 사용했었는데 너무 눈에 띄어서 교체...)
* 에어포트의 아랫부분을 보시면 순간접착제로 붙힌.. 처절한 모습이 보인답니다... 저 멀리 속으로 우측하단에 구멍이 살짝 보이긴하는군요...

2. 지난주말에 생긴문제여서... 엊그제 장거리를 뛰기전에 임시방편으로 테잎으로 막았는데.. 잘 버티면 그냥 다니려고 했는데..Y00을 살짝 넘나들어봤더니... 바로 너덜거리는군요..... 외부 하단에서 촬영입니다.

3. 여기서부터는 제 흡기라인의 어설프지만 구성을 보여드립니다... 나름대로 수년간의 테스트를 거친 결과여서.. 제 나름대로는 만족하는 구성이랍니다..
엔진내부 단열박스의 내부입니다.. 하단으로 전방에서 들어오는 100파이의 에어라인과 우측은 우측휀더(100파이)를 통해서 인입되도록 하였습니다... 순간적인 흡입시 진공형성이 최소화 될수 있게끔 구성하였구요..
필터는 K&N 중용량입니다...

4. 단열박스 아래로 연결된 흡기 라인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알루미늄 연통을 이용해서 순간적인 흡입발생시 라인자체가 울컥거리면서 순간적인 진공이 형성되는 현상도 없애기 위한 선택이었답니다....
(호일같이 얇은 자바라 방식과, 고무로된 방식도 사용하였으나 위의 문제 발생소지가 있어서 변경하였답니다.)

5. 단열박스를 들어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아래로 연결되었답니다.

6. 기존의 흡기라인을 들어내보니... 아래와 같이 파손되었었답니다..


7. 근처 철물점을 한시간 넘게 돌아서 구입해왔습니다... 많이 올랐네요...M당 3000~3500원 달랍니다...
손이 커서..ㅜㅜ 1M면 족한것을... 너무 많이 사왔습니다...

8. 아랫부분을 작업하고... 나머지는 위로 쭈~욱 올려봤습니다... ^^

9. 이제 길이를 재단하고나서... 단열박스를 다시 장착했습니다.... 내부에 돌아다니면 흙들도 뒤로 잘 쏟아버렸습니다.... 이것저것해본다고 한게 벌써 꽤 오랜시간이 흐르다보니.. 여기저기 흐름의 티가 나는군요...
단열박스 내부에 선은... 단열박스 내부 온도를 체크할수 있는 온도센서랍니다..


그러고 보니.. 최종 완성후 사진이 없네요.... 우퍼를 이용한 에어홀은 다시 달았답니다...^^
Assy로 판매되는 제품처럼 깔끔하진 않지만....... 그냥 기념촬영해본김에 올려봅니다.....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 차를 자주 안끌고 다녀서... 기계식에 들어갈땐 유의해야한다는것을 간과했었나봅니다..
사실 좌우 휠쪽은 신경을썼는데.. 전방에..... 더이상 진입 못하게 하는곳이 무지 높았던것을 못봤네요..
결국... 차를 진입하면서... 에어홀이 파손되었고... 이후... 흡기라인자체가 찢어지는 문제도 발생되었지요..
나름대로 여러가지 머리를 굴리면서 조언도 듣고 하면서 만들었던것인데...ㅎㅎ
차에 요즘 신경안써주고 지내는데.. 반짝해진 흡기 라인을 보니.... 기분은 좋네요....^^
1. 우퍼용 에어홀을 이용한 외부 에어홀
(두랄루민으로 된 튜닝용을 사용했었는데 너무 눈에 띄어서 교체...)
* 에어포트의 아랫부분을 보시면 순간접착제로 붙힌.. 처절한 모습이 보인답니다... 저 멀리 속으로 우측하단에 구멍이 살짝 보이긴하는군요...
2. 지난주말에 생긴문제여서... 엊그제 장거리를 뛰기전에 임시방편으로 테잎으로 막았는데.. 잘 버티면 그냥 다니려고 했는데..Y00을 살짝 넘나들어봤더니... 바로 너덜거리는군요..... 외부 하단에서 촬영입니다.
3. 여기서부터는 제 흡기라인의 어설프지만 구성을 보여드립니다... 나름대로 수년간의 테스트를 거친 결과여서.. 제 나름대로는 만족하는 구성이랍니다..
엔진내부 단열박스의 내부입니다.. 하단으로 전방에서 들어오는 100파이의 에어라인과 우측은 우측휀더(100파이)를 통해서 인입되도록 하였습니다... 순간적인 흡입시 진공형성이 최소화 될수 있게끔 구성하였구요..
필터는 K&N 중용량입니다...
4. 단열박스 아래로 연결된 흡기 라인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알루미늄 연통을 이용해서 순간적인 흡입발생시 라인자체가 울컥거리면서 순간적인 진공이 형성되는 현상도 없애기 위한 선택이었답니다....
(호일같이 얇은 자바라 방식과, 고무로된 방식도 사용하였으나 위의 문제 발생소지가 있어서 변경하였답니다.)
5. 단열박스를 들어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아래로 연결되었답니다.
6. 기존의 흡기라인을 들어내보니... 아래와 같이 파손되었었답니다..
7. 근처 철물점을 한시간 넘게 돌아서 구입해왔습니다... 많이 올랐네요...M당 3000~3500원 달랍니다...
손이 커서..ㅜㅜ 1M면 족한것을... 너무 많이 사왔습니다...
8. 아랫부분을 작업하고... 나머지는 위로 쭈~욱 올려봤습니다... ^^
9. 이제 길이를 재단하고나서... 단열박스를 다시 장착했습니다.... 내부에 돌아다니면 흙들도 뒤로 잘 쏟아버렸습니다.... 이것저것해본다고 한게 벌써 꽤 오랜시간이 흐르다보니.. 여기저기 흐름의 티가 나는군요...
단열박스 내부에 선은... 단열박스 내부 온도를 체크할수 있는 온도센서랍니다..
그러고 보니.. 최종 완성후 사진이 없네요.... 우퍼를 이용한 에어홀은 다시 달았답니다...^^
Assy로 판매되는 제품처럼 깔끔하진 않지만....... 그냥 기념촬영해본김에 올려봅니다.....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13.JPG (24.6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15.JPG (20.6KB)(3)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17.JPG (35.5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18.JPG (30.8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19.JPG (22.9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0.JPG (27.3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1.JPG (32.3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2.JPG (32.0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3.JPG (27.6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4.JPG (25.2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5.JPG (27.8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6.JPG (31.6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7.JPG (27.0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8.JPG (29.7KB)(2)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29.JPG (29.9KB)(1)
-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630.JPG (32.8KB)(2)
2008.12.19 09:32:23 (*.162.58.20)

아... 전 벌써 몇년째 한번 diy 해본다 하면서 엄두를 못내고 있는데
후딱 해치워 버리셨군요...
내년 여름전에는 저도 꼭 한번 해봐야 겠습니다. ^^:
후딱 해치워 버리셨군요...
내년 여름전에는 저도 꼭 한번 해봐야 겠습니다. ^^:
2008.12.19 10:30:26 (*.203.39.246)
심현보님// 감사합니다....^^ 나름 만족하고 제차에선 가장 확실히 출력을 끌어올린것 같습니다...
정관선님// ^^ 일반 자바라 방식을 연통으로 바꾼다고.. 몸으로 느껴질정도인지는 글쎄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좀 둔해서..^^ 다만, 일반 오픈방식과 격벽 등등으로 저 배기량 차량은 출력이 잘 나오질 않아서 바꿨는데 그런부분에 의해서는 확실히 차이가 난답니다.... 최고속 자체가 엄청 달라지더라구요...
박지수님// 처음 작업할때는 시간이 걸리실껍니다... 저 역시 처음엔 그랬는데... 이번엔 다 해놓은거 그대로 따라만 했더니 생각외로 금방하더라구요.... 2M정도 구입해서 제가 1M정도 쓰고 1M는 버렸는데... 이럴줄 알았으면 보관해둘껄 그랬나봅니다... (혹시나 담번에 또 파손된다면.. 그냥 일반 자바라 방식으로 가려구여.... 넘 귀찮아서여..ㅎㅎ)
정관선님// ^^ 일반 자바라 방식을 연통으로 바꾼다고.. 몸으로 느껴질정도인지는 글쎄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좀 둔해서..^^ 다만, 일반 오픈방식과 격벽 등등으로 저 배기량 차량은 출력이 잘 나오질 않아서 바꿨는데 그런부분에 의해서는 확실히 차이가 난답니다.... 최고속 자체가 엄청 달라지더라구요...
박지수님// 처음 작업할때는 시간이 걸리실껍니다... 저 역시 처음엔 그랬는데... 이번엔 다 해놓은거 그대로 따라만 했더니 생각외로 금방하더라구요.... 2M정도 구입해서 제가 1M정도 쓰고 1M는 버렸는데... 이럴줄 알았으면 보관해둘껄 그랬나봅니다... (혹시나 담번에 또 파손된다면.. 그냥 일반 자바라 방식으로 가려구여.... 넘 귀찮아서여..ㅎㅎ)
2008.12.19 12:10:28 (*.148.90.218)

정말 대단하신데요~ 확실히 성능은 많이 올라가겠지만... 저에겐 손재주가 없어서..
용재님의 손재주 정말 부럽습니다^^
용재님의 손재주 정말 부럽습니다^^
2008.12.19 13:11:02 (*.105.139.116)

저하고 같은 에어홀을 쓰시네요^^
전 안개등이 프로젝션 타이입이라 그 뒤에 공간이 좀 나와서 그 뒤로 알루미늄 연통을 쑤셔박고 다니는데...
효과 괜찮더군요^^
전 안개등이 프로젝션 타이입이라 그 뒤에 공간이 좀 나와서 그 뒤로 알루미늄 연통을 쑤셔박고 다니는데...
효과 괜찮더군요^^
2008.12.20 01:53:30 (*.204.8.20)
류성연님// ㅎㅎ 성능은 올라갑니다... 저도 손재주가 없어서요.. 범퍼 에어홀을 뜯어보면.. 삐뚤삐뚤 엉성으로 작업해놓은게 창피해서 에어홀을 꼭 위에 붙히고 다니는겁니다..ㅎㅎ
정근규님// 예전에 세피아 1.8로 유명하셨던분이 계셨었는데 그분은 번호판 옆에 범퍼에서부터 다이렉트로 들어가는 구조를 만들었던분도 계신답니다... 나름대로 고민하고 만들었는데 제가 만든이후에 아류작들이 많이 생겼더라구요..^^
이종수님// 연통 생각외로 좋아요...ㅎㅎ 근데 철물점에서 자꾸 뭐에 쓰게 그러냐고 물으면... 차에쓰게요... 하고 답하고 다니니... 차가 뭔지 너무 궁금들 하시는것 같더라구여. ^^
정근규님// 예전에 세피아 1.8로 유명하셨던분이 계셨었는데 그분은 번호판 옆에 범퍼에서부터 다이렉트로 들어가는 구조를 만들었던분도 계신답니다... 나름대로 고민하고 만들었는데 제가 만든이후에 아류작들이 많이 생겼더라구요..^^
이종수님// 연통 생각외로 좋아요...ㅎㅎ 근데 철물점에서 자꾸 뭐에 쓰게 그러냐고 물으면... 차에쓰게요... 하고 답하고 다니니... 차가 뭔지 너무 궁금들 하시는것 같더라구여. ^^
2008.12.20 09:46:22 (*.37.16.118)

저도 몇년전에 비슷한 흡기라인을 만든적이 있었는데 사진보니 제가 한 DIY는 퀄리티가 상당히 떨어졌네요 ㅋ
지금은 귀차니즘에 세차도 못하고 있습니다.. ㅠ.ㅠ
지금은 귀차니즘에 세차도 못하고 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