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목요일 급하게 일정이 잡혀, 1박2일로 진주 처갓집에 내려가서 장모님 모시고 남해 여행을 하고 왔습니다. 참으로 간만의 장거리 고속주행이였는데 공기압 셋팅이 제대로 안돼서 운전이 즐겁진 못했네요. -_-:
얼마 전 5만Km 점검 받으면서 프론트 36, 리어 38 로 셋팅해 놨다고 정기 점검 내역서에 기재해 놨던데 일정이 급하게 잡히는 바람에 공기압 조정을 못하고 그냥 고속도로 올렸더니만 아이고~ 160 넘으니 휘청휘청~ (물론 횡풍도 심하긴 했습니다만)
왠지 모르게 불안하더군요. 물론, 상경할 때 대전-통영에 바람이 많이 불어 횡풍 영향이 더 컸던 거 같긴 하지만 소음도 많이 올라오는 거 같고 연비도 안좋고. 좋은 경험 했습니다.
근데, 태어나 처음으로 남해 가봤는데 동해와 달리 작은 섬들이 많은 게 동네도 아기자기하고 휠씬 보기가 좋더군요. 독일마을에 숙소를 잡고 은모래해수욕장 들렸다가 삼천포에서 회먹고 올라왔는데~
대략 왕복 1000Km 가량 운전한 거 같네요. 역시 1박2일 여행은 빡셉니다.
그래도 장모님께 점수 딴 걸로 위안을 ㅋㅋ
P.S) 독일마을-상주가는 코스에 해안을 낀 와인딩 코스가 있던데 장모님을 모시고 가는 바람에 아쉽게도 손맛을 못느꼈네요. 쩝쩝

네, 36/38 이면 크게 부족한 수준은 아니고 권장 공기압도 38/38 이라 큰 차이 있겠나 싶었는데~
예전 38/38 과 달리 느낌이 좀 많이 다르더군요.
한 가지 추측되는 건 고속 주행 후, 공기압 점검을 해 규정보다 적게 들어가지 않았을까 하는 겁니다.
- 서울 살 때는 일반 도로로 다녔지만
- 용인 이사하고 용-서 고속도로 타고 센터에 들어갔거든요. (게다가 좀 늦어서 달렸다는 ;;)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에 타이어 공기 주입기 있습니다... 항상 거기서 체크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전에 nf차량이 저희 바람 넣고 기다린후 주입기 꼽는데..18이 나오더라는 ㅎㅎㅎ 아마 그냥 갔으면
십리도 못갔을듯....

원래 대전-통영선 상경하는게 기름 더 먹게 되어있습니다..계속~~ 오르막입니다.^^ 교량구간(계곡)이 많아서 횡풍도 많구요.
진주살다보니 자주 남해가는데 남해는 갈때마다 좋습니다.
차량이 어떤종류이고 타이어가 어떤 타이어를 쓰셨는지는 모르나 그정도의 타이어 공기압으로 휘청거림을 느끼고 일상 운전에 힘들정도 라면 타이어보다는 다른쪽이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일반 승용차 기준이라면 공기를 더욱 빼주어야 할상황인것 같은데...

IS250 이고 브리지스톤 투란자 GR-90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F:225/45R17(36psi), R:245/45R17(38psi))
- 휘청거림은 횡풍의 영향이 맞는 거 같고 (고속도로 LED 안내판에 강풍주의 경고가 뜨고 있었음)
- 연비는 오르막 영향이 맞는 거 같습니다. ^^
근데, 제가 심하게 민감한 건지 모르겠으나 예전과 달리 고속 주행시 타이어가 접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단, 현재 추측으론 고속 주행 후 공기압을 채우는 과정에서 게이지보다 적게 들어간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근데, 어제 오후 늦게 올라와서 아직까지 공기압 점검을 못해봤네요~
공기압이 너무 부족하셨던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