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이번에 제주도에서 수학여행중 교통사고로 인명사고가 발생되었는데
버스기사님이 아닌 택시기사님이 대리운전하시다가 사고가 난것 같다고
추정이 되나보네요..
내리막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안쓰고 풋브레이크를 쓴것으로 추정이 된다고
기사가 나왔는데요...
그저 마음이 아픕니다.
즐거운 수학여행에 왜 이런 사고가...
버스도 꼭 안전벨트를 매야 할것 같습니다.
버스에서 안전벨트매면 불편하긴 한데 전 안매면 맘이 조마조마해서 잠이 안오더라고요.
버스에서도 3점식을 매게 해줬으면 좋겠는데요...
사고수습잘되서 희생자가 더 이상 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버스기사님이 아닌 택시기사님이 대리운전하시다가 사고가 난것 같다고
추정이 되나보네요..
내리막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안쓰고 풋브레이크를 쓴것으로 추정이 된다고
기사가 나왔는데요...
그저 마음이 아픕니다.
즐거운 수학여행에 왜 이런 사고가...
버스도 꼭 안전벨트를 매야 할것 같습니다.
버스에서 안전벨트매면 불편하긴 한데 전 안매면 맘이 조마조마해서 잠이 안오더라고요.
버스에서도 3점식을 매게 해줬으면 좋겠는데요...
사고수습잘되서 희생자가 더 이상 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008.05.09 00:27:49 (*.106.65.107)
먼저 과속이 문제인듯합니다..대형차의 엔진브레이크는 과속에서 별로 효과가 없습니다.. 또한 법적으로 보조브레이크 장착이 의무화가 안되어 있어서 문제이죠..대형차는 주브레이크 이외의 보조 브레이크 장착이 필요합니다..
2008.05.09 10:52:07 (*.247.69.42)
고속버스를 타봐도 어떤분은 편안히 주행하시는 분이 있는 반면...어떤분은 100km의 속도에서 앞창에 성에낀다고 자리에서 일어나서 걸레로 막 닦으시는 분도 있더군요 ㅡㅡ;;;
2008.05.09 13:09:08 (*.158.113.216)

최근의 대형차들에 각광을 받는 보조제동장치는 리타더이죠.. 최근출시된 고급버스를 타보시면 적용되어있는걸 보실수 있을겁니다. 시내버스들은 아직 까지는 배기관을 셔터로 막는 배기브레이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버스는 실제로 몰아보면 보조브레이크의 효과가 트럭에 비해서는 많이 약합니다. 공차중량과 적재중량의 차이가 두배이상나는 트럭에 비해 버스는 공차중량이나 적재중량이나 큰차이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죠.. 대형차의 풋브레이크 제동력은 대부분 충분한 편입니다만 그것을 유지할수 있는 능력은 제동력에 절반에도 못미치죠..
보조제동장치는 대형차에게 있어서는 거의 생명유지장치와도 같습니다.
그리고 버스는 실제로 몰아보면 보조브레이크의 효과가 트럭에 비해서는 많이 약합니다. 공차중량과 적재중량의 차이가 두배이상나는 트럭에 비해 버스는 공차중량이나 적재중량이나 큰차이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죠.. 대형차의 풋브레이크 제동력은 대부분 충분한 편입니다만 그것을 유지할수 있는 능력은 제동력에 절반에도 못미치죠..
보조제동장치는 대형차에게 있어서는 거의 생명유지장치와도 같습니다.
그 때마다 기사분들의 운전을 유심히 봅니다..
쉬프트 업이 부드러운것은 물론이고 다운쉬프트때 rpm 보정까지 하는 기사분이 있는반면..
신호등, 정류장 저 멀리서부터 기어 중립넣고 '칙''칙' 거리면서 오직 브레이크로만 차를 새우는 기사분도 있고 정말 다양하더군요..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대형버스 기사분들은 필히 기본적인 운전습관부터 교육받으셨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