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그간 다수의 차종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차를 타면서.. 잘 만든 차와 그렇지 않은 차의 차이는 품질이나 성능의 문제라기보다는 작은 부분에서 얼마나 신경을 썼는가의 차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 요즘 타면서 느끼는 몇 가지를 좀 요약해 봤는데, 어떻게 보면 특정 차종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겠군요. 문제의 차종은 쏘렌토R 입니다. 2011년형이고. 집에서 범용으로 두루 편하게 쓰고 있는 차입니다. 딱히 차의 성능이나 품질, 쓰임새 등과 관련한 불만은 전혀 없습니다만, 조그만 부분에서 아쉬움도 많이 남는 차종입니다.
그 첫 번째..
저 은색으로 된 손잡이(?) 입니다. 쏘렌토R을 소유하신 분들도 아시겠고 지금 사진으로도 보이듯이, R의 문을 닫으려면 은색 손잡이를 잡고 닫을 수도 있고, 윈도 스위치 뒤쪽에 있는 또 다른 손잡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은색으로 된 것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아무 생각없이 저 손잡이를 사용하게 되죠. 문제는 저것이 너무 앞에 위치해 있어서, 운전석에 앉은 채로 손을 뻗어서 잡는 자세도 좀 이상하고, 잡고 닫으려고 하면 지렛대효과(?)가 떨어져서 문을 닫는게 참 힘이 듭니다. 지금은 차에 완전히 익숙해졌기 때문에 은색 손잡이는 전혀 사용을 안하고 뒤쪽에 위치한 다른 손잡이를 사용하고 있긴 하지요.
제 생각에는 차라리 저 물건이 없다면 더 깨끗하고 공간도 더 나왔을 텐데하는 아쉬움을 느끼는 부분입니다. 여담이지만, 투스카니에서도 위치상의 불만은 아니지만, 도어 손잡이에 대한 아쉬움은 역시 있었습니다. 도어 손잡이는 특성한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이라 단단하게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투스카니 손잡이는 손으로 잡을 때 플라스틱 부품이 맞닿아서 '삐걱삐걱'하는 소리가 새차 였을 때부터 들렸었습니다. 투스카니 엘리사에 대해서는 다른 불만은 전혀 없었지만, 문을 닫을 때마다 저 소리는 너무 귀에 거슬렸었습니다.
혹시나 현대/기아차만 저런다고 생각하시는 좁은 시각의 소유자분들은 없다고 믿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타본 차 중 CTS-V (V도 그러니 일반 CTS도 마찬가지 겠지요..) 역시 도어 손잡이에서 나는 무지막지한 삐걱소리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두 번째..
보통은 많은 차들이 니 볼스터 라고 하나요? 오른다리를 지지해 주는 구조물이 센터 페시아에 장비되어 있는 차들이 많습니다. 특히나 고속도로 정속 주행 중에는 오른다리를 편하게 해주면 피곤함도 덜한데요.. 제 체형이 이상한 것인지, 쏘렌토R의 센터 페시아 중 오른 다리가 닿는 부분은 저렇게 각이 져 있기 때문에.. 다리를 기대고 있으면 전혀 편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또 투스카니의 예가 나오는데, 투스카니 역시 이 부분이 각이 져 있기 때문에 별로 좋지 않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싼타페나 베르나는 별다른 느낌이 없었던 것을 보면, 그 차들은 괜찮았나 봅니다. 지금타고 있는 IS-F나 RS2를 비롯해서 제가 가지고 있었던 다른 차들에게서는 역시 이런 부분은 없었습니다.
세 번째..
뒷좌석 문이 열린 모습입니다. 휠하우스에서 날카롭게 꺾어 올라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차종 중, 이런 모습의 문을 가지고 있는 차들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구형 캐딜락 CTS, 구형 포르쉐 카이엔. 복스바겐 투아렉, 링컨 LS, 포르쉐 파나메라 등등..
보통 때에는 문제될 만한 것이 그렇게 많이 있지는 않습니다. 다른 차 문콕을 좀더 심하게 해줄 수 있는 무기가 된다는 정도겠지요. 그런데 지금 첫 째 딸이 5살인데, 이마가 딱 저 날카로운 부분과 비슷한 높이 입니다. 며칠 전 딸이 열려있던 문에다가 머리를 콕.. 했습니다. 잠깐이나마 차를 폐차해서 없애버리고 싶었습니다.
네 번째.. 헤드레스트의 모습입니다.
평범하게 생긴 헤드레스트인데.. 실제로 앉아보면 등받이에 비해 상당히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데다가, (안전상의 이유로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뒤로 조절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자리에 앉아보면 고개를 약간 앞쪽으로 내밀어야하는 자세가 되고, 머리를 뒤로 움직이려고 하면 (허리를 펴거나 그럴 때) 어김없이 헤드레스트에 걸려서 부자연스러워 집니다. 여기서 또 CTS-V가 나오는데, CTS-V의 레카로 시트 역시 헤드레스트가 딱 이렇습니다. 특히나 저 같이 등받이를 상당히 세우는 자세를 좋아하는 분들은 많이 불편하실 겁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가 머리와 너무 가깝다보니, 운전하면서 헤드레스트에 머리가 살랑살랑 많이 닿는 편인데, 그러다보니 정전기가 생겨서 머리카락이 붕~ 뜨는 부작용아닌 부작용도 자주 경험합니다. 원래 가죽도 정전기가 많이 생기는지, 아니면 헤드레스트까지 인조가죽인지 의심이 갑니다. (뭐.. 착석면을 제외한 부분에는 인조가죽이 사용되었다라는 설명서의 disclaimer를 보긴 봤지만 말입니다)
다섯 번째..
운전석에는 내리고 타기가 용이하도록 시동을 키고 끌 때 자동으로 앞 뒤로 슬라이드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이 것 자체가 딱히 문제는 아닙니다만.. 시트 레일이 고르지 못한지, 앞뒤로 움직일 때 꼭 울퉁불퉁한 표면 위를 움직이는 것 같이 운전석이 덜컹덜컹 흔들립니다. 불량이라면 불량일 수도 있는 것이겠지만, 대세에 지장이 없어서 그냥 타고 다닙니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여섯 번째는.. 제가 생각하는 '잘 만든 차'와 아닌 차의 차이점은 아니지만 좀 아쉬운 부분입니다만.. 이 차는 사정 상 실제 차를 타보거나 접해본 적이 없는 상태에서 계약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출고한 이후에 처음으로 쏘렌토R을 접해봤습니다. 전에 CM싼타페를 탔었기 때문에, 그저 평의 사양이 싼타페에 준하겠거니 하는 좀 안이한 생각도 제가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2.2 리미티드 4WD 였기 때문에 모든 옵션이 다들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수석이 수동 조절 시트인 것이나, 통풍시트는 운전석 만 있는 것, 뒷좌석 가운데가 3점식 벨트가 아닌 것 등등.. 4천만원을 주고 산 차에서 이건 쪼끔 너무하지 않나 싶은 점들이 요기조기서 보입니다.
쏘렌토R을 구입 한 지 1년 6개월 정도 되었는데, 전반적으로는 나쁜 차는 아닙니다. 가족들이 타고 다니기에 손색없고.. 실내 디자인이나 조립품질도 쉐비 보다는 월등히 좋고 포드 하고는 비등비등한 것 같지만, 현대차보다는 원가가 좀 떨어지는 생각이 듭니다. 위에서 열거한 점 몇 가지와 소소한 것 등을 개선한다면 더욱 좋은 차가 될 것은 당연한 얘기겠지요. 문제는 처음에 나왔을 때 부터 신경을 더 썼더라면 더욱 가치가 빛 났을 텐데 아쉽습니다.
아니면.. 그저 오너 한 명의 투정일 뿐이련가요?

모든 것은 소유를 하다보면 아쉬운 점이 보이는 것은 당연한 듯 합니다.
수입차 역시.. 몇 가지 생각나는 점은
BMW는 E39 540i 6spd를 타면서 1단을 좀 힘있게(?) 밀어 넣으면 간혹 후진을 넣는 결과가 나오던 것이 생각나고요.
아우디는 80-90년대 당시에는 계기판 전체가 붉은색이었는데, 아우디 A4 (B5) 2.8 콰트로 초기형의 경우는 타코미터의 레드존이 구별이 안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2.8 5밸브 엔진이 나오면서로 기억합니다) 타코미터의 레드존 그래픽 자체가 바뀌면서 구별 가능하게 되더군요.

얼마전에 제주도에서 벨로스터 빌렸는데 벨로스터 시트도 헤드레스트가 머리를 앞으로 너무 밀어서, 안그래도 거북이 목 현상에 고통받는 현대인에게 더욱더 고통을 주어 안타깝더군요 ㅠㅠ
버킷시트의 경우에도 헬멧을 쓰면 뒷부분이 딱 닿습니다

개개인의 불편한 점들이나 아쉬운 점들이 모여서 나중에 상품성 향상을 위해 고려되는 장치를 잘 마련한다면 점차 소비자들의 만족도(종합적인)나 그 제조사에 대한 인식도 나아질거라 생각됩니다...
의아한점은 지금 저도 타고 있는 싼타페CM은 전좌석 3점 벨트(운전석/조수석, 2열 3석, 3열 2석)입니다...
쏘렌토R의 2열 중앙 좌석은 3열벨트가 아닌가봐요... 이건 뭔가요... ㅡ.ㅡ;;
위의 김영석님 말씀하신 신형 CR-V는 신형부터 3열인가보네요. 이미 구형 싼타페CM부터 전좌석 3점 벨트였는데...
(그러고 보면 싼타페CM이 북미 수출을 위해 신경쓴 모델이 맞긴 한가 봅니다...)
사실 싼타페와 쏘렌토R은 형제라서 왠만하면 같을거라 생각했는데, 다른 부분들이 좀 보이네요...
혹시 쏘렌토R은 B필러에 내장된 2열을 위한 송풍구에서 히터도 나오나요? CM은 에어컨만 나오더라고요... 따뜻한 바람은 거의 안나오던데요...

뒤에 앉아본 적이 없어서 송풍구에서 히터가 나오는지 안나오는지는 확인해본 적이 없습니다. 뒷좌석 승객의 말로는.. 에어콘은 잘 나온다고 하는데, 이번 겨울에 한 번 봐야겠습니다.
앞의 댓글에서도 잠깐 말했듯이, 이 글은 CM싼타페를 탔던 경험으로 쏘렌토R을 소유하면서 느낀점을 많이 썼습니다. 두 차종 중 다시 구입하라고 하면 CM싼타페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쏘렌토를 선택했던 이유는.. CM을 타봤으니, 나중에 나온 R이 더 괜찮지 않나라는 약간 안일한(?) 생각이었습니다.

이 차의 경우 경추보호장치가 있나요? 볼보의 경우도 헤드레스트 조절이 불가능합니다. 역시 약간 앞으로 나와있는 모양이고요. 하지만 볼보 의자는 항상 너무나 편했어요. 사고시에는 헤드레스트가 앞으로 전진하면서 목을 보호해줘요.
전 성인인데도 현석님의 사진에서 보이는 뒷문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찍힌적이 있는데 정!!!말 아프더군요...따님은 얼마나 아팠을까요 ㅜ

요즘 현기차들 시트 디자인...이라기 보다 시트 자체의 디자인등은 괜찮은것같기도 합니다만
저 헤드레스트가 정말정말 싫더군요,,,,,
조절되는 차라고 하더라도 끝까지 뒤로 밀어봤자 결국은 뒤통수가 닿는데다가, 거북이목마냥 머리를 앞으로 빼고 운전해야하는 무지무지 불편한 자세가 되어서 제 개인적으로는 정말 싫어합니다.

저는 스포티지R 을 타고 있는데 등받이 각도를 나름 세우고 다니는 저로써도 헤드레스트는 정말 싫습니다. 스포티지R 도 똑같습니다.
어윽 어렵네요 ㅎㅎ 그냥,,, 유리건물 지나갈때 창문 내리고 보인 내 차의 모습이 만족스러우면 잘 만든 차 아닐까요 ^^
뭐 또 까는 얘기가 될 지 모르겠지만, 최근 들어 전반적인 상품성은 크게 향상된 듯 싶습니다만. 꼼꼼히 살펴보면 그냥 겉보기에 좋아 보이는 부분만 좋아지는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디자인적인 부분도 기능적인 면이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 있는데. 그런 부분들이 세심하게 고려되지 않고 그냥 디자인적으로만 이뤄져 있지 않나 싶기도 하구요.
최근, 법(?)이 바뀌어서 좀 나아졌다 들었지만 여전히 일부 차종들의 안전 장비가 그냥 구색 맞추기 정도로 이뤄진 걸 보면 아쉬움이 크더군요. 저도 어제서야 처음 봤는데 형님이 추석 전에 신형 CR-V 를 출고하셨더군요. (저희 형제가 좀 비밀이 많습니다. ㅋㅋㅋ) 다른 부분보다 가운데 좌석을 위해 루프에 내장된 3점식 안전 벨트. ISOFIX 도 지원된다는데... (뭐 스바루도 그렇긴 하고. 국내 일부 차종도 그런 줄로 압니다만)
뒷문은 개폐각도 거의 90도에 가까운데다 차고도 높지 않아 아이들도 승하차 하기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겠더군요. 후열 시트 열선은 없지만, 형님 얘기론 그 가격대(?)에 리어 벤트가 탑재된 SUV 는 CR-V 밖에 없었다고 해서 구입했다고 합니다. 여튼, 뭐 세세한 옵션이나 디자인적인 부분. 그리고, 고급스러움은 조금 떨어지지만 기본기면에서는 큰 문제 없어 보였다는 게... 앞으로 국내 차량도 좀 그런 부분들까지 신경 써 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