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눈팅만 하던 회원 입니다.
테스트 드라이브는 제가 개인적으로도 애착을 가지고 있고 많은 정보를 배우고 있습니다.
다만 실리콘 실란트(액상 가스켓)에 관하여는 자료가 없기에 자료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참고만 해주시고 다른 싸이트나 인터넷에 공유는 삼가 부탁드립니다. - 기업의 내부 교육 자료 입니다.
오래전부터 엔진쪽 누유에 관련된 가스켓을 액상 가스켓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출고 후 재작업시에 다시 누유되는 비율이 높은 편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 참고 하시고요..
대표적으로는
1.접착 면의 오염
(쉽지는 않지만 양쪽모두 세척제 사용 후 건조 시켜야 합니다) - 접착력 부족으로 인한 접면누설
2.경화전의 심한 진동으로인한 파괴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완전 경화까지는 보통 72시간 이상 걸립니다.-습기경화) - 미경화로 인한 침투,파괴 누설
3.도포량, 도포방법 , 조립방법에 대한 고른 충진,퍼짐성 미약
(기포, 느린 조립으로 인한 일부 경화후 조립 , 도포량이 많을때 내부적으로 분리되어 돌아다님, 한번에 조립해야함 등)
입니다.
첨부파일은 자료 요약 본입니다.
질문 주시면 자세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즐 하루 되세요. ^^

3번의 경우
펴바르는 일반적이지만,
액상가스켓을 짤데 굵기와 고른 조임으로도
충분 합니다.
용도에 맞는 액상가스켓도 중요하다 봅니다.

엔진부품재질이 스틸에서 알로이, 마그네슘, 강화플라스틱 위주로 변화하다보니
온도에 따른 열변화가 높은 재질이기에 기존 몰드형가스켓으로 액상 실란트로
바뀌게 되고 생산원가와 시간에서 자동화가 가능하기에 선호하는데....
다만 정기적인 점검과 충격이나 분해시 세척후 재작업시 신경을 써야 하는데
참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작업자 입장에서 실란트가 좋기도하고,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이해 못하는경우가 생깁니다.....
누유를 원천적으로 막고자 실란트로 접착을 해서 출고하는데...
A/S 때 오일펜 같은 경우는 위에서 계속 흘러 나와 작업이 힘들죠.
하지만 접착 실런트 특성상 꼭 유분 없이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아니면 금방 센다고 보면 됩니다. ㅜ.ㅜ
제차도 지금 세고 있구요... ㅜ.ㅜ
엔진 조립에서 제일 신경 쓰는 부분이 실란트 작업 공정 입니다. - 변성 물질에 누유라는 결과가 바로 나오니..
고형가스켓과 액상 가스켓 적용 설계 자체가 다릅니다. 공유해서 쓸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꼭 순정품을 사용 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엔진오일, 미션오일, 냉각수 모두 다른 제품입니다. - 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