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그런데 과연 전자식 스로틀차량을 타고도 힐앤토를 쳤을때 한박자 쉬고 올라가는 알피엠을 보고도 아무런 거부감이 없을까요?
애프터파츠로 밸브개도량과 응답성을 좋게한다해도 케이블식과는 절대 비교불가라고 봅니다.
전자식스로틀의 취지가 각종 센서 보호 및 타이밍 조정때문에 나온건데 매번 고수의 발가락으로 똑같이 밟는다쳐도 속도 알피엠 대비, 노면상태 그때그때마다 ecu가 알아서 개도정도를 바꾸는 상황을 운전자가 엑셀의 누름량을 연습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닌데 말이죠.
그런글을 볼때마다 어디서 힐앤토는 들어본 사람들이구나 하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케이블식에 비하면 요즘의 전자식들은 아무래도 발끝으로 느껴지는게 없다 보니 감을 못 잡겠더군요.
개인적으로 자동변속기만큼은 아니어도 아주 마음에 안 드는 물건입니다.
사람 힘으로 충분히 움직여지는 것을 왜 모터 따위를 달아놓았는지 연비 및 친환경성 등 자료들을 보아도
도저히 이해가 안 가서리.
그냥 어른들의 사정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데 힐앤토를 하는데 있어서 케이블이냐 전자식이냐는
아무런 상관이 없더군요. 처음 잠깐 반응이 느리네 정도 입니다.
디젤로도 잘하는데요 뭐.
엑셀누름량 관련얘기는 이해가 잘 안됩니다만, 전자식 스로틀을 장착한 차량은 정확한 힐앤토가 어렵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일단 엑셀밟을때마다 스로틀바디가 열리는 각도의 차이가
정확한 힐앤토를 어렵게 할만큼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저는 스로틀반응 느리기로 정평난 젠쿱3.8수동으로 아주 간단하게 힐앤토를 꽤나 정확하게 합니다. 서킷에서 풀브레이킹 일때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힐앤토로 3천정도 맞추는 상황까지요.
제가 둔한건지는 몰라도 전자식 스로틀이 정확한 힐앤토를 방해한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습니다.
쓰신말들 다 공감은 가는데, 한가지 공감이 안가는 부분도 있습니다. ㅜㅜ
케이블이나 전자식이냐도 익숙해 지는것일뿐 아무 상관없는것도 공감이 갑니다^^.. 만
디젤로도 잘 된다는건 경험상 의미가 없는거 같습니다. ㅜㅜ
레브매칭까지는 뭐 되는데,
힐앤토는 아무래도 힘들더군요. 게다가 의미도 거의 없고요.
ㅜㅜ 제가 몰아본 디젤차가 반응 느린 차들이어서 그런지 (클릭디젤, 코란도C 디젤 초기형)
개솔린 차들은 드로틀바이와이어가 느리다고 해도, 사실 소나타오토몰던 사람들에게 느리진 않습니다.
근데, 디젤은 아무래도 많이 느려요.
한박자이상 늦게 치고올라오는 차들, 혹은 레브가 높으면 출력이 빠지는
디젤은 의미가 없는것 같습니다.
사실 힐앤토치기에는 그냥 자연흡기 고rpm올리기 좋은 차들이 유리한거 같습니다.
전차량...구젠쿱38수동, 현차량 투카 터보 20g셋팅으로
차량 기변했을때 큰차이를 못느꼈습니다 물론 느끼는 감은 조금 틀리긴 합니다만
오히려...na인 젠쿱이 반응성 더좋게 느끼기도 함니다...(이건 터보렉때문인거같습니다)

포르테쿱 2.0 힐앤토 아무 문제없이 꽤 정확하게 잘 하고 다녔습니다.
동호회 보면 스로틀 반응이 느리고 거지같다면서 이런저런 맵핑이나 tps 신호 증폭기(?) 같은거 많이들 달더라구요.
저는 페달 위치가 브레이크랑 깊이 차이가 좀 나서 발 위치 잡기가 어색했던거 말고는 (엔진 반응속도에서는 특히) 아무런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반응이 느린거같으면 살짝 일찍, 더 깊게 밟아주면 되고, 또 그러면서 차에 익숙해지는거죠.. 항상 몰고다니는 "자기 차"니까요.
생각해보면, 아무리 ecu가 실제 개도량을 상황에 따라 조절한다고 해도 그게 "이거 뭐 밟을때마다 지멋대로 다르게 반응하네" 라고 느낄 정도면 그냥 애초에 양산으로 나올 수 없을정도로 세팅이 한참 잘못된거 아닌가요?
전자식 스로틀 적용된 국산 준중형으로 힐앤토 완벽하게 하시는 분들이 동네 와인딩 동호회만 나가봐도 부지기수인데 그걸 힐앤토 말로만 해본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
힐앤토가 뭐 엄청나게 어려운 고급 기술도 아니고요.

전 yf인데
그냥 회전수 맞출 때와 힐앤토 할 때
스로틀 여는 양이 달라집니다...
브레이킹이 없을 때는 1500rpm 정도 줬다면
힐앤토 시에는 8-900 rpm?
이런 식이에요
전에는 차가 뭔가 회전수 보상을 해주는 건가 생각 했었는데
Rpm이 자동으로 올라가지는 않는데
헛갈립니다
(회전수 보상이 있는 차라면 기어 내릴 때 rpm이 올라가겠지요?)
정확히 무슨 상황인지 모르겠으나..
정속 주행시 다운쉬프트는 같은 속도의 아랫단으로 내리는거니 RPM을 그만큼만 뛰우면 되지만
힐엔토때는 브레이킹 즉 감속중이니까 쉬프트 다운 하는 그 순간에도 감속이 됩니다.
3단에서 중립들어갈때의 속도와 2단을 넣을때의 속도가 다르다는거죠
그게 그래서 브레이크 양과 변속시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또 쓰로틀이 닫혀도 RPM이 한참을 공중에 떠있게 되는 국산차들의 경우는 또 다르구요.
어떨때는 엑셀 안치고도 브레이크만 살짝 밟으며 다운쉬프트가 될때도 있습니다.
...장난 같은거지만요.
케이블식이 물론 좋았겠지만..
전자식도 세팅따라 엑셀반응은 전혀 다릅니다.
포르테쿱 2.0MT -> 86 MT 로 왔는데 물론 폴쿱도 힐엔토 자체는 아무 문제 없이 들어가지만
솔직히 엑셀반응이 굉장히 굼떴거든요.. 그것때문에 못한다는건 말이 안되구요.
하지만 86 타다가 다시 하라면 싫을것 같습니다. 지금은 아무 위화감 없이 힐엔토가 되는데 그래도 구형 케이블 타시던
분들은 차이가 난다고 하시더라구요. 뭐 그렇다고 지금와서 케이블차를 살수는 없잖아요.
하여간 전자식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86기사에 힐엔토니 수동이니 하고 리플다는 친구들.. 실제로 운전을 할줄이나 아는분들인지 궁금하네요 ㅎㅎ;
차의 특성에 따라 타이밍만 달라진면 된다고 생각 합니다.
힐엔토는 브레이킹만 추가 하면 되는것 아닌가요?
특히나 강한 브레이킹 시에는 rpm보정량이 크지 않아서
크게 문제 될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수동은 이미 포기한지 오래고요...
내연기관이 앞으로 계속 유지되기나 할까를 고민하는 1인입니다. ㅠㅜ
1. 전륜은 더블위시본..
2. 변속기는 수동..
3. 핸들은 유압파워..
4. 스로틀은 와이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국내차로
제 차가 사실상 마지막인 것 같아서 아직 차를 못바꾸고 있습니다. ㅠㅠ
전자식이든 기계식이든 힐앤토 하는데 아무런 문제 없습니다.

힐앤토가 대단한 기술도 아니고 그저 하다보면 어떤차건 다되는 거구요, 레이싱테크닉중 기초기술인데 사실 그런거 모르고 과거에 운전하던분들은 몸으로 익혀서 잘하시는분들도 많습니다.
제차 아베오 쩜사 터보로도 요새 힐앤토 연습중인데...그럭저럭 되는것 같더라구요.
아직 익히는 중이라 제대로 하는건지는 모르겠으나 얼핏 비슷하게 해보는데 위화감은 없는것 같습니다.

전자식 스로틀도 별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셋팅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해요,
지금타고있는 3세대 미아타도 전자식이지만 악셀반응이 꽤나 민감합니다.
글쓴이분과 같은 내용은 아니지만, 저는 기계식 스로틀의 그 푸싱감 때문에라도 아직은 전자식 스로틀에 대한 거리감이 있습니다. 누를때 느껴지는 와이어의 무게감은 사실 전자식 스로틀의 그것이 대체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뭐 힐앤토야 말그대로 차의 세팅에 맞게 해주면 되는 '기술' 이라, 그것이 되고 되지 않고는 아무런 의미없는 논쟁이지만, 발이라는 신체에 닿아 누르는 그 '느낌'은 기계식 스로틀만이 주는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물론 그 기계식 스로틀의 느낌을 좋아하지 않는 분도 계시겠지만요 ^^
86.... 86도 스로틀 바이 와이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