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이전에 사용하던 2G폰에 비해서 스마트폰은 얇지만 넓고 큰 편이라 운전할 때 제대로 고정시키는 것이 여간 힘든일이 아닙니다.
크래들 타입의 거치대는 네비게이션까지 달아야하는 입장에서 거추장스럽고 보기 싫은 단점이 있어 아예 고려를 하고 있지 않던터에 Tetrax제품을 테스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참고로 지금까지 사용한지 3주 정도 되었습니다.
제품은 이태리에서 만들어지며, 이미 유럽시장에 2년 넘게 판매중인 제품입니다.
자석을 이용해서 자력의 힘으로 거치되는 원리인데, 기계에 해를 주지 않는 자력이라는 부분을 상당히 많이 강조합니다.
구성은 휴대폰에 붙일 자석과 차체쪽에 붙는 거치대로 매우 심플합니다.
휴대폰의 뒷면을 닦으라는 배려의 일환으로 알콜티슈도 들어있었습니다.
X자 모양의 거치대는 매우 컴팩트하며, 중앙 원형부분을 돌려서 조이게 되어있습니다.
뒷면의 팔부분 역시 고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하게 조이거나해도 플라스틱에 상처를 전혀 주지 않는데다가 높은 그립을 발휘하기 때문에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누리는 장점과 혜택은
1. 다른 차량으로 거치대를 옮기는 것도 매우 간편하다는 점
2. 스마트폰의 스피커폰을 이용하면 위의 사진의 위치에서 블루투스 없이도 통화가 된다는점
3. 전화가 걸려오거나 문자가 왔을 때 차안 어딘가에 있는 휴대폰을 짚어올려야하는 과정이 없어 안전하다는 점
4. 정차중 간단한 문자나 메일은 거치상태에서도 그대로 할 수 있다는점
5. 5G를 버티는 강력한 자력으로 서스펜션 튜닝이 하드하게 되어 있는 차량에도 떨어지는 일이 없다는 점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자제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많이 막히는 곳에서는 다운 받아놓은 동영상을 보기도 편리하고, 탈착과 부착이 너무 간편하다보니 정확히 원하고 가장 편리한 곳에 부착시켜 조작이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점등이 매우 좋았습니다.
와이프가 운행중인 차에도 장착이 되어 있는데, 아내도 매우 만족하고 있어서 저는 추가로 2개를 더 주문했고, 10월중 공동구매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주행중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고, 실제로 편리성을 생각해도 휴대폰을 견고하고 깔끔하게 고정시킨다는 점에서 분명 Tetrax제품의 장점과 의미는 크다고 봅니다.
-testkwon-
- IMG_7633.jpg (102.8KB)(7)
- IMG_7637.jpg (98.7KB)(1)
- IMG_7638.jpg (87.7KB)(1)
- IMG_7639.jpg (95.8KB)(1)
- IMG_7640.jpg (94.8KB)(1)
- IMG_7647.jpg (89.4KB)(1)
- IMG_7649.jpg (89.5KB)(1)
- IMG_7651.jpg (79.2KB)(1)
- IMG_7669.jpg (77.4KB)(1)
- IMG_7671.jpg (90.7KB)(1)
- IMG_7675.jpg (98.4KB)(2)
- IMG_7677.jpg (105.6KB)(1)
- IMG_7678.jpg (104.4KB)(1)
- IMG_7679.jpg (102.1KB)(1)
- IMG_7680.jpg (99.9KB)(1)
- IMG_7685.jpg (81.6KB)(1)
- IMG_7727.jpg (90.8KB)(2)
- IMG_7728.jpg (99.2KB)(1)
- IMG_7731.jpg (104.2KB)(1)
- IMG_7732.jpg (105.8KB)(1)
- IMG_7734.jpg (59.0KB)(1)
- IMG_7737.jpg (85.6KB)(1)

일전에 나재원님께서도 소개하셨던 제품이네요.
참 유용한 제품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 짧은 생각으로는 부착 위치가 통풍구여서
이제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히터를 틀고 다니게 되면
거치품에 계속 열이 가해지는 상황이 되지 않나 싶은데요..
전자제품은 무조건 열원에서 멀리~라고 믿고 있는 터라
좀 염려스럽긴 합니다. 기우인가요?^^;

저와 같은 생각을 하셨네요...
히터도 그렇지만 에어컨 바람도 안좋을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Automotive 제품군이 아닌 이상 온도변화가 심한 조건에서의 전자제품은 좋을게 없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저온/고온 테스트를 하는 이유가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함이긴 하지만 인위적으로 열/냉기를 가해주고 싶지는 않다는...)
게다가 저는 개인적으로 송풍구에 뭘 달거나 가리는걸 극도로 싫어해서요... 좋아보이기는 한데... ㅡ.ㅡ;;
송풍구 말고 다른 곳에 장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거의 왠만한(제대로 만든) 포터블 전자제품은 센싱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노트북 등도 팬 돌아가는 속도, 씨피유 온도 등이 보여지는 것 처럼요...
고열은 칩셋에 매우 안좋습니다... 어차피 실리콘이 유리재질로 된거라...
역시 기우가 아니라 정말 걱정해야할만한 내용이네요...
특히 배터리가 뒤쪽에 있으므로... ㅡ.ㅡ;;
공조기 말고 다른곳에 장착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짜내보는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미 구매하신 분들이나 구매하실 분들은 참고하셔야겠네요...
어차피 제조사에서 이런 부분들까지는 '절대' guarantee하지 않을테니까요...

얼마 전 아이폰 4 를 구매한 후, 거치대를 샀는데 영 맘에 안들어서 형님 드렸는데...
테드 배너보고 홈페이지 접속해서 전화했는데 불통이더라구요 ;;
공구 빨리 진행해 주세요. ^^
마스터님 사용기보고 ebay 가서 와이프 차용으로 바로 하나 질렀습니다. (참고로 전 미국에 있습니다.) 얼마전에 ebay에서 $15정도 주고 아이폰 거치대 샀다가 실패 했는데 이거는 좋을거 같네요. 좋으면 제꺼도 하나 주문해야겠습니다. 기대되네요~~~ ^^ 좋은 사용기 감사 합니다.

공동구매가 기대됩니다.
그런데 강력한 자성으로 인해서 스마트폰 내 나침반이나 자이로센서의 불량을 초래하게 될까 약간 꺼려지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의 안정성에 대한 안내가 있나요?
여기 가서 맨 밑에 있는 동영상을 보시면 실험을 통해 자성이 핸드폰 뒤에 부착하는 단추 넘어로 안넘어오는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찍은거 같은데 사실이겠죠~~~ ^^

실제 챔버 등의 테스트 내용이 아닌 이상 저런 영상은 그저 광고로 봐야겠죠...
정말 자신있으면 테스트 의뢰해서 수치적인 데이터를 제시했겠죠...
암튼 저정도 강한 자력이 발생하는 제품이라면, 저라면 전자제품쪽에는 되도록 안쓸 거 같습니다...
더더욱 Side effect에 대한 어떤 자료도 없다면 말이죠...
(물론 잠깐씩 차에서 사용한다고 금방 무슨일이 일어나지는 않을 수도 있지만, 요즘 폰들에 들어가는 수많은 센서류 중 하나라도 영향을 받는다면... 끔찍하네요... ㅡ.ㅡ;;)

저역시 여러 핸드폰을 번갈아 쓰는 입장으로써 범용 거치대가 필요했는데 공구 기다려볼게요 ^^ 근데 저 역시 송풍구방식은 거의 안쓰는편이라서;;;;
구입하려면 어떡게 해야하나요?
이베이에 가보니 국제배송은 안됀다고 해서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