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AGCS는 기본적으로, 90년대 후반부터 세계적으로 활성화된 Vehicle Geometry Active Suspension 의 연구의 흐름을 따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 선회시의 토우값을 가변화시키는 것 자체는 현대의 고유기술은 아니며, 단지 그 방법론적인 것이 현대차의 특허라 보시면 될듯 합니다..
AGCS는 기본적으로는 고속 선회시에 뒷바퀴 토우각을 변화시켜 선회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SUV 등의 차량의 롤오버 (전복) 제어와의 통합 제어를 노리는 듯 합니다..
비록 해외 타 업체에서 이미 많은 연구 성과를 보인 분야인지라 신선함이 떨어질 수도 있으나, 앞으로 샤시 및 서스펜션 제어가 통합제어로 가는 추세로 볼 때, 이쪽 분야에서 고유 기술을 하나라도 가진다는 것은 상당한 발전을 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은 2006년도 춘계 자동차공학회 논문에서 AGCS에 대해 발췌한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읽어보세요.. 논문에 실린 그림은 위에 주영님의 자료랑 같아서 생략합니다..
.
.
.
본 논문의 목적은 차량 핸들링 성능을 탁월하게 향상시키는 능동형 타이어 궤적 제어장치, AGCS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시스템이 SUV 차량의 롤오버 발생 방지에도 효과가 있음을 실차 시험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중략)
2. AGCS 시스템 개요
AGCS 시스템은 주행 조건에 따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 특성을 변화시켜 최적의 차량 거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AGCS 시스템의 제어 개념은 다음과 같다. 직진 주행시나 저속 선회시에는 범프 토우의 크기를 작게 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키며, 차체의 Roll 거동이 수반되는 고속 선회시 및 급조타에 의한 고 횡G 발생시에는 조향각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받아 ECU에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범프 토우를 크게 하는 방향으로 후륜 서스펜션 차체쪽 링크 질점 위치를 제어하여 언더스티어 경향을 증대시켜 횡방향 선회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AGCS 시스템은 SUV 차량의 롤오버 발생 방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예를 들면, Fishhook 시험상황에서는 액츄에이터의 제어 스트로크 값을 크게 움직여야 하는데 초기 제어레버는 액츄에이터 축과의 옵셋량이 커서 동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레버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여 작동시 옵셋량을 작게 축소하였다. 그 결과 AGCS 작동시 작동 효율이 증대되어 소모 전류값이 약 36%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응답속도도 50%이상 빨라졌다. (후략)
(참고, Fishhook :낚싯대 고리 모양, 물음표 모양을 뜻하는 것으로, 차를 직진으로 가다가 왼쪽으로 약간 틀었다가 다시 오른쪽으로 급선회하는 주행 패턴입니다.. 도로위에 장애물 있을 때 급하게 피하는 상황과 비슷하여 이쪽 분야에서는 동적 평가에 많이 쓰이는거 같네요..)
AGCS는 기본적으로는 고속 선회시에 뒷바퀴 토우각을 변화시켜 선회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SUV 등의 차량의 롤오버 (전복) 제어와의 통합 제어를 노리는 듯 합니다..
비록 해외 타 업체에서 이미 많은 연구 성과를 보인 분야인지라 신선함이 떨어질 수도 있으나, 앞으로 샤시 및 서스펜션 제어가 통합제어로 가는 추세로 볼 때, 이쪽 분야에서 고유 기술을 하나라도 가진다는 것은 상당한 발전을 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은 2006년도 춘계 자동차공학회 논문에서 AGCS에 대해 발췌한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읽어보세요.. 논문에 실린 그림은 위에 주영님의 자료랑 같아서 생략합니다..
.
.
.
본 논문의 목적은 차량 핸들링 성능을 탁월하게 향상시키는 능동형 타이어 궤적 제어장치, AGCS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시스템이 SUV 차량의 롤오버 발생 방지에도 효과가 있음을 실차 시험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중략)
2. AGCS 시스템 개요
AGCS 시스템은 주행 조건에 따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 특성을 변화시켜 최적의 차량 거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AGCS 시스템의 제어 개념은 다음과 같다. 직진 주행시나 저속 선회시에는 범프 토우의 크기를 작게 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키며, 차체의 Roll 거동이 수반되는 고속 선회시 및 급조타에 의한 고 횡G 발생시에는 조향각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받아 ECU에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범프 토우를 크게 하는 방향으로 후륜 서스펜션 차체쪽 링크 질점 위치를 제어하여 언더스티어 경향을 증대시켜 횡방향 선회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AGCS 시스템은 SUV 차량의 롤오버 발생 방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예를 들면, Fishhook 시험상황에서는 액츄에이터의 제어 스트로크 값을 크게 움직여야 하는데 초기 제어레버는 액츄에이터 축과의 옵셋량이 커서 동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레버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여 작동시 옵셋량을 작게 축소하였다. 그 결과 AGCS 작동시 작동 효율이 증대되어 소모 전류값이 약 36%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응답속도도 50%이상 빨라졌다. (후략)
(참고, Fishhook :낚싯대 고리 모양, 물음표 모양을 뜻하는 것으로, 차를 직진으로 가다가 왼쪽으로 약간 틀었다가 다시 오른쪽으로 급선회하는 주행 패턴입니다.. 도로위에 장애물 있을 때 급하게 피하는 상황과 비슷하여 이쪽 분야에서는 동적 평가에 많이 쓰이는거 같네요..)
2007.05.12 23:40:14 (*.127.196.182)
Fishhook test는 전복안전성에 대한 대표적인 시험방법입니다 낚시 바늘 모양의 기동을 하기때문에 Fishhook이란 이름이 붙었고 실제로도 똑같습니다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차량 선회 안전성에 대한 법규제정이 추진중이라 많이 시험하고 있는 방법입니다 같은 목적의 시험법이 여러가지 있고 최근의 경우 사인파와 비슷한 sine with dwell이란 방법 역시 주요한 시험방법이 되고 있습니다 이 시험은 사람이 핸들을 돌리는것이 아닌 시험장비가 직접 조향을 시행합니다 차가 완전히 전복되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앞뒤 범퍼 위치에 길다란 막대기를 달고 시험을 하죠... 물론 막대기 끝에는 작은 바퀴가 달려있습니다 이시험은 ESP란 장비를 필수화 하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하는것입니다 앞으로 미국에 수출할 차량들은 ESP를 반드시 장착해야 하고 시험에 통과해야만 합니다 (ESP 없이는 통과할수없도록 되어있습니다)
2007.05.12 23:48:04 (*.127.196.182)
시험방법과 규정에 대해 법규제정주체와 자동차제조업체들 사이에 신경전이 있는데... 규정을 만드는 쪽은 더 높은 한계를 요구하고 있고 제조업체들에선 어떻게 해서라도 한계를 낮추려고 노력중입니다 (몇개 회사의 몇몇 차량은 ESP 장착 차량인데도 불구하고 시험을 통과 못하는 차량도 있었습니다) 현대의 시도는 더 강력한 규제에도 대응하겠다는 의미로 보이고 ESP와 연동하는지는 확인못해보았지만 결국 ESP와 통합제어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무래도 롤 각도만으로 제어하는것은 코스트 이외엔 크게 의미가 없어보이고 역시 yaw 센서나 lateral acceleration 센서 신호에 의한 ESP 통합제어시에 의미가 있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