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601222515495&p=imbc
현대차측은 점검 결과
에어백에는 이상이 없었다며
"충격이 약하거나 충돌 각도가
센서 감지범위를 벗어나면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고갱님 사고날때 정신 바짝 차리고 에어백 센서를 제대로 때려주셔야 에어백이 터집니다. -_-
에어백은 원래 그러니까 모르면 그냥 닥치고 죽는겁니다.

작년 겨울에 제차가 눈길에 미끌어지면서 보도블럭에 바퀴가 부딪혔을때 사이드 에어백 다 터져서 뭐 이런거에도 터지냐 하고 수리비 왕창 나와서 울던거하고 반대 경우네요.
제 차의 경우는 바디가 한군데도 안다치고 운전석쪽 휠만 부딪혀도 에어백이 터졌습니다.충격이 어디에 발생하건 센서에 전달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무슨 차에 맞춰서 사고를 내나 -_-
에어백이 각도나 환경에 맞게 터지건 말건 사는 사람 입장에선 6천만원짜리 관사는게 아니거든요.
누가 저정도에 안터질거라고 생각하고 차를 삽니까.
원래 에어백은 복불복이고, 특히 나무 같은 물체는 앞쪽으로 박아도 안터질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반대로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도 지 맘대로 터지는 경우도 있구요.
어느 회사든 확률상 뚜렷하게 부정확한 작동양상을 보여주는 에어백을 지속적으로 달고 팔지 않습니다. 특정 회사의 불만 접수건수가 유달리 많아 에어백이 불량이라는 의심이 생겨나면, 이에 따르는 정부 차원의 조사가 있게 되고 여기서 결함이 발견되면 리콜하거든요. 아래는 실제로 리콜한 건이니 다음을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굵게 표시한 부분은 실제로 에어백이 터지지 않았다는 불만건수는 아니고 관련 센서가 오작동한다는 불만이 접수된 수인데, 사실 어느 회사든 찾아보면 사고가 났는데 에어백이 안터졌다는 내용의 불만도 그리 어렵지 않게 수백개씩 발견할 수 있습니다)
BMW is being investigated by Federal safety officials on whether it’s “Intelligent Airbag System” is in need of a recall. If the recall does take effect, more than 300,000 BMWs should be recalled.
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said it is reviewing various 2004-06 BMW models because the sensing system for the front passenger’s front-impact airbag may malfunction. The system is designed to measure the severity of a crash and deploy the airbags at a corresponding speed or force. The problem seems to be that, according to the NHTSA, the BMW airbags may be turned off when they should not be. This causes a very serious safety concern.
The agency said today that it and BMW together have collected more than 700 complaints about the sensing system. BMW also has recorded more than 23,000 possibly related warranty claims, according to a document on NHTSA’s Web site. BMW has issued a service bulletin to fix the issue, and is in the midst of cleaning up this mess. If you think your affected than head on over to the local BMW dealer and get this sorted out.

문제는 저러고 나서 댜처방법이 더 웃기는거죠.
탑승자가 판사나 정치인이몈 저딴소리 안할겁니다.
뭐 국내 회사고 워낙 팔린차가 많으니 알려진 횟수도 당연히 많고 이슈화도 많이 되었겠죠...
에어백 기술이 좀 더 발전해야 할 필요는 있을 거 같습니다.
사고란게 워낙 케이스별로 달라서..그런데 어떻게 저정도 사고가 사망사고가 된건지가 의아스럽네요...
에어백이란게.. 보조 안전장치라 기준이 명확이 없다더군요(어제 기사에).
저정도 사고면.. 터졌어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만...

저희회사 차량인 H사의 그랜드S타랙스(^^)가 몇 달 전에 신호위반하고 넘어오는 오토바이에게 정면 충돌을 당한 적이 있었는데요, 충돌시에는 에어백이 안터졌었고 정신차리고 사고 수습하려 문여는 순간 터져서 직원이 크게 다칠 뻔한 사례가 있습니다. 복불복 치고는 너무 위험하고 일관성이 없어서 불안한 안전장비중 하나인것 같습니다.

아무때나 터지는것보단 잘 안터지는게 낫죠...
그리고 "보통 사람"이 사고 정황을 정확히 모르고 이후에 차만 보고 판단하면 안됩니다....
또한 에어백은 게임으로 치면 "방어도 10% 증가" 아이템 정도밖에 안됩니다. 무슨 방어도 500% 증가쯤 되는 만능 아이템이 아닙니다.

사이드에어백센서는B필러에 내장되어있는거롤알고있는데 프레임이 저정도까지 먹고들어와 전체적인 구김의 정도로보자면
저정도라면 전개되어야 맞습니다.
사이드충돌시험때보다 더 먹었네요.

언제부턴가 테드도 현기차에 민감한 분위기여서 댓글달기가 조심스럽긴 하지만...
저정도 사고면 에어백이 터지는게 맞지 않을까요?

에어백이 터지는게 오히려 위험한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충격시 무조건 에어백이 터지는 형태로 설계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저정도 충돌이면 에어백은 무조건 터져야 합니다.
현기차가 아니라 무슨차라도 저런건 욕먹고 비난 받아야 할 일입니다.
쿨하게 원래 복불복이니 현기차가 많이 팔려서 저러느니 하기 전에 입장 바꿔서 자기 가족이 육천주고 산 차에 저런 일이 일어나서 죽었다고 생각해도 과연 저런 충돌에 에어백이 복불복이니 괜찮다 말할 수 있나요.
한국사람 참 관대해요.
유족의 동의를 얻어서 저 부서진 제네시스를 가지고 다시 조건에 맞게 30Km 이상에 충격을 가해보면 어떨까요....
아마 그래도 안터지면 그리고 에어백 경고등도 안켜져 있다면 아마도 현대의 치명적인 오류, 결함으로 나타날 수 있을것 같네요..
터지면, 사고당시 조건이 안맞았다고 하는 현대의 주장이 맞는것이구요..
(근데 이미 차대가 휘어져서 현대 입장에선 또 30도 각도 범위를 벗어나서 그렇다고 할순있겠군요.. )

벤츠나 BMW, 렉서스는 에어백 안터진 적이 하나도 없다면 저도 앞장서서 현대차 비난하겠지만 그렇지는 않으니까요. 오두환님의 기존 글과 성향을 보면 현대차에 대해 상당히 크리티컬 하신 것 같습니다.
(아반떼 하이브리드 구입후 거의 1달에 한 번꼴로 사업소에 들어가게 만들어서 폭발하기 일보직전인데 들어갈 때마다 대방동 남부사업소 보면 충돌사고로 에어백 터진 차들 1층에 종종 보입니다. 설마 에어백 터지는 조건을 옵션으로 했겠습니까)
그런데 기사의 제네시스는 정면도 멀쩡하고 측면도 크게 부서진 것은 아닌데 운전자가 사망했다는 것은 조금 의외네요.

측면충돌이 얼마나 위험한건데...
말로 설명할 방뻡이 없네...
응급실서 환자들을 직접 보면 바~로 알텐데...
터질게 안터진거 명백한거 같은데...
참~ 재미있고 반응도 다양하네...
아마 측면충돌로인한 경추/뇌/폐 등의 손상으로 사망하셨을듯...
출혈의 흔적이 적다는게 그걸 뒷받침해주는거...
그렇게 따진다면 더더욱 사이드 에어백 안터진게 문제...
저 정도면 현대차 내에서도 난리가 났을 듯 합니다..최소한 사이드 에어백 제작결함이거나, 센서 또는 Air bag control unit 이상(가장 가능성이 높을 듯..)일 텐데... ACU maker (아마도 보쉬 코리아) 또는 에어백 메이커(오토리브 코리아)때려 잡을 시간을 벌고 있는거 같네요. 에어백이 강제로 터지지 말아야 할 로직은... 에어백으로 인한 상해가 높을 경우인데.... 저건 절대 아닙니다.
경험상.. 에어백 관련 작은 문제만 발생해도.. 현대차 내부에서는 원인 분석을 해서 찾아 냅니다. 다만, 결함 사실은 인정을 안하더군요.... ㅉㅉㅉ...

현대차가 무조건 욕을 먹어야 하는건 안니지요.
저 사건 하나만 놓고 볼땐 저게 현대차가 아니라 어떤 회사라도 물건을 못팔게 해야지요.
현대차에 대해 나쁜 감정이 있어서 그러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원래 악질기업인건 새삼 말 안해도 온국민이 아는건데 뭣하러 여기에 개인감정을 개입 시킵니까?
깔만한것도 가치가 있어야 까지요.
생략한 부분을 다시 다 풀어서 써드리자면, 에어백은 감지 방식의 구조적 특성상 사고가 나더라도 전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것은 에어백의 특성이기에 메이커를 불문하고 이러한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고, 따라서 single incident의 존재는 '자동차 제조사가 차를 잘 못 만들었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없고, 그러한 주장을 하려면 이러한 사건이 얼마나 빈번하게 일어나는가를 관찰한 후 특정 메이커의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을 때에만 할 수 있다. 라는 것이 요지입니다.
비유를 통해 다시 한번 서술하면, P Zero를 장착한 차량이 240kph로 달리다 타이어가 터진 일개 사건을 놓고, 그간 RE050을 써오면서 240kph에서 타이어가 터진적이 없다는 자신의 경험을 제시하며, Pirelli의 타이어는 고속 주행시 타이어가 터지는 결함이 있다 또는 타이어가 잘 터진다 라는 주장을 펼치는 것은 무의미한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무의미한 주장이라는 말입니다.
에어백이 감지 방식의 구조적 특성상 사고가 나더라도 전개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도 알며
위 사건 같은 single incedent가 "제조사가 자동차를 잘 못 만들고있다" 라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없음도 알고,
저는 이 사고 한 건 가지고 "현대차 사이드 에어백은 사고 시 안 터진다. 그러니 제품 못 팔게 하자" 라고 주장 할 생각도 없습니다.
다만, 저 정도의 사고라면 안 터질 수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안전장비의 특성상 몇 년동안 차를 몰며 혹 한 번 정도 일어날 사고에 대비함이 그 목적인데
감지 방식의 구조적 특성상 안 터진다면 그 감지 방식에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도 "안 터질 수도 있는 경우도 있다" 라고 하신다면, 요 밑에 달린 다른 분의 댓글을 잠시 빌려서...
"이건 확률상의 문제로 비엠더블유나 벤츠도 가끔 일어나는 일이니 죽은 사람이 재수 없는거다"
라는 말씀으로 들립니다.

측면 사고는 작은 충격에도 머리나 기타 부위에 바로 충격이 와서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측면이 멀쩡해도 사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그래서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중요하죠.
사진만 놓고 보면 에어백 안터진게 사망 원인 중 큰 부분인것은 맞는것 같습니다.
저정도 인데도 안터지면 그럼 대체 언제쯤 되야 터질 수 있는건지..
에어백 센서 오류가 아니라고들 하시면 에어백 센서가 모자라거나 센서 위치가 하자가 아닐까요?
그리고 반응 다양하다고 하시는 윤중님 의견에 한표입니다.
저정도면 우리가 웹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미교통안전국 측면추돌테스트결과보다 차체가 더 먹은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60킬로 이상의 속도로 장애물에 측면으로 충돌했다는 얘기인데 사이드 및 커튼에어백이 당연히 터져야 하는 상황인 것 같다눙...
한편 여기는 현대자동차 대변인 같은 자동차전문가(?)분들이 참 많음을 역시 느낌돠~ ^^;;
어떻게 저런 사고에 대해서 소비자로서 분개하는 마음이 먼저 일지, 이건 확률상의 문제로 비엠더블유나 벤츠도 가끔 일어나는 일이니 죽은사람이 재수없는거다라는 논조로 접근할 수 있는지 도대체가 원...
정확한 사고상황을 알지도 못하면 왈가왈부할수 없는건가요?
사고사진만으로는 우리는 아무것도 알수가 없는건가요?
쓸데없는 논란이 커지는 것을 불편하게 느끼는 분들이 많은것은 알지만, 이정도면 불필요한 논란 수준은 아닌것 같고 충분히 이슈화될만한 상황인 것 같은데요..
거기에다 사망사고라.. 휴우~ 요즘에는 사람 죽는걸 너무 쉽게 생각하는 풍조가 있는건 아닌지..
(뒤늦게) 답글들을 찬찬히 읽어보니, 원래 에어백은 확률상의 복불복 제품인 것이로군요..
생명을 좌우하는 안전옵션인데, 작동도 옵션이라.. 하하하.. ㅠ.ㅠ
그렇다면 더더욱 기본기가 충실한 차(=차체강성+알파?)가 절실해지는 현실이네요..

에어백 전개조건이 다양합니다.....
예전에 비해서 많이 나아졌다고 하는데....
이런 사고를 보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저도 에어백쪽에 오류가 있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현대의 대응은 뭐... 전형적인 언론 대응 메뉴얼에 따른 내용인지라 뭐라 흠잡을 것 없어 보입니다... 어떤 회사에서 저 이상의 코멘트를 언론에 내보내나요...)
암튼 사고 차량을 보면 운전석측은 완전히 가격 당한(?) 상태이고, 천정과 내장제까지 뒤틀린 것으로 봐서는 상당한 충격이었던 것 같습니다...
게다가 측면이라 안전벨트로는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했을 것이고요...
운전자는 B필러나 유리창에 직접적으로 머리를 부딛혔을 것이고, 순간적으로 목뼈(척추라고 해야하나요?)도 꺾였을 가능성도 있겠죠?
전/후 추돌 사고와는 완전히 다른 케이스라서 사이드 에어백 동작 유무에 따라 운전자의 충격량은 엄청난 차이였을 것 같습니다...
센서의 위치나 각도가 안맞았다고 하더라도 저정도 충격량이면 동작하도록 로직을 짜야되는거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드네요...
너무 조건만 따지면서 대응하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에어백 차별이라고 욕들어 먹는 현기차인데 말이지요... ㅡ.ㅡ;;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PS. 이런 사고 내용은 타 메이커나 차량과 단순 비교해서는 안될 내용인 것 같습니다... 타사/타모델은 그저 다른 사건일 뿐입니다... 불필요한 변수가 추가되어서 이야기될 내용은 아닌 듯 합니다... 안전 관련 내용이기 때문이죠... 갑자기 볼보 생각이... ㅡ.ㅡ;;
제 생각에는 센서 자체의 결함보다는 그 충격량을 받고 에어백 전개를 판단하는 컨트롤 유닛이 잘못된거 같기도 하네요. 제네시스380같은데 제가 들은 기억으로는 제네시스380은 수출형과 거의 동일하게 전수검사를 하기 때문에 불량률이 330보다 적다고 합니다.
아무튼 억울하게 돌아가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갠적으로 사고원인 떠나서 에어백 전개조건 운운하는 현대관계자가 참 미워보이더군요. 미국에서 그런소리 할수 있을지......
더불어서 미국의 NHTSA같은 기관 빨리 설립해야 된다 생각됩니다.

댓글이 좀 이상하게 돌아가네요.
비엠이든 벤츠든 에어백 터져야 하는데 안터지면 욕먹는게 당연한거죠.
저 차량을 봤을때 저정도면 당연히 터져야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요. 독일차도 안터질때가 있다고 해서 이번 사건에 현기차가 비난을 피할 수 있는건 아닌거 같은데요.
특히나, 국내에서 팔린 대수가 많은 현기차니 더더욱 자국민의 안전을 생각했을때 더 노력하는게 맞고, 더욱 엄격한 잣대로 안전기준을 맞춰줘야 한다고 생각됩니다만..

사실 제 경우엔 큰 충돌이 아니었는데 안터져도 될 상황에서 에어백이 터져서 수리비가 많이 나오고 기간도 한달이나 걸려서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솔직히 첨엔 좀 짜증이 나고 돈 깨지는거 생각하면 기분 안좋기도 한데 다시 생각해보니 이차가 그래도 제 역할은 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드는겁니다. 돈 들어도 그런걸 확인하면 만족이 되는거죠.
운전자는 안전장치가 100% 만족하게 동작할거라고 신뢰는 안하지만 반신반의 하면서도 상식적인 선에서는 자기를 살릴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사람이 죽은건데 원래 그런거라는 말은 입장 바뀌면 나오기 힘들겁니다.
저런 규모의 충돌에서 에어백 작동 안해서 사람이 죽어나가면 저게 6천 주고 관 짜서 사람 죽은거나 다를바 없습니다.
당장 입장 바꿔서 저런 경우 당하고 다치면 에어백은 원래 그런거니 내가 닥치자 라는 말을 할 수 있을까요?
그나마도 살아야 뭘 하던 말든하지...

자신의 생각에 공감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고 그 사람을 비난하지 맙시다.
'현대차만이 아니고 다른 메이커에도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말한것 뿐인데 현대자동차를 감싸고 돈다는 식으로 싸잡아 열을 내니 상대를 안해주는겁니다.
여기 분들은 논리적으로 이해를 못하고 감정적으로 달려드는 사람하고는 대화를 안하는 경향이 있지요.
특히 링크한 '다음'쪽의 토론방식은 여기랑 안맞습니다.
인정에 호소하고, 입장 바꿔 생각하고, 사람이 죽었는데... 이런식으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지요.
그냥 난동일 뿐이지요.
현대차 (i30) 메뉴얼에 나와 있어요 ㅎㅎㅎ
가로수나 전봇대 같은거 충돌시에 가급적 정면으로 박으라고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