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인증규격이 다르던데,오토바이용은 자동차용과 어떻게 다른가요?
오토바이용은 안감이 노맥스가 아닌것 같던데, 오토바이용을 쓰고 써킷을 달리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구조 면에서는 쉴드 시야각(라이딩 자세와 운전 자세의 차이), 소재 면에서는 난연성 내피를 썼냐 하는 차이네요. SNELL 규격상으로는 SA(4륜), M(2륜), K(카트) 정도로 나뉩니다.
FIA 공인 레이스에 출전할 정도의 프로 레이싱 드라이버가 아니라면 그닥 상관 없겠죠.

일단 외형적으로는 실드 부분이 바이크용이 더 큽니다.(오픈된 부분)
그리고 안감재질이 차이가 있겠고, 일부 모델의 경우 자동차용은 한스 부착이 가능한 홀이 있구요.
자동차용이라도 안감이 노맥스가 아닌 것도 있습니다(낮은 등급 제품)
허승님께서 평생 서킷을 타시더라도 프로 선수가 아닌 이상 과연 노맥스가 필요한 일이 있을까 생각해봅니다.
참고로 D1이나 포뮬러D같은 프로리그에서도 바이크용헬멧을 착용하는 드라이버들이 있습니다.

세부사항에서 많이 다르지만, 자동차용 헬멧이 모터사이클용과 다른 점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내연성 테스트
2. 좁은 시야각 허용
3. 다중충격 테스트 (사고 시 롤케이지와의 접촉 빈도가 높기 때문 - 내연성 소재와 더불어 자동차용 헬멧의 포인트입니다)
헬멧 규격은 클럽 이벤트 정도면 확인 안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은데요.. 그래도 PCA나 BMW CCA 같은 곳에서 주최하는 이벤트에서는 상당히 중요하게 체크하는 항목입니다. 트랙에서 규격에 맞지 않는 헬멧을 착용했다가 사고가 나서 안전장비 미착용으로 문제가 커지는 사례를 상당히 많이 봤습니다. 특히 트랙용 자동차 보험(진짜 극소수의 특수보험사들이 상품을 팔더라고요)의 경우 사고 났을 때 보험처리가 불가능합니다.
저는 두 종류의 헬멧(자동차-심슨, 모터사이클-쇼에이)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만, 제가 가지고 있는 헬멧으로 눈에 보이는 차이를 비교하자면.. 제조사의 차이 때문인지 뭔지는 몰라도, 모터사이클용 헬멧이 외형상으로 크기가 작더군요. 그리고 자동차용은 CFRP이고 모터사이클용은 FRP임에도 불구하고 무게가 비슷하고요. (심슨 헬멧은 CFRP랑 FRP 무게차이가 거의 두 배 정도 납니다)
다른 곳도 아니고 머리를 보호하는 건데.. 최소한 헬멧이라도 규정에 맞춰서 써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자동차용이라고 말하는것은 우리가 타고 있는 자동차의 자동차를 의미하는것이 아닙니다
엄격하게 이야기 해서 포뮬라 용입니다-카트 포함-
그래서 쉴드의 두께가 사륜용이 좀더 두껍습니다
생각해 보시면 바이크는 전면 쉴드가 있고 전방주시 각도가 다르죠
포뮬라는 바로 맞기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
그리고 불연소재는 규정이 있는 레이스에 적용되며
아마추어 레이스및 일부 화재의 위험이 적은 레이스에는 따지지는 않습니다
바이크 헬멧도 사용가능하나..
어이없는 스타일은 스쿠터용..충격에 벗겨질수 있는 스타일...
턱큰이라고 하죠 이부분이 취약 또는 편의성이 강조된 제품은 구입하지 마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그외는 바이크 헬멧도 전혀 관게 없습니다.
전 헬멧도 중요하지만...
서점식 안전벨트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시고..
장착도 신경써서 하셨으면 합니다
벨트선택에 너무 무신경하다고 느낍니다,,,
사고 경험은 없지만.............박아보면 젤 중요한건 벨트입니다
그리고 헬멧
한 때 헬멧을 수집했었는데, 대충 봐서 관찰할 수 있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용 헬멧이 더 비쌈 (차/바이크용 헬멧을 둘 다 만드는 회사의 경우, 보통 같은 등급이라 하더라도 자동차쪽이 50~100%쯤 비쌉니다. 상급 카본 모델 간의 가격차는 그다지 크지 않은데, 하급 모델 간의 가격 차이는 상당히 큽니다)
- 자동차용 헬멧의 상하 시야가 훨씬 좁음 (모터사이클은 주행시 정면을 똑바로 쳐다보지 않고, 보통 앞으로 머리를 숙인채 눈을 치켜들어 앞을 노려보는 자세를 취합니다)
- 자동차용 헬멧의 통풍이 훨씬 부실함 (일반적인 차량이라면 보통 에어컨이 있고, 에어컨이 없더라도 모터사이클만큼 열원과 가깝지 않은데다, 주행시 신체 노동의 강도가 훨씬 약하다 보니 그런것 같습니다. 보통 자동차용 헬멧의 통풍 시스템은 두어등급 낮은 모터사이클 헬멧과 비슷합니다)
- 자동차용 헬멧이 같은 사이즈라도 상대적으로 더 헐렁함 (이건 두상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자동차용은 대체로 바이크용보다 턱 쪽이 부실하고 뒷목 쪽이 더 강합니다)
- 자동차용 헬멧의 윈드실드가 좀 더 무식하고 체결 방식이 다름
- 자동차용 헬멧에만 있는 몇몇 특수장비 (Hans 시스템용 체결장치 등)
그 외에 인증 과정에서의 차이점은 방염 기능 테스트 유무, 롤케이지에 때려보기 유무 정도가 있겠습니다. 규정/안전 등을 논외로 하고, 단순히 사용이 가능하냐만 따져보면
차량에서 바이크 헬멧 사용 = 가능
바이크에서 차량 헬멧 사용 = 불가능
이상입니다.

우아...너무나도 상세한 답변들 정말 감사합니다.
저로서는 당연히 클럽 이벤트에나 쓸테니 굳이 자동차용을 고집하지 않아도 되겠네요.
착용감만 나쁘지 않다면 왠만해서 그냥 사용해야겠습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혹시 북미 거주하시고 트랙 주행 용도로 사용하실거면 바꾸시는게 좋으실듯 합니다.
제가 가본 모든 트랙 이벤트에서는 자동차용 헬멧 인증인 Snell SA 등급을 요구했고, 검사도 확실히 했었습니다..
동네 오토크로스도 SCCA 이름을 달고 하는거면 마찬가지이구요.
충격흡수는 물론 화재에 대비한 방염처리까지 되어있다면 자동차용, 오로지 충격흡수를 위해서만 되어있다면 바이크용인듯 합니다.
다만 자동차 레이싱용으로서 FIA인증을 받은 헬멧은 대부분이 상당히 고가이지요. 그래서 실제로 서킷을 취미로 타는 사람들은 FIA인증을 받지 않았고, 방염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바이크용 헬멧을 많이 쓰기도 합니다.
물론 바이크용도 고가 제품군은 매우 고가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