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스포츠 드라이빙중에 하중이동이 굉장히 궁금한데
어떤 개념인지 어떻게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어떤 개념인지 어떻게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2015.02.16 19:19:41 (*.245.48.156)
전 와인딩 타면서 하중이동에대해 고민해본적은없습니다만 그냥 적당한속도로 코너진입후 아웃 인코스만 머릿속에그리고 빠른악셀링으로 탈출하는게 정석아닐까합니다 ㅎ 드리프트같은경우는 예외죠
2015.02.17 00:08:23 (*.162.237.18)
개념은, 타이어의 그립은 정지마찰력이 아니라 운동마찰력이기 때문에 수직하중에 따라서 커지고 작아지고 할 수가 있는데, 전후좌우로 가/감속을 하게 되면 전/후 좌/우 무게중심을 작용점으로 관성 때문에 하중이 관성이 힘을 주는 방향으로 오락가락 합니다.
하는 법은... 그냥 이동을 어떻게 하느냐.. 악셀, 브레이크, 핸들 조작 할 때 항상 일어나구요, 그걸 효과적으로 하는 법은.... (제가 지식이 짧아서 그렇겠지만) 말로 하기가 좀 힘드네요. 컵 홀더에 물컵 꽉 끼우고, 70%정도 채워 놓고 뚜껑 안 닫고 보면 하중이동이 눈으로 보입니다.
2015.02.17 10:10:36 (*.22.200.81)

하중을 컨트롤하는 이유는 위에 성모님께서 말씀하신대로 타이어의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컨트롤하는 방법은 위에서 말한대로 차 바닥에서 볼링공 굴리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우실겁니다.
타이어에 하중을 줘서 눌러주게 되면 타이어가 찌그러지면서 접지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의 접지력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이 타이어의 접지력을 감속, 선회, 가속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적절하게 하중을 잘 이용한다면 같은 타이어라도 이 세가지에 사용할수 있는 타이어의 능력이 더 커지는 겁니다.
컨트롤하는 방법은 위에서 말한대로 차 바닥에서 볼링공 굴리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우실겁니다.
타이어에 하중을 줘서 눌러주게 되면 타이어가 찌그러지면서 접지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의 접지력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이 타이어의 접지력을 감속, 선회, 가속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적절하게 하중을 잘 이용한다면 같은 타이어라도 이 세가지에 사용할수 있는 타이어의 능력이 더 커지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