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최남규입니다.
자가정비에는 사실상(--;)필요없는 것이 토크렌치라지만 (엔진작업시에는 필수인 부분이 많지요) 저도 역시나 휠너트 조일때도 토크렌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너무 비싼 것은 엄두가 안 나서 적정가격 제품(QL-MH형)을 사용중인데요.
우선 가장 궁금한것은요.
보통의 경우 (당연히!) 토크렌치는 조일때만 사용하게 되지요.
허나, 토크렌치 헤드부분도 일반 깔깔이(죄송합니다. 정확한 명칭이 라쳇핸들인가요? 정확한 명칭이 헷갈려서)같이 조이는 방향, 푸는 방향 두가지로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있지요?
그런데, 제가 듣기로는 푸는 쪽으로는 절대 사용하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휠너트 풀때도 쓸 수 있으면 참 편리할텐데 말이지요. (수치를 한참 크게 잡아놓고 풀면 딸깍거릴 염려가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말입니다.)
그걸 알 수가 없어서, 휠너트 풀 때는 항상 복스핸들로 일일히 뱅글뱅글 돌려가며 푸는데...
토크렌치로 (예상 조임토크보다 훨씬 큰 수치로 조정한 후) 너트를 푸는 것도 토크렌치에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그리고, 또 한가지...
여러 정비사들에게 자문한 결과 대략 800~900Kgf·cm(아... 이 단위도 정확한지 모르겠습니다. 이 무식함...ㅠㅠ)정도를 이야기하더군요. (사람마다 이야기하는 수치들이 달라놔서... --;)
물론, 차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몇홀인지에 따라서 라던가), 일반 승용차의 경우라면...
휠너트의 조임토크는 어느 정도가 적절할런지요?
이 게시물 작성 전에 인터넷 검색을 하다 보니, 정말 저가형 토크렌치도 많이 나왔네요...
자가정비에는 사실상(--;)필요없는 것이 토크렌치라지만 (엔진작업시에는 필수인 부분이 많지요) 저도 역시나 휠너트 조일때도 토크렌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너무 비싼 것은 엄두가 안 나서 적정가격 제품(QL-MH형)을 사용중인데요.
우선 가장 궁금한것은요.
보통의 경우 (당연히!) 토크렌치는 조일때만 사용하게 되지요.
허나, 토크렌치 헤드부분도 일반 깔깔이(죄송합니다. 정확한 명칭이 라쳇핸들인가요? 정확한 명칭이 헷갈려서)같이 조이는 방향, 푸는 방향 두가지로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있지요?
그런데, 제가 듣기로는 푸는 쪽으로는 절대 사용하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휠너트 풀때도 쓸 수 있으면 참 편리할텐데 말이지요. (수치를 한참 크게 잡아놓고 풀면 딸깍거릴 염려가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말입니다.)
그걸 알 수가 없어서, 휠너트 풀 때는 항상 복스핸들로 일일히 뱅글뱅글 돌려가며 푸는데...
토크렌치로 (예상 조임토크보다 훨씬 큰 수치로 조정한 후) 너트를 푸는 것도 토크렌치에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그리고, 또 한가지...
여러 정비사들에게 자문한 결과 대략 800~900Kgf·cm(아... 이 단위도 정확한지 모르겠습니다. 이 무식함...ㅠㅠ)정도를 이야기하더군요. (사람마다 이야기하는 수치들이 달라놔서... --;)
물론, 차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몇홀인지에 따라서 라던가), 일반 승용차의 경우라면...
휠너트의 조임토크는 어느 정도가 적절할런지요?
이 게시물 작성 전에 인터넷 검색을 하다 보니, 정말 저가형 토크렌치도 많이 나왔네요...
2007.04.15 22:25:16 (*.39.111.108)

안녕하세요
저 같은 경우는 토크렌치는 스냅온을 사용합니다.
푸는쪽으로 사용을 하면 안된다가 아니라 사용해도 되는 토크렌치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해도 되는 경우는 푸는 토크를 측정할 때도 사용합니다.
가령 매뉴얼이 없는 경우에 특이한 싸이즈 볼트의 경우 풀면서
측정을 합니다. 물론 대개의 경우 볼트는 국제규격이라서
볼트만 보면 토크가 바로 나오지만 현업이 아닌분들은 규정토크를
모르면 난감하시겠지요? 그럴 경우에 풀면서 토크를 측정해서
메모를 하기도 합니다. 그런 용도의 토크렌치는 풀때 사용해도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토크렌치는 대중적인 제품이 있고
정밀한 제품도 있고 아주 고가의 제품도 있습니다. 천단위를 호가하는
제품도 있지만 저 역시 120만원 짜리를 8년전에 구입해 사용중입니다.
너무 저가의 제품은 사실상 영점이 자주 틀어지기 때문에
비추천입니다. 최소한 일제정도는 되야 보통의 용도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휠볼트 내지는 너트는 대개의 경우 12~13키로 선입니다.
키로 와 뉴튼 파운드의 차이는 단위환산 조견표를 보시면 이해가 빠를듯
합니다. 주의 하실점은 토크렌치는 떨어트릴 경우 영점이 틀어집니다.
절대로 충격을 가해서는 안됩니다.
위에 말한 일제제품 대부분이 풀때도 사용가능한 대중적 제품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토크렌치는 스냅온을 사용합니다.
푸는쪽으로 사용을 하면 안된다가 아니라 사용해도 되는 토크렌치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해도 되는 경우는 푸는 토크를 측정할 때도 사용합니다.
가령 매뉴얼이 없는 경우에 특이한 싸이즈 볼트의 경우 풀면서
측정을 합니다. 물론 대개의 경우 볼트는 국제규격이라서
볼트만 보면 토크가 바로 나오지만 현업이 아닌분들은 규정토크를
모르면 난감하시겠지요? 그럴 경우에 풀면서 토크를 측정해서
메모를 하기도 합니다. 그런 용도의 토크렌치는 풀때 사용해도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토크렌치는 대중적인 제품이 있고
정밀한 제품도 있고 아주 고가의 제품도 있습니다. 천단위를 호가하는
제품도 있지만 저 역시 120만원 짜리를 8년전에 구입해 사용중입니다.
너무 저가의 제품은 사실상 영점이 자주 틀어지기 때문에
비추천입니다. 최소한 일제정도는 되야 보통의 용도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휠볼트 내지는 너트는 대개의 경우 12~13키로 선입니다.
키로 와 뉴튼 파운드의 차이는 단위환산 조견표를 보시면 이해가 빠를듯
합니다. 주의 하실점은 토크렌치는 떨어트릴 경우 영점이 틀어집니다.
절대로 충격을 가해서는 안됩니다.
위에 말한 일제제품 대부분이 풀때도 사용가능한 대중적 제품입니다.
2007.04.16 10:00:02 (*.87.60.117)

휠볼트에 토크렌치를 쓴다면 아끼면서 쓰기 힘들 듯합니다.
그래서 저는 막쓰는 용도로, 휠볼트에는 중국산을 쓰고 (풀기에도 그냥 사용하고, 그냥 한계점 확인용 정도), 조임토크는 자주 교체하는 것을 감안해서 10kgm 이하로 합니다.
물론 정밀작업에는 좋은 토크렌치가 있는 샵을 가서 맡기는 것이 더 좋을듯...
그래서 저는 막쓰는 용도로, 휠볼트에는 중국산을 쓰고 (풀기에도 그냥 사용하고, 그냥 한계점 확인용 정도), 조임토크는 자주 교체하는 것을 감안해서 10kgm 이하로 합니다.
물론 정밀작업에는 좋은 토크렌치가 있는 샵을 가서 맡기는 것이 더 좋을듯...
2007.04.16 11:49:19 (*.61.18.19)

음... 진정한 '내공'을 전수받는 느낌이네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호선님말씀처럼... 제껀 저급렌치이니... 그냥 막 써야겠네요. ^^;
정밀작업은 샵에 가서... ^^;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호선님말씀처럼... 제껀 저급렌치이니... 그냥 막 써야겠네요. ^^;
정밀작업은 샵에 가서... ^^;
감사합니다.
2007.04.16 14:55:26 (*.214.96.8)

풀때는 사용 안하는것이 일반적인 사용이라 생각합니다
휠의 경우는 11kg로 조아준답니다
차량 정비 메뉴얼에도 그정도 수치 였던걸로 기억합니다
가끔 카샵 임팩이 힘이 약한 경우도 많습니다
휠의 경우는 11kg로 조아준답니다
차량 정비 메뉴얼에도 그정도 수치 였던걸로 기억합니다
가끔 카샵 임팩이 힘이 약한 경우도 많습니다
2007.04.18 23:23:31 (*.199.17.140)
110만원이라...전 25불짜리 구입해서 사용중..-.-
근데 왠만한 정비소에서 토크렌치 쓰는 경우 전무하지 않나요?
스파크 플러그나 브레이크패드 같은부분은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이런부분 조차도 안쓰는것 같던데......물론 얼마나 조여야 하는지 그런것도 모를테고 말이죠
근데 왠만한 정비소에서 토크렌치 쓰는 경우 전무하지 않나요?
스파크 플러그나 브레이크패드 같은부분은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이런부분 조차도 안쓰는것 같던데......물론 얼마나 조여야 하는지 그런것도 모를테고 말이죠
2007.04.19 21:14:16 (*.39.111.108)

음 휠의 경우 저같은 경우는 무슨일이 있어도 13kg을 고집합니다.
경주차를 주로 만지다 보니 그정도는 필수라고 생각이 되더군요
더블어 알미늄이나 두랄미늄 티타늄 제품은 아예 사용을 안합니다.
그리고 실상 토크렌치도 사용자에 따라 체결법에 따라서
같은 토크로 작업을 해도 토크가 달라지게 됩니다.
소성체결이든 머든간에요 그리고 휠 같은 경우 만만하게
볼게 아닌게 잘못 조일경우 4~5개의 볼트 혹은 너트가
토크렌치 수치와는 별개로 다 다르게 나올 소지가 다분합니다.
런아웃이 생긴다는 얘기죠
제가 아는 미캐닉들 대부분이 저와 같은 13키로를 고집하더군여(용인)
머 선택은 알아서 하셔도 됩니다 ^^;;
경주차를 주로 만지다 보니 그정도는 필수라고 생각이 되더군요
더블어 알미늄이나 두랄미늄 티타늄 제품은 아예 사용을 안합니다.
그리고 실상 토크렌치도 사용자에 따라 체결법에 따라서
같은 토크로 작업을 해도 토크가 달라지게 됩니다.
소성체결이든 머든간에요 그리고 휠 같은 경우 만만하게
볼게 아닌게 잘못 조일경우 4~5개의 볼트 혹은 너트가
토크렌치 수치와는 별개로 다 다르게 나올 소지가 다분합니다.
런아웃이 생긴다는 얘기죠
제가 아는 미캐닉들 대부분이 저와 같은 13키로를 고집하더군여(용인)
머 선택은 알아서 하셔도 됩니다 ^^;;
왼나사와 오른 나사가 있기 때문에 방향을 조정할 수는 있겠으나, 볼트를 푸는 방향으로는 사용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휠 너트 조임 토크는 차량 정비 매뉴얼을 보시면 나와있습니다.
알류미늄 휠의 경우 보통 100~130 Nm또는 70-80 lbf ft 정도이고 스틸 휠은 이보다 더 적습니다.
말씀하신 라쳇 핸들의 정확한 표현은 라쳇 렌치( ratchet wrench) 가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