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투스카니 슈퍼차져(12만km)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고속주행중 가속시(x60이상~)전에없던 진동이 느껴지더군요...
진동의 근원지는 도무지 모르겠고...운전석을 기준으로
전방쪽에서 고속주행시 진동이 느껴지며 더이상 가속이 겁이날 정도 입니다...ㅡㅡ
현재 차의 상태는 좀 기간이 된 각종 우레탄 부싱류와 전후방 우레탄 미미...
그리고...브레이킹 할때 전에없었던 느껴질만큼의 진동이 있습니다....
어느 부분부터 살펴봐야 할까요?
고속주행중 가속시(x60이상~)전에없던 진동이 느껴지더군요...
진동의 근원지는 도무지 모르겠고...운전석을 기준으로
전방쪽에서 고속주행시 진동이 느껴지며 더이상 가속이 겁이날 정도 입니다...ㅡㅡ
현재 차의 상태는 좀 기간이 된 각종 우레탄 부싱류와 전후방 우레탄 미미...
그리고...브레이킹 할때 전에없었던 느껴질만큼의 진동이 있습니다....
어느 부분부터 살펴봐야 할까요?
2008.05.11 21:03:50 (*.33.86.6)

얼라인먼트,휠밸런스,고속밸런스 는 주행중 쏠리거나, 덜덜거릴때,
제동중엔 디스크로터 가공 또는 교환.
하지만 질문내용중의 가속시 진동은 약간 다른것으로 생각되기도 하네요.
제동중엔 디스크로터 가공 또는 교환.
하지만 질문내용중의 가속시 진동은 약간 다른것으로 생각되기도 하네요.
2008.05.11 21:49:02 (*.110.152.165)
저도 같은 문제로 고민중인데요.. 저같은 경우는 엔진자체의 진동이 큰데.. 그게 차체 또는 배기관의 고유진동수와 매칭되는 알피엠영역에서 그러한 현상이 발생됩니다.. 아마도 배기관이 사정없이 바이브레이션하면서 차체와의 간섭음 등이 발생되는게 아닌가하고 생각이 되네요.. 이격되고 조였던 부분이 풀린부분이 있는건 아닌지 점검해보시고.. 일단은 작종 부싱류와 미미등이 내구연한이 의심되시면 그 부분도 점검이 필요할듯하네요..
2008.05.11 22:04:21 (*.79.156.51)

제 경험에 비추어 말씀드립니다.
정비시에도 문제를 밝히기도 어렵고... 마음 고생만 하는 것이죠.
1. 점화 플러그를 모두 확인해 보세요( 하나만 빼서 확인하지 말고).
제 경우 엔진 부조로 점화 플러그 점검 의뢰했는데 1개만 빼보고 정상이라고 하여 돌아왔는데 나중에 부조 증상도 심해지고 엔진에서 탁탁탁 하는 소음이 발생해서 보니 2번 실린더 점화 플러그가 완전히 녹아 있었습니다.
소음이 발생하기 전에 고속 주행시 엔진이 떠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2. 엔진 오일의 점도 저하 때문에 메탈 베어링에 유막이 끊기면서 그런 진동이 올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엔진오일 레벨과 점도를 확인해 보세요.
계속 밟으면 메탈베어링이 손상되면서 엔진에서 기차소리처럼 '덜걱 덜걱 탁탁탁..' 소리가 납니다.
3. 인테이크 씰이 불완전하여 진공압이 세면 에어가 새면서 마치 엔진-변속기가 통째로 진동하는 듯한 증상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점화 플러그 교환후 이 증상이 발생했지만 센터에선 원인을 찾지 못해( 테스트 드라이브를 못해서 증상 조차 잘 모름.) 4만 킬로 정도를 고생하다가 며칠 전에 직접 인테이크 분리해보고 원인을 발견해서 잡았습니다. 에어가 새는 상태에서 고속 주행을 자주하다보니 엔진 상태는 약간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고생하지 마시고 일단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고속 운행을 자제하세요.
문제가 있어서 발생하는 증상이니 절대로 운연히 또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습니다.
숙련된 정비사분과 함께 원인을 찾아보십시오.
정비시에도 문제를 밝히기도 어렵고... 마음 고생만 하는 것이죠.
1. 점화 플러그를 모두 확인해 보세요( 하나만 빼서 확인하지 말고).
제 경우 엔진 부조로 점화 플러그 점검 의뢰했는데 1개만 빼보고 정상이라고 하여 돌아왔는데 나중에 부조 증상도 심해지고 엔진에서 탁탁탁 하는 소음이 발생해서 보니 2번 실린더 점화 플러그가 완전히 녹아 있었습니다.
소음이 발생하기 전에 고속 주행시 엔진이 떠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2. 엔진 오일의 점도 저하 때문에 메탈 베어링에 유막이 끊기면서 그런 진동이 올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엔진오일 레벨과 점도를 확인해 보세요.
계속 밟으면 메탈베어링이 손상되면서 엔진에서 기차소리처럼 '덜걱 덜걱 탁탁탁..' 소리가 납니다.
3. 인테이크 씰이 불완전하여 진공압이 세면 에어가 새면서 마치 엔진-변속기가 통째로 진동하는 듯한 증상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점화 플러그 교환후 이 증상이 발생했지만 센터에선 원인을 찾지 못해( 테스트 드라이브를 못해서 증상 조차 잘 모름.) 4만 킬로 정도를 고생하다가 며칠 전에 직접 인테이크 분리해보고 원인을 발견해서 잡았습니다. 에어가 새는 상태에서 고속 주행을 자주하다보니 엔진 상태는 약간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고생하지 마시고 일단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고속 운행을 자제하세요.
문제가 있어서 발생하는 증상이니 절대로 운연히 또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습니다.
숙련된 정비사분과 함께 원인을 찾아보십시오.
2008.05.11 22:08:58 (*.79.156.51)

진동이 휠타이어- 차체에서 오는 것인지, 엔진-변속기- 드라이브 라인에서 오는 것인지 일단 감별이 필요합니다.
전자는마운트나 부싱류 확인, 휠타이어 밸런스, 휠 얼라인먼트 점검이 기본이고요.
그런데, 브레이킹 할 때도 동일한 진동이 있는지요?
따로 따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제 경우는 변속기-엔진-스태빌라이져 바 부싱쪽에 복합적으로 문제가 있었습니다.
전자는마운트나 부싱류 확인, 휠타이어 밸런스, 휠 얼라인먼트 점검이 기본이고요.
그런데, 브레이킹 할 때도 동일한 진동이 있는지요?
따로 따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제 경우는 변속기-엔진-스태빌라이져 바 부싱쪽에 복합적으로 문제가 있었습니다.
2008.05.11 22:15:11 (*.121.187.236)

드라이브샤프트(샵에서 등속조인트라고 부르는 물건)을 살펴보세요...
조인트부에 유격이 발생되면 가속시 토크가 걸릴때 샤프트 전체가 편심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300마력 투스카니 터보)
조인트부에 유격이 발생되면 가속시 토크가 걸릴때 샤프트 전체가 편심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300마력 투스카니 터보)
2008.05.12 00:14:19 (*.248.189.2)

차량 진동과 연관있는지 모르겠지만...급브레이킹시...차가 살짝 좌측으로 쏠리는 경향도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동일하구요...
정성스런 답글들을 토대로 점검후 원인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정성스런 답글들을 토대로 점검후 원인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008.05.12 01:56:29 (*.88.63.179)

로어암의 부싱을 일단 한번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덩달아 앞쪽 서스펜션의 어퍼마운트쪽도 좀 확인을..
참고로 로어암의 우레탄 부싱마저도 과급 차량에서 수명이 1년도 쉽게 버티긴 힘든 듯 합니다.. 제 경우 우레탄 부싱후 1년후에 보니 이미 헐거워져서 따로놀더군요 -_- 그래서 결국 지금은 필로볼을 장착해서 쓰고있습니다..
그리고 덩달아 앞쪽 서스펜션의 어퍼마운트쪽도 좀 확인을..
참고로 로어암의 우레탄 부싱마저도 과급 차량에서 수명이 1년도 쉽게 버티긴 힘든 듯 합니다.. 제 경우 우레탄 부싱후 1년후에 보니 이미 헐거워져서 따로놀더군요 -_- 그래서 결국 지금은 필로볼을 장착해서 쓰고있습니다..
2008.05.12 18:23:12 (*.160.122.168)

통상 셔더 노이즈라고 하는 이음으로 생각됩니다.
악셀링에서 진동이 주로 느껴진다면 동속조인트와 샤프트의
이음으로 생각되며 보통 허브쪽의 CV조인트나 샤프트 문제로 예상되네요
(혹시 특정속도를 지난 후 진동이 줄어든다면 위 사항에 가깝습니다...)
악셀링에서 진동이 주로 느껴진다면 동속조인트와 샤프트의
이음으로 생각되며 보통 허브쪽의 CV조인트나 샤프트 문제로 예상되네요
(혹시 특정속도를 지난 후 진동이 줄어든다면 위 사항에 가깝습니다...)
한번 살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