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개인적으로 반응이 좋은 기계들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브레이크도 민감하게 만들고 싶은데요.
그래서 업그레이드를 한 스펙이 엘리사 1p(알루미늄) + 맨스토이 스포츠패드 + 11인치 AJ 사선타공 로터
조합입니다. (브레이크 액은 DOT4로 교체하였습니다.)
순정에서의 시스템보다 제동력 상승도 느껴지고, 터치감도 나아졌습니다.
헌데 얼마전에 중미산 다운힐 중에 5번 정도의 과격한 조작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여섯번째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분명 페달은 밟았는데 말을 안듣는 상황이 오더라구요
물론 페이스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위험하다거나 극단적이지는 않았습니다만
처음으로 겪는 브레이크 밀림 현상이어서 약간은 당황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더군요
그리고 남은 코스를 천천히 내려오면서 브레이크를 걸어보니 역시나 마찬가지였습니다.
브레이크 밀림에는 베이퍼록, 페이드 등이 있는것 같은데 이중 어떤현상인지를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페이드 라고 짐작하긴 했는데요, 믿어왔던 브레이크 업그레이드 환상을 탁 깨버리는 기회가 되었네요
앞으로의 브레이크 추가 조율을 하고싶은데... 그 방향은 리니어한 반응과 냉간과 열간시에 같은 느낌을주는
브레이크 시스템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방향으로 한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횐님들의 의견 부탁드릴께요..
아 그리고 유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 원리 개념이 잘 모르겠네용...
그 중 실린더 마스터, 탠덤 부스터 요놈들의 역할이나 기능이 뭔지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업그레이드를 한 스펙이 엘리사 1p(알루미늄) + 맨스토이 스포츠패드 + 11인치 AJ 사선타공 로터
조합입니다. (브레이크 액은 DOT4로 교체하였습니다.)
순정에서의 시스템보다 제동력 상승도 느껴지고, 터치감도 나아졌습니다.
헌데 얼마전에 중미산 다운힐 중에 5번 정도의 과격한 조작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여섯번째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분명 페달은 밟았는데 말을 안듣는 상황이 오더라구요
물론 페이스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위험하다거나 극단적이지는 않았습니다만
처음으로 겪는 브레이크 밀림 현상이어서 약간은 당황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더군요
그리고 남은 코스를 천천히 내려오면서 브레이크를 걸어보니 역시나 마찬가지였습니다.
브레이크 밀림에는 베이퍼록, 페이드 등이 있는것 같은데 이중 어떤현상인지를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페이드 라고 짐작하긴 했는데요, 믿어왔던 브레이크 업그레이드 환상을 탁 깨버리는 기회가 되었네요
앞으로의 브레이크 추가 조율을 하고싶은데... 그 방향은 리니어한 반응과 냉간과 열간시에 같은 느낌을주는
브레이크 시스템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방향으로 한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횐님들의 의견 부탁드릴께요..
아 그리고 유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 원리 개념이 잘 모르겠네용...
그 중 실린더 마스터, 탠덤 부스터 요놈들의 역할이나 기능이 뭔지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2008.10.26 15:03:43 (*.64.232.157)
겨우 5번 정도에 그런일이 있다는건....... 브레이크액이 안좋은것 또는 오래된것이거나 패드가 묻지마인듯;;; 근데 11인치면 디스크가 좀 작기는 하군요..
2008.10.26 16:48:18 (*.138.208.142)

5번 정도가 적을수도 있지만 강력한 브레이크 횟수가 5번이었고 중간중간에 브레이크는 사용했습니다.
패드는 알아보니 대응 온도가 600~650도 정도되고 패드 품질도 어느정도 인증된 제품입니다.
그리고 브레이크액은 BOSCH DOT4 High Performance 이고, 교체 시기는 3달이 안되었습니다.
11인치 디스크의 한계일까요???
패드는 알아보니 대응 온도가 600~650도 정도되고 패드 품질도 어느정도 인증된 제품입니다.
그리고 브레이크액은 BOSCH DOT4 High Performance 이고, 교체 시기는 3달이 안되었습니다.
11인치 디스크의 한계일까요???
2008.10.26 18:35:59 (*.192.99.178)

투스카니 완전 순정에 와인딩에 차를 날려도 그정도에 페이드나 락이 온적은 없는데... 브레이크액 교체를 하셨다면 조금더 공기빼기 작업을 잘 해보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 일단 거기에 의심이 갑니다.
2008.10.27 01:15:33 (*.138.208.142)

네~! 일단 에어빼기 작업은 다시 해봐야겠네요;; 결국 로터 사이즈와 패드 교체만이 큰 성능차이를 보일것 같네요
ㅜ.ㅜ 역시나 돈을 부르는 녀석 ;;; 살살 달래가면서 타야겠어요^^v
혹시 마스터 실린더 교환등으로 답력을 좀더 민감하게 바꿀수있나요?? 그리고 브레이크 호수를 케이블타이로
빽빽하게 묶는 헝그리 튜닝의 효과는 있을까요?? 궁금한게 너무 많은 초보입니다GG
ㅜ.ㅜ 역시나 돈을 부르는 녀석 ;;; 살살 달래가면서 타야겠어요^^v
혹시 마스터 실린더 교환등으로 답력을 좀더 민감하게 바꿀수있나요?? 그리고 브레이크 호수를 케이블타이로
빽빽하게 묶는 헝그리 튜닝의 효과는 있을까요?? 궁금한게 너무 많은 초보입니다GG
2008.10.27 08:45:21 (*.147.230.122)

장원님 차량을 시승해봤고..
비슷한 스펙의 차량을 몇번의 시승과 동승한 제 느낌은.
브레이크의 에어빼기 혹은교환+브레이크호스교환정도면
좋은 느낌받으실거란 생각이 드네요..
비슷한 스펙의 차량을 몇번의 시승과 동승한 제 느낌은.
브레이크의 에어빼기 혹은교환+브레이크호스교환정도면
좋은 느낌받으실거란 생각이 드네요..
2008.10.27 15:24:29 (*.132.63.131)

부스터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http://auto.howstuffworks.com/power-brake.htm/printable
애니메이션도 있으니 눌러보시면 이해에 좀 도움이 될겁니다.
링크 따라가면 마스터 실린더에 대한 내용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겁니다.
그나저나 중미산에서 브레이크에 문제가 생겼을때 정확히 증상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페달이 스폰지 밟듯이 푸쉭푸쉭 들어갔는지, 아니면 단단하게 답력이 느껴지는 상황에서 제동력만 약했던 건지 말이지요...
http://auto.howstuffworks.com/power-brake.htm/printable
애니메이션도 있으니 눌러보시면 이해에 좀 도움이 될겁니다.
링크 따라가면 마스터 실린더에 대한 내용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겁니다.
그나저나 중미산에서 브레이크에 문제가 생겼을때 정확히 증상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페달이 스폰지 밟듯이 푸쉭푸쉭 들어갔는지, 아니면 단단하게 답력이 느껴지는 상황에서 제동력만 약했던 건지 말이지요...
2008.10.27 16:51:43 (*.138.208.142)

저도 처음 느껴본 브레이크 밀림 현상이어서 어리벙벙 했습니다 ;;
기억되는 느낌은 우선 페달 답력은 있었습니다. 그러나 결코 단단한 답력은 아니었구요,
페달을 깊게 밟건 가볍게 밟건 약한 제동력만 나올뿐 변화가 없었습니다.
쉽게 말해 1~10의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다면 3정도의 힘(약하게)으로 밟은 상태와
9정도의 힘(강하게)으로 밟은 상태가 같은 제동력을 보여줬습니다.
다 내려와서 차를 정차후 브레이크 상태를 살펴보니 디스크로터가 살짝 열이 받혀있더라구요
그렇다고 시뻘겋게 된건 아니구요^^; 이제 한계를 알았으니 시원섭섭합니다 ㅋㅋ
김돈영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기억되는 느낌은 우선 페달 답력은 있었습니다. 그러나 결코 단단한 답력은 아니었구요,
페달을 깊게 밟건 가볍게 밟건 약한 제동력만 나올뿐 변화가 없었습니다.
쉽게 말해 1~10의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다면 3정도의 힘(약하게)으로 밟은 상태와
9정도의 힘(강하게)으로 밟은 상태가 같은 제동력을 보여줬습니다.
다 내려와서 차를 정차후 브레이크 상태를 살펴보니 디스크로터가 살짝 열이 받혀있더라구요
그렇다고 시뻘겋게 된건 아니구요^^; 이제 한계를 알았으니 시원섭섭합니다 ㅋㅋ
김돈영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브레이크는 열 입니다(뜨거움)
일단 디스크가 커져야 열에 대한 내구력이 생깁니다
검색하시면 나오겠지만 냉각을 위한 장치(덕트,날개등등)가 필요하구요
패드역시 온도 영역대가 높은 패드가 필요하게 됩니다
알면 알수록 어려워집니다 오일역시 비등점 높을것을 사용하는것이 좋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