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최남규입니다.
현재 운전석에만 S사 조절식 버켓시트를 장착중입니다.
벨트는 4점식 2인치 제품을 사용하다가, 조수석으로 넘기고, 3인치 제품을 사용중인데요.
이게 사실 일반 공도 드라이빙시에는 굳이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들고, 체결하는것도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보니...
순정 안전벨트를 다시금 사용하게 되었는데... 문제는 버켓시트에 벨트 버클이 없다는거죠.
다행히 조수석 버클에 꼽아서 사용중이긴 한데, 그것도 하루이틀이지 언제까지나 계속 이럴 수는 없겠지요.
더구나, 체결 부위가 달라져서인지 위쪽 벨트라인이 목덜미를 가리더라구요.
그래서...
버켓시트에 순정안전벨트 버클을 달아줄까 하는데...
순정시트에 붙어있는 녀석은 탈거되지도 않고(체결 후에 도색이 먹었는지, 세게 돌리니 나사산만 뭉개지려고 하더라구요.)
또 탈거가 된다고 하더라도, 고정부위도 마땅치가 않아서요.
추천 해주실 만한 방법 있으신지요?
어느 차종의 버클이 좋다... 라거나
레일 체결부위 또는 시트 고정부위 등등 어느곳에 어떠한 식으로 고정을 하는게 좋다... 라거나
브라켓을 따로 만들어서 어떻게 해라... 라거나
도움 부탁드립니다.
현재 운전석에만 S사 조절식 버켓시트를 장착중입니다.
벨트는 4점식 2인치 제품을 사용하다가, 조수석으로 넘기고, 3인치 제품을 사용중인데요.
이게 사실 일반 공도 드라이빙시에는 굳이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들고, 체결하는것도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보니...
순정 안전벨트를 다시금 사용하게 되었는데... 문제는 버켓시트에 벨트 버클이 없다는거죠.
다행히 조수석 버클에 꼽아서 사용중이긴 한데, 그것도 하루이틀이지 언제까지나 계속 이럴 수는 없겠지요.
더구나, 체결 부위가 달라져서인지 위쪽 벨트라인이 목덜미를 가리더라구요.
그래서...
버켓시트에 순정안전벨트 버클을 달아줄까 하는데...
순정시트에 붙어있는 녀석은 탈거되지도 않고(체결 후에 도색이 먹었는지, 세게 돌리니 나사산만 뭉개지려고 하더라구요.)
또 탈거가 된다고 하더라도, 고정부위도 마땅치가 않아서요.
추천 해주실 만한 방법 있으신지요?
어느 차종의 버클이 좋다... 라거나
레일 체결부위 또는 시트 고정부위 등등 어느곳에 어떠한 식으로 고정을 하는게 좋다... 라거나
브라켓을 따로 만들어서 어떻게 해라... 라거나
도움 부탁드립니다.
2008.12.09 00:17:02 (*.61.17.103)

한참 답글이 없다가 한개 달려서 급히 들어와봤다가.......
털썩~ 했습니다. -_-;;;
현민님께서 무플방지를 해 주셨네요~ 감사~ ^^
털썩~ 했습니다. -_-;;;
현민님께서 무플방지를 해 주셨네요~ 감사~ ^^
2008.12.09 01:46:51 (*.34.101.144)
저는 PNS제품을 사용중인데, PNS에서 나오는 사이드서포터에는 순정시트벨트 버클을 장착할수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조절식 버킷이시면 시트와 레일이 직접 연결되는 방식일테니 이건 사용불능이겠네요.
시트의 앞쪽 볼트와 뒤쪽 볼트를 연결하는 철제브라켓을 제작해서 거기에 버클을 장착하시면 될듯합니다. 다만 절곡과 커팅이 되야하므로 돈좀 들겠네요;
시트의 앞쪽 볼트와 뒤쪽 볼트를 연결하는 철제브라켓을 제작해서 거기에 버클을 장착하시면 될듯합니다. 다만 절곡과 커팅이 되야하므로 돈좀 들겠네요;
2008.12.09 02:43:42 (*.197.29.68)

저도 이번에 한국 들어가는대로 조절식 시트를 장착할 계획이라 브라켓을 제작하려고 합니다. 음.. 저는 일단 뒷쪽 마운트에만 연결할려고 했는데 심원보님 말씀처럼 앞 뒤 모두 해서 연결을 고려해봐야겠네요. 다만 시트를 앞뒤로 움직이면 따라 움직이지 않으니까 조금 곤란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흐음. 하긴 뭐 크게 움직이진 않을테니 걱정이 없으려나요?
일단 한국 가는대로 치수 재서 캐드로 설계도 만들어 넘기기로 했는데 자세한 비용은 다들 언급을 피하더군요 -_- 대략 수만원 안쪽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황봐서 시트 레일에 바로 장착을 할 수 있을까 확인해봐야겠네요.
일단 한국 가는대로 치수 재서 캐드로 설계도 만들어 넘기기로 했는데 자세한 비용은 다들 언급을 피하더군요 -_- 대략 수만원 안쪽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황봐서 시트 레일에 바로 장착을 할 수 있을까 확인해봐야겠네요.
2008.12.09 02:47:04 (*.229.238.98)

원칙적으로 레일 브라켓에 순정 안전벨트 버클을 설치할수 있게 브라켓이 나와있어야 합니다. PNS제품은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겠지만...레일브라켓에 순정버클을 장착할수있게 용접을 통해서든 개조를 하셔야 합니다.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니까요....ㅡ,.ㅡ;
2008.12.09 13:06:07 (*.61.17.103)

다행히 조절식 버켓인지라... 등받이 조절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고...
순정시트처럼 그곳에 볼트를 체결하여 직접 버클을 장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머리 좀 굴려봐야겠네요.
선준님 지적 감사합니다. 안전과 직결된 문제죠. 대~ 충 하려고 했으니... -_-;;;
순정시트처럼 그곳에 볼트를 체결하여 직접 버클을 장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머리 좀 굴려봐야겠네요.
선준님 지적 감사합니다. 안전과 직결된 문제죠. 대~ 충 하려고 했으니... -_-;;;
2008.12.09 13:22:32 (*.87.60.117)

좀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마이티나 카운티의 조수석처럼 바닥에서 직접 올라오는 타입의 버클을 시트 오른쪽 뒤 고정점에 같이 고정시켜주면 됩니다.
레일 브라켓에 용접하는 것은 비추합니다. 시트벨트 규정시험만 해도 거의 4톤 가까운 하중이 주어집니다. 왠만하면 바닥에 고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로 나사산도 인치계열이니 전용 탭을 내거나 아예 다른 볼트를 사용하십시요. 전용탭은 장가이버님 샵에 있습니다.
버클 부품번호는 89887-5A100 (카운티용)이며, 상용차부품이라 모비스에 재고 있을지는 알수 없습니다.
레일 브라켓에 용접하는 것은 비추합니다. 시트벨트 규정시험만 해도 거의 4톤 가까운 하중이 주어집니다. 왠만하면 바닥에 고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로 나사산도 인치계열이니 전용 탭을 내거나 아예 다른 볼트를 사용하십시요. 전용탭은 장가이버님 샵에 있습니다.
버클 부품번호는 89887-5A100 (카운티용)이며, 상용차부품이라 모비스에 재고 있을지는 알수 없습니다.
2008.12.09 13:30:26 (*.87.60.117)

참고로, 마이티용은 운전석이 설명한 형상인데 바닥에 고정되는 L자 브라켓의 방향이 반대이고, 시트벨트 경고등 스위치를 위한 커넥터가 내장되어 쪼금 비쌉니다.
부품번호는 89811-5H000 이며, 카운티용이 없을때 조회하여하세요.
지금도 이쪽일을 하면 도움이 많이 될텐데, 하는일이 바뀌어서 이정도가 한계네요. 도움되시길~
2008.12.09 17:03:37 (*.12.196.93)

저는 순정 벨트 버클을 시트를 바닥에 체결하는 곳에 같이 체결하여 사용하였었습니다. 센터 터널에 옆으로 고정되는 발이 하나 있어서 가능했었죠.
2008.12.09 18:00:32 (*.87.60.117)


어이쿠, 낮에 후다닥 그림 올리고 봤더니 그림올리는 방식이 다르네요.
우선 첨부바꿨습니다. 이방법이 맞기를... -_-;
2008.12.10 08:27:34 (*.87.60.117)

남규님/ 시트에 붙여야하는 순정의 방식이 어렵거나, 작업이 귀찮을듯해서 바닥의 볼트에 고정하는 버클을 알려드린 건데요.
레일과 브라켓이 사제인 경우 어느정도 신뢰성이 있는지 확신할수 없기에 본래 Seat Belt Anchor 포인트 지점인 Floor에 직접 하시라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지금 다시보니 마지막에 ^^가 있군요. 제가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였나요?)
그리고, 마지막 팁을 말씀드리지 못했는데 벨트용 볼트는 3/8inch 인치나사산이고, 시트 고정 볼트는 14mm 복스를 쓰는 M10 짜리 표준 나사산입니다.
시트고정점에 벨트를 같이 쓰시려면 볼트를 원래보다 20mm 정도 긴것(55mm 이상)으로 구하시고, 와셔까지 장만해서 시트 브라켓 위로 와셔를 몇개 끼우고 시트벨트 버클 브라켓이 오도록하면, 장착도 쉽고 시트 높이가 변하지 않습니다. 말로하니 길지만, 사진이 보시면 이해가 쉬울겁니다. 당장은 찾아보니 사진이 없네요. -_-;
레일과 브라켓이 사제인 경우 어느정도 신뢰성이 있는지 확신할수 없기에 본래 Seat Belt Anchor 포인트 지점인 Floor에 직접 하시라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지금 다시보니 마지막에 ^^가 있군요. 제가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였나요?)
그리고, 마지막 팁을 말씀드리지 못했는데 벨트용 볼트는 3/8inch 인치나사산이고, 시트 고정 볼트는 14mm 복스를 쓰는 M10 짜리 표준 나사산입니다.
시트고정점에 벨트를 같이 쓰시려면 볼트를 원래보다 20mm 정도 긴것(55mm 이상)으로 구하시고, 와셔까지 장만해서 시트 브라켓 위로 와셔를 몇개 끼우고 시트벨트 버클 브라켓이 오도록하면, 장착도 쉽고 시트 높이가 변하지 않습니다. 말로하니 길지만, 사진이 보시면 이해가 쉬울겁니다. 당장은 찾아보니 사진이 없네요. -_-;
2008.12.10 12:23:30 (*.197.29.68)

3/8인치인 벨트용 볼트라는게 어떤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 (3/8인치는 9.56mm쯤).
맨 위 사진에 인너 시트벨트(바닥에 ㄱ자로 결합되는)가 3/8인치인가요?? 시트고정용 볼트는 M10(볼트 투께 10mm)이고 말이죠??? 용어정리가 안 되서 조금 헷갈리네요 ㅠ_ㅠ
맨 위 사진에 인너 시트벨트(바닥에 ㄱ자로 결합되는)가 3/8인치인가요?? 시트고정용 볼트는 M10(볼트 투께 10mm)이고 말이죠??? 용어정리가 안 되서 조금 헷갈리네요 ㅠ_ㅠ
2008.12.11 08:28:37 (*.87.60.117)

예 주영님 정확하게 이해하셨네요.
벨트용 볼트는 전세계적으로 똑같이 인치계 볼트입니다. 나사산은 인치계라도 볼트머리는 14복스(최근 현대차)나 17복스(일반볼트)로 나오니까 구분이 안됩니다.
벨트용 볼트는 전세계적으로 똑같이 인치계 볼트입니다. 나사산은 인치계라도 볼트머리는 14복스(최근 현대차)나 17복스(일반볼트)로 나오니까 구분이 안됩니다.
2008.12.12 02:56:37 (*.67.101.72)

그렇다면, 바닥의 시트 고정점 볼트규격은 M10(10mm)이고 마이티(카운티?) 바닥 고정용 ㄱ자 벨트 브라켓의 구멍크기는 3/8인치(9.56mm)라면 구멍이 맞나요? 시트 고정볼트가 더 두꺼운거 같은데...
장착이 가능하다면 바닥 고정용 ㄱ자 벨트 브라켓이 혹시 M10 규격이 아닐까요?
ㅎㅎㅎㅎ 아리송 하네요 ^^ 일단 시간이 나면 ㄱ자 브라켓 달린걸 한번 주문해봐야겠습니다.
장착이 가능하다면 바닥 고정용 ㄱ자 벨트 브라켓이 혹시 M10 규격이 아닐까요?
ㅎㅎㅎㅎ 아리송 하네요 ^^ 일단 시간이 나면 ㄱ자 브라켓 달린걸 한번 주문해봐야겠습니다.
2008.12.12 10:34:27 (*.87.60.117)

주영님 / 인치계 나사는 인치당 나사산 수의 차이때문에 전체 지름이 M10보다 더 큽니다. 그래서 3/8인치볼트가 복스알로 17아니면 14이죠.(M10은 항상 14복스죠.)
계산하신 10과 9.56mm는 나사산 안쪽의 지름이기에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어차피 호환안되니까요.
브라켓의 구멍도 3/8인치가 쪼금 크게 나옵니다.(M10과 혼용할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하긴 합니다.) 어쨌든, 괜히 자세히 설명드렸나봐요. 궁금증만 유발시킨듯...
ㄱ자 브라켓 달린 버클은 3/8인치 볼트가 딸려서 오지만 볼트는 빼버리시고 시트자리에 같이 고정하시라는 말씀이었습니다.
계산하신 10과 9.56mm는 나사산 안쪽의 지름이기에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어차피 호환안되니까요.
브라켓의 구멍도 3/8인치가 쪼금 크게 나옵니다.(M10과 혼용할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하긴 합니다.) 어쨌든, 괜히 자세히 설명드렸나봐요. 궁금증만 유발시킨듯...
ㄱ자 브라켓 달린 버클은 3/8인치 볼트가 딸려서 오지만 볼트는 빼버리시고 시트자리에 같이 고정하시라는 말씀이었습니다.
2008.12.13 00:33:29 (*.67.101.72)

네, 한번 봐야겠네요. 제 하네스가 3/8인치 구경이라 M10볼트가 안 들어갔었거든요. 사실 학생용 자로 대어보고 1cm나오는 줄 알고 볼트사러 가서 좌절하고 돌아왔었습니다. 그래서 좀 자세하게 꼬치꼬치 캐물어봤네요 ㅋ. 조금 다른가 봅니다. 그럼 내일 알아보고 구입하러 고고싱 ^^
답변이 아니라서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