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포르테의 연비 향상의 주원인이 저단에서도 락업클러치가 걸리게 만든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냥 주워들은거라서 원래 저단에서도 락업클러치가 걸렸는데 더 적극적으로 이용을 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최고단에서는 정속주행시 rpm이 한단계 떨어지는 것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어서 락업클러치가 최고단에서만 걸린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지금와서 곰곰히 떠올려보니 저단에서도 각단 사이에 중간단계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한데 그게 아마도 락업클러치가 걸리는 구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오토차량 운전할때 기어 변속 같은건 크게 인식을 하지 않고 악셀, 브레이크만 왔다갔다 해가면서 무념무상으로 운전을 했기 때문에 더 인식을 못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락업클러치라는 것이 악셀레이터를 일정하게 밟으면서 정속 주행을 하게 되면 토크 컨버터를 거치지 않고 직접 기어가 물려서 구동하는 것이라고만 어렴풋이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단에서 락업클러치가 걸린다는 것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됩니다.
오토차량의 경우 저단으로 정속주행을 하려고 해도 금새 다음 단으로 변속이 되어버리는데 락업클러치는 언제 작동을 할까요?
저단에서의 정속주행은 오르막길에서 밖에 상상이 안가는데 설마 이때만 락업클러치가 작동하는 건 아닐테고요...
어쩌면 락업클러치 시스템 자체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이런 질문을 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질문은
1 저단에서의 락업클러치는 어떠한 경우에 걸리게 되는 것일까요?
2 락업클러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메커니즘에서의 단점은 없는지요?
(락업클러치가 걸렸을때에는 악셀을 꾹 밟아서 강제로 변속하지 않는 한 가속감이 더디다는 느낌을 받았던 것 같아서요)
항상 테드 회원분들을 통해서 많이 배우게 되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고견 부탁드립니다
그냥 주워들은거라서 원래 저단에서도 락업클러치가 걸렸는데 더 적극적으로 이용을 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최고단에서는 정속주행시 rpm이 한단계 떨어지는 것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어서 락업클러치가 최고단에서만 걸린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지금와서 곰곰히 떠올려보니 저단에서도 각단 사이에 중간단계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한데 그게 아마도 락업클러치가 걸리는 구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오토차량 운전할때 기어 변속 같은건 크게 인식을 하지 않고 악셀, 브레이크만 왔다갔다 해가면서 무념무상으로 운전을 했기 때문에 더 인식을 못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락업클러치라는 것이 악셀레이터를 일정하게 밟으면서 정속 주행을 하게 되면 토크 컨버터를 거치지 않고 직접 기어가 물려서 구동하는 것이라고만 어렴풋이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단에서 락업클러치가 걸린다는 것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됩니다.
오토차량의 경우 저단으로 정속주행을 하려고 해도 금새 다음 단으로 변속이 되어버리는데 락업클러치는 언제 작동을 할까요?
저단에서의 정속주행은 오르막길에서 밖에 상상이 안가는데 설마 이때만 락업클러치가 작동하는 건 아닐테고요...
어쩌면 락업클러치 시스템 자체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이런 질문을 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질문은
1 저단에서의 락업클러치는 어떠한 경우에 걸리게 되는 것일까요?
2 락업클러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메커니즘에서의 단점은 없는지요?
(락업클러치가 걸렸을때에는 악셀을 꾹 밟아서 강제로 변속하지 않는 한 가속감이 더디다는 느낌을 받았던 것 같아서요)
항상 테드 회원분들을 통해서 많이 배우게 되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고견 부탁드립니다
2009.01.11 11:45:25 (*.100.31.130)

예전 혼다 계열의 토크 컨버터 제작 사에서 잠시 일할때 정직원들이 대충 알려주던 내용으로는 락업 클러치가 토크 컨버터의 유체 손실을 커버하기 위해 쓴다고 알려주더군요. 토크 컨버터 내부의 ATF가 엔진 동력을 100% 전달 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토크 컨버터가 특정 회전수 이상 회전할 때 유압으로 락업 클러치를 제어 한다고 하더군요.
제가 봤던 물건은 얇은 마찰재가 원형 띠를 두르던 물건 이었는데 수동의 클러치 개념으로 생각해 클러치의 마모에 대한 질문을 했더니 돌고 있는 동안 작동하는 물건이라 클러치가 얇아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고 답해주더군요.
제가 봤던 물건은 얇은 마찰재가 원형 띠를 두르던 물건 이었는데 수동의 클러치 개념으로 생각해 클러치의 마모에 대한 질문을 했더니 돌고 있는 동안 작동하는 물건이라 클러치가 얇아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고 답해주더군요.
2009.01.11 12:18:13 (*.237.203.171)

Lock-Up 클러치가 항속 연비 향상에는 좋지만, Stop & Go 환경에서는 연비에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저단 기어에도 Lock-Up 클러치가 작동하는건 서울 시내 출퇴근과 같은 환경에서는 오히려 연비가 Lock-Up이 작용하지 않는것 보다 나빠집니다. 포르테의 연비 향상이 정말 저단 기어의 Lock-Up 개입 때문이라면, 시내 주행에서 끊임없는 변속 충격과 비싼 연비를 치루게 될 것 같습니다.
Stop & Go 환경에서 Lock-Up 이 좋지 않은건 Lock-Up과 해지가 계속해서 반복되기 때문이고요. 만약 포르테 연비 향상이 저단 Lock-Up 개입에 의한 것이라면... >_<
Stop & Go 환경에서 Lock-Up 이 좋지 않은건 Lock-Up과 해지가 계속해서 반복되기 때문이고요. 만약 포르테 연비 향상이 저단 Lock-Up 개입에 의한 것이라면... >_<
2009.01.11 14:11:05 (*.87.21.179)

락업이 붙고 안붙고를 판단하기 위해서, 액셀링 관련 일정시간의 패턴을 어느정도 반영하지 않을까요? 시내 운전 패턴으로 연비에 악영향이 될수 있는 확실한 패턴은 배제를 할 정도로 설계가 가능할 것 같은데요..^^ (추측이죠.. 제어부가 많이 똑똑해 지고 있으니..ㅋㅋ)
개발자의 이야기로는 락업 클러치를 쓰는 문제는..
연비팀과 소음진동팀의 싸움이라고 하더군요...^^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연비를 향상시키는 쪽과, 락업 사용시 발생하는 진동 등...승차감 관련 문제 등을 떠 안아야 하는 쪽.. 아직은 연비팀쪽이 반영률이 높은 것 같습니다.^^
개발자의 이야기로는 락업 클러치를 쓰는 문제는..
연비팀과 소음진동팀의 싸움이라고 하더군요...^^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연비를 향상시키는 쪽과, 락업 사용시 발생하는 진동 등...승차감 관련 문제 등을 떠 안아야 하는 쪽.. 아직은 연비팀쪽이 반영률이 높은 것 같습니다.^^
단점이라...예전에 아반떼XD 2.0 오토의 경우에도 툭하면 1500rpm에서도 록업이 작동돼서 빌빌거리는 적이 있었는데 조금 깊숙히 밟으면 록업이 풀렸다가 이내 또 작동하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 가속이 안되는(물론 끝까지 밟으면 되긴 하지만 그만큼 연료소비와 소음이 증가하니까요) 게 단점이라고 하겠죠. 하지만 NF, HD 등은 XD에 비해 좀 더 똑똑해져서 그 정도는 아니더군요.